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 0

감성적 특성을 고려한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디자인 요소 연구

Title
감성적 특성을 고려한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디자인 요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Elements of Automobile Exhibition Hall Consider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Author
송후캉
Alternative Author(s)
Song, Xu Kang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velops quickly, the sales form of many brands is transforming from conventional sales spaces to Internet sal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s of June 2022, online distribution companies increased by 10.3%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in terms of sales composition ratio by business type, online sales accounted for 48.6%.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 most automobile sales industries shifted the sales function of some flagship stores to online sales channels. Automobile purchases, the second most valuable product after residential spaces, formed the huge consumption layer. As automobile products continue to develop and diversify, people's demands for cars are increasing. Customers that visit automobile exhibition halls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cars account for only 31.4% of the total ratio. This is because the sales method through automobile exhibition halls is being replaced by online sales. However, most automobile exhibition halls are still for sales only. It doesn't provide diverse experiences and feelings to users in the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rs with diverse spatial experiences and increase the visiting rate through multiple methods. As online consumption increases, companies' offline spaces should get out of the past way of simply selling, and it should be converted into a space that can give consumers diverse experiences and emotional feelings, such as brand image, culture, and events. In other words, it induces diverse senses and empathy so that emotional characteristics can be utilized in the space, and it satisfies the emotional and individual needs of the audience. For this, this study analyzes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based on the spatial design elements of automobile exhibition halls, and it aims to present the design direction. First, automobile exhibition halls can be divided into 6 categories according to functions and roles: flagship stores, brand experience centers,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cafe-type exhibition halls, theme parks, and museums. As a result of the survey, 4 types were derived: flagship stores, brand experience centers,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and cafe-type exhibition halls.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 of diverse spaces inside and outside the exhibition hall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So in preceding research,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automobile exhibition hall was extracted. It was derived into 5 spaces: exhibition spaces, service spaces, attraction spaces, counseling space, and facad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tial design elements of automobile exhibition halls, 6 elements were derived: shape, moving line, graphics, materials, colors, and lighting. Third, preceding studies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desig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commercial spaces, cultural spaces, office spaces, and etc in the area of space and interior design were analyzed, and 5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sensitivity, symbolism, continuity, experientiality, and interaction that show emotional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6 spatial design element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show in the automobile exhibition hall space were classified into sensory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erived. Fourth, a case-by-case analysis is conducted. And according to the automobile exhibition hall type, it is based on 4 types of flagship stores, brand experience centers, corporate complex cultural spaces, and cafe-type exhibition halls. The exhibition halls of each type selected 2 best cases and conducted field surveys. 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each space for each case were analy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case, it was possible to draw differences by space and suggest supplement points. Internet sales in the automobile industry replace conventional sales-oriented exhibition centers. In the meantime, the number of customer visits to automobile exhibition halls is quickly decreasing.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patial design elements that appear in automobile exhibition halls through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improve and activate the space of existing automobile exhibition halls. In order to improve the sales function of the automobile exhibition hall and convert it to diverse spaces, it is necessary to enrich the existing spatial environment by combining diverse spatial functions. In the future, the number of cases relevant to domestic and foreign automobile exhibition spaces will be more expanded and surveys or interviews will be conducted. Through this, research on collecting user opinions on automobile exhibition halls is requir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lack of visits by automobile exhibition hall users.| 4차 산업혁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많은 브랜드의 판매 형태가 전통적인 판매공간에서 인터넷 판매로 바뀌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2년 6월 기준 온라인 유통업체는 전년 대비 10.3% 증가하였고 업태별 매출 구성비는 온라인 매출에서 48.6%를 차지했다. 이러한 소비 행태 변화에 발맞춰 대부분의 자동차 판매업계는 일부 플래그십 스토어의 판매 기능에서 온라인 판매 채널로 이동하였다. 주거공간 다음으로 가치가 높은 상품인 자동차 구매는 거대한 소비층을 형성하였다. 자동차 제품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다원화되면서 사람들의 자동차에 대한 요구는 증가되고 있다.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자동차 전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은 전체 비율의 31.4%만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자동차 전시장을 통한 판매 방식이 온라인 판매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동차 전시장은 여전히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체험과 느낌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다양한 공간 체험을 제공하고 방문률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기업의 오프라인 공간은 단순히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과거의 방식에서 벗어나브랜드 이미지, 문화, 행사 등 소비자에게 다양한 체험과 감성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즉, 공간에 감성적인 특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감각과 공감을 유도하고 관람객의 정서적, 개별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디자인 요소를 기준으로 각 공간에 나타나는 감성적 특성을 분석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자동차 전시장은 기능과 역할에 따라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체험관, 기업 복합문화공간, 카페형 전시장, 테마파크, 뮤지엄 6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조사 결과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체험관, 기업 복합문화공간, 카페형 전시장 4가지를 도출하였다. 전시장 내외의 여러 공간의 분포 및 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해서 선행연구에서는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 구성을 추출하였으며, 전시공간, 서비스공간, 어트랙션공간, 상담공간 및 파사드의 5가지 공간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디자인 요소를 분석한 결과 형태, 동선, 그래픽, 재료, 색채, 조명 6가지 요소가 도출되었다. 셋째, 공간 및 실내디자인 영역의 상업 공간, 문화 공간, 사무 공간 등에서 나타난 감성적 특성, 감성 디자인, 감성 디자인의 표현 특성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감성적 특성을 나타나는 감각성, 상징성, 연속성, 체험성, 상호작용성 5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6가지 공간디자인 요소를 결합하여 자동차 전시장 공간 내 나타나는 감성적 특성을 감각적 특성, 심리적 특성,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넷째, 사례별 분석을 진행하여 자동차 전시장의 유형에 따라 플래그십 스토어, 브랜드 체험관, 기업 복합문화공간, 카페형 전시장 4가지 유형의 전시장을 바탕으로 유형별의 전시장이 각 2개의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사례별 각 공간에서 나타난 감성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공간별 차이를 도출하고 보완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자동차 업계의 인터넷 판매는 전통적인 판매 위주의 전시장을 대체하면서 자동차 전시장의 고객 방문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성적 특성을 통해 자동차 전시장에서 나타나는 공간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기존 자동차 전시장의 공간을 개선하고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자동차 전시장의 판매 기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간 기능을 결합하여 기존 공간 환경을 풍부하게 해야 한다. 추후 국내·외 자동차 전시 공간 관련 사례의 수를 더 확대하고 설문조사 또는 인터뷰 조사를 통해 자동차 전시장에 대한 사용자 의견 수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자동차 전시장 이용자들의 방문이 부족한 상황을 개선할 것 을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73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1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