277 0

1인 가구를 고려한 쉐어하우스 공간디자인 요소 평가

Title
1인 가구를 고려한 쉐어하우스 공간디자인 요소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n Space Design Elements of Shared Hous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uthor
유단경
Alternative Author(s)
LIU DANQIONG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Sharehouse's personal space and basic living space are 'home' for young people in an unfamiliar city, and are the most important spaces where important activities such as eating, studying, and sleeping take place after intense work stress. This should be design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sychological influence that users get through the physical environment. This allows the user to feel more of a sense of belonging. It is an issue that we constantly research to fully understand diverse demands and preferences in terms of the body, psychology, and aesthetics of modern young people, and to design living spaces well that modern young people are satisfied with. However, research on the space design centered on these two spaces of the share house is still incomplete compared to other common spaces. In addition, there were studies relevant to the influence factor of the space satisfaction in share houses, but most are studies on community spaces. Research factors are often studies that focus on location characteristics, internal characteristics, external characteristics,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re are few specific studies on how space interior design elements affect space satisfaction. And it is judged that the satisfa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enant and the interior design element of the space is inadequat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pace design element pursued and preferred by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figure out the impact of each space design element on space satisfaction, and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it as communication data in the future of share house spac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targets the personal space and basic living space of the share house with the highest user utilization. In terms of the space design element of 4 factors: space composition,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furniture arrangement, and indoor environment, this figures out the correlation between space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n space satisfaction. This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share house personal space and basic living space design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space design element. First of all, preceding studies relevant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hare house space planning standards were analyzed. And share house space design evaluation elements were collected and detailed evaluation items were set. Next, the first importance survey on detailed evaluation items was conducted for factor analysis. Also, in order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the share house space design and the user preference, a case space design current state survey was conducted. Finally,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pace design evaluation were analyzed with SPSS 26.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In addition, the effect of space design elements on space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each space improvement direction was presented. 10 share house cases located in Seoul were visited, surveyed, and analyzed. And the space composition was identified as personal spaces(bedroom, storage space, individual independent toilet/bathroom) and basic living spaces(public kitchen, public toilet/bathroom, public laundry room/drying room, delivery storage room, etc.). Looking at the space design analysis of the survey target case, it was found to be great in terms of the space desig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ome shortcomings in each space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furniture arrangement, and indoor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 space design evaluation results,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elements in personal space was generally higher than in basic living space. Particularly, it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in space composition and furnitur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users' satisfaction with basic living space was evaluated 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personal space. Als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occupation), usage characteristics(contract period, occupancy status), and space characteristics(building size, personal space area) of the survey targe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ace satisfaction for each share house. According to the element results divided into 4 elements, it was found that the space design elements of 4 aspects of space composition,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furniture arrangement, and indoor environment were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space and basic living space. It was found that personal space had a positive effect on space satisfaction with space composition,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furniture arrangement, and indoor environment. The influence is indoor environment > space composition >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 furniture arrangement. It was found that basic living space had a positive effect on space satisfaction with space composition,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furniture arrangement, and indoor environment. The influence is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 furniture arrangement > space composition > indoor environment. The share house space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erms of the space composition of personal spaces,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nsider the accessibility to public spaces when planning buildings. The space should be installed in a flow that is convenient for movement. The plan for the space area should comply with the minimum standard in housing. The area of the personal space should be at least 14m2. The area of a double bedroom should be at least 26m2. In addition, the quantity(2-3 units) should be enough to meet the diverse storage demands of users. Storage spaces of diverse sizes and types should be provided. Also, in order to satisfy user diverse preferences and needs, at least two or more diverse space types should be planned for the flat shape of space. In terms of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the color and flooring materials of each space should be fully considered for the user's preferences. If the wall paint is peeled off and if the floor is uneven, it should be repaired in a timely manner. It would be good to focus on bright colors or clean white for the color of the closet and cabinet. In terms of furniture arrangement, personal space is mainly for single rooms, but the size of the bed, the sufficiency of storage facilities, and the use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Diverse types of storage spaces such as storage cabinets, storage boxes, and drawer-type storage cabinets should be provided. In terms of the indoor environment, a brightness control system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illuminance can be freely adjusted for indoor lighting. In order to secure the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the space, the bedroom should have window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f it is difficult to ventilate by simply opening the window because of the location or area of the window, a large ventilation system should be installed to ventilate regularly. Ventilators should be operated at least two times an hour. In terms of the space composition of basic living space, the area of the public toilet/bathroom and the public kitchen should be properly plan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sidents. For the public kitchen and the public toilet/bathroom, open or semi-open types should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ser use. They should be available 24 hours a day.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convenience, it is desirable to install the public kitchen, the public laundry room/drying room, and the public toilet for each floor. Also, when using each basic living spac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mooth flow. And obstacles in the path of movement should be reduced. In terms of color and finishing materials, it is use easy-to-clean materials and wall materials with high anti-slip and waterproof properties. In terms of furniture arrange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lving the problem of furniture and appliance installation. For the public kitchen, chairs, sofas, and dining tables that people can use for eating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In terms of chairs, it is good to install a chair for one person. In terms of tables, it is good to install a round table or a face-to-face type for 2 or 4 people. The number and size of chairs and dining tables should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sidents. In terms of the indoor environment, each basic living space should have windows that can be opened. Ventilators can be used instead of openable windows. If it is difficult to plan windows in the space, there should be other ventilation systems and ventilation shall be performed at least 5 times per hour. Also, each space should be equipped with artificial or electric lighting to perform indoor activities normally.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hould be adapted to the room function.|쉐어하우스의 개인공간과 기초생활공간은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낯선 도시의 '집'이고, 강한 업무 스트레스 이후 휴식, 식사, 학습, 취침 등 중요한 활동들이 이루어지는 가장 주요한 공간이므로, 입주자들이 물리적 환경을 통해 받는 심리적 영향까지 배려할 수 있는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로써 입주자들의 소속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현대 젊은 세대들의 신체, 심리, 심미, 사상 등 측면에 다양한 수요와 선호를 충분히 파악하여 현대 젊은 세대들이 만족하는 거주공간 잘 디자인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우리가 꾸준히 연구해야 하는 과제지만 아직까지 쉐어하우스의 이 두 공간을 중심으로 한 공간디자인적 연구는 부동한 공용공간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쉐어하우스 공간만족도의 영향요인과 관련된 연구가 존재하나 대부분 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연구이며 연구요소는 입지특성, 내부특성, 외부특성, 관리특성, 경제특성 등을 초점으로 한 연구사항인 경우가 많다. 공간 내부 디자인요소가 공간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거의 없고 입주자들의 공간디자인 요소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무엇인지는 것에 대한 연구도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현대 20~30대 젊은 세대들이 추구하고 선호하는 공간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과 함께 각 공간디자인 요소가 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쉐어하우스 공간디자인 측면의 커뮤니케이션 자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주자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쉐어하우스의 개인공간과 기초생활공간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공간구성, 색채 및 마감재, 가구배치, 실내환경 4가지 요인 측면의 공간디자인 요소들은 공간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및 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공간디자인 요소 측면에 고려한 쉐어하우스 개인공간과 기초생활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국내외의 쉐어하우스 공간계획기준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쉐어하우스 공간디자인 요소 키워드를 수집하고 세부 평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어 요인 분석을 위해 세부 평가항목에 대한 1차 중요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현제 쉐어하우스 공간디자인 현황과 입주자 선호를 파악하기 위한 사례 공간디자인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디자인 평가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SPSS 26.0, AMOS 24.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공간디자인 요소가 공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공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서울시에 위치한 10개 쉐어하우스를 사례대상으로 방문 조사 및 분석하여 공간구성을 개인공간(침실, 수납공간, 개별적 독립적 화장실/욕실 구비), 기초생활공간(공용주방, 공용화장실/욕실, 공용세탁실/건조실, 택배보관실 등)으로 분류를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사례의 공간디자인 분석을 보면 공간디자인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양호하였으나 공간구성, 가구배치 및 실내환경과 측면에서 공간마다 다소 부족한 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주자 공간디자인 평가결과에 근거하면 개인공간은 기초생활공간에 비해 공간디자인 요소의 중요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공간구성 및 가구배치에서 중요도가 더 높을 것을 보아낼 수 있다. 만족도 조사결과에 따라 개인공간에 비해 이용자들이 기초생활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됐다. 또한 조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직업), 이용특성(계약 기간, 입주상태), 공간특성(건물 규모, 개인공간 면적)들은 쉐어하우스 각 공간만족도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4개 요인으로 분류된 요인 결과에 따라 공간구성, 색채 및 마감재, 가구배치, 실내환경 4가지 측면의 공간디자인 요소가 개인공간 및 기초생활공간의 만족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공간은 공간구성, 색채 및 마감재, 가구배치, 실내환경이 공간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실내환경 > 공간구성 > 색채 및 마감재 > 가구배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생활공간은 공간구성, 색채 및 마감재, 가구배치, 실내환경이 공간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은 색채 및 마감재 > 가구배치 > 공간구성 > 실내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쉐어하우스 공간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개인공간의 공간구성 측면에서는 건물을 계획할 때 공용공간과의 접근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공간에 이동하기 편리한 동선을 설치해야 한다. 공간면적의 계획은 최저주거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개인공간의 면적은 최소 14m2 이어야 하며, 2인용 침실의 면적은 최소 26m2 이어야 한다. 아울러 이용자의 다양한 수납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수량(2-3개)이 충분하고 규모, 유형이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공간의 평면형태는 입주자 다양한 선호와 니즈를 만족하기 위하여 최소 2가지나 더 다양한 공간 타입을 계획해야 한다. 색채 및 마감재 측면에서 각 공간의 색채와 바닥재는 입주자의 선호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벽 칠이 벗겨진 경우와 바닥 울퉁 불퉁한 경우는 적시에 수리해야 한다. 옷장과 수납장의 색채는 밝은 계열이나 깔끔한 화이트를 위주로 하면 좋다. 가구배치 측면에서 개인공간이 1인실 위주이지만, 그래도 침대의 크기와 수납시설의 충분성과 사용 편의성을 고려해야 하고 수납장, 수납함, 서랍형 수납장 등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실내환경 측면에서 실내 조명은 조도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밝기 조절 시스템을 설치해야 한다. 공간에의 자연채광의 유입을 확보하기 위하여 침실에는 개폐할 수 있는 창문이 있어야 하며 창문의 위치나 면적 때문에 단순히 창문을 열어 환기가 어려운 경우 대형 환기 시스템을 설치해 정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야 하며, 환기장치는 1시간당에 2회 이상 작동해야 한다. 기초생활공간의 공간구성 측면에서는 공용화장실/욕실, 공용주방의 면적은 입주자 수에 따라 적절한 면적 계획해야 한다. 공용주방 및 공용화장실/욕실 등은 입주자 이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방형 또는 반 개방 형태를 계획해야 하고 24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층별로 공용주방, 공용세탁실/건조실, 공용화장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기초생활공간 활용 시 동선의 원활성을 확보해야 하고 이동경로 중의 장애물을 줄여야 한다. 색채 및 마감재 측면에서 청소 용이하고 미끄럼 방지 및 방수 성은 높은 재료를 사용하면 좋다. 가구배치 측면에서 가구와 가전 설치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공용주방에서 입주자의 선호에 따라 식사할 수 있는 의자, 소파와 식탁을 배치해야 하며, 의자는 1인용 의자 위주, 테이블은 원형이나 2인 또는 4인 대면형을 위주로 설치해야 하면 좋고 의자 및 식탁의 수 및 크기는 입주자 수에 맞게 설치해야 한다. 실내환경 측면에서 각 기초생활공간에는 열 수 있는 창문이 있어야 하나 환기장치는 개폐 가능한 창문 대신 사용 가능하여 공간에 창문을 계획이 어려운 경우에 다른 환기장치가 있어야 하며, 시간당 5회 이상 환기해야 한다. 또한 각 공간은 실내 활동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 인공조명 또는 전기조명을 갖추어야 하며, 조명의 밝기는 방의 기능에 적응해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6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1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