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 0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열의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Title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열의로 조절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Controlled by Job Enthusiasm i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uthor
이상이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Due to economic and social changes, difficulties in income and employment, and issues such as gender equality following women's advancement into society,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s naturally arose. As a policy for this, as the extent of government support for the act of 'raising' increased, the supply of childcare facilities also increased.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factors necessary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rai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what kind of support and measures are needed to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This study confirm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behavior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examines the role of job zeal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inner behavior of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I checked to see if I could have i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teachers who have joined the childcare teacher community site, and a total of 494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this study,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burnout, job enthusiasm,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asurement tools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Pearson's moment-rat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major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3 Mediat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finally,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of this study model was confirmed using the Macro 7 mod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 psychological burnou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behavior of emotional lab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second, job enthusiasm was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behavior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shown. Finally, it was prov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between the inner behavior of emotional labor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regul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enthusiasm.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introducing internal behavior, which is a positive aspect of emotional labor, it was suggested that childcare teachers should increase internal behavior of emotional labor by controlling their emotions. Second, it suggested that practical measures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nout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are needed in order to support teachers to provide high-quality interactions to children. Lastly, as this study proves the importance of childcare teachers' work enthusiasm, research on childcare teachers' job enthusiasm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teachers can be supported to work with pride and passion for their job. I put a point on doing i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경제적, 사회적 변화로 인한 소득과 고용의 어려움, 여성의 사회진출 이후 이어지는 양성평등과 같은 문제들로 인해 저출산의 문제가 자연스럽게 발생하였다. 이를 위한 정책으로 ‘양육’이라는 행위를 국가에서 지원하는 폭이 늘어나면서 보육시설의 공급 또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영유아들의 양육을 맡고 있는 보육교사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떠한 지원과 대책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과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직무열의가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조절효과로서의 역할을 가질 수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서울 소재의 국공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와 보육교사 커뮤니티 사이트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494명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측정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기술통계 분석,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분석,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Macro 7번 모형을 활용하여 본 연구 모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첫째, 심리적 소진은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과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둘째, 직무열의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과 교사-아동 간 상호작용 사이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가 직무열의의 수준에 따라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정노동의 긍정적 측면인 내면적 행동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보육교사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함으로써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을 높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두 번째는 보육교사가 아동에게 양질의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을 낮추어줄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보육교사의 직무열의의 중요성에 대해 증명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열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서 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열정을 가지고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는 것에 시사점을 두었다. 마무리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841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563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