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9 0

체질량지수와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변화의 관련성

Title
체질량지수와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변화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changes of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 2020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uthor
이정헌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 Heon
Advisor(s)
김유미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론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대유행의 확산을 막기 위해 보건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비대면 정책을 시행하여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제한하였다. 이러한 비대면 정책은 외식과 배달음식과 같은 식습관에 큰 변화를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편리함을 추구하는 1인 가구와 여성은 배달음식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배달로 공급하는 음식은 열량과 지방, 염분의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아 비만과 만성질환 및 관련 합병증의 위험이 우려된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변화를 파악하고, 성별과 가구원수에 따른 체질량지수와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비만 예방을 위한 연구와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단면연구로 전체 229,269명의 조사대상자에서 식사 조절이 필요한 당뇨병 및 고혈압 환자와 결측치를 제외한 149,92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변수는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의 섭취 변화를 포함한 식습관 특성으로 정의했고, 설명변수는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를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토대로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으로 정의했고, 공변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신체활동 특성, 코로나19 격리 여부로 정의하였다.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가 증가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배달음식 섭취가 증가한 그룹과 감소한 그룹으로 구분하여 복합표본 적합도 검정(Goodness of fit test)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수행했고, 그룹 간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 검정(T-test)을 수행하였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변화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복합표본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는 여성(51.31%)이 남성(48.69%)보다 많았고, 연령은 39세~49세(22.20%)가 많았고, 가구소득은 7,200만원 이상(25.20%)이 많았다.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증가는 여성(36.33%)이 남성(34.23%)보다 많았고, 비만은 남성(37.58%)이 여성(17.46%)보다 많았다.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의 섭취가 증가했는지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가구원수와 상관없이 배달음식 섭취 증가가 많았고 배달음식 섭취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 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체질량지수와 배달음식 섭취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 1인 가구(OR 1.19, 95% CI 1.04-1.35)와 여성 다인가구(OR 1.11, 95% CI 1.05-1.16)의 과체중 이상에서 양의 관련성을 확인했고, 체질량지수와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 섭취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 1인 가구의 과체중 이상(OR 1.28, 95% CI 1.04-1.56)에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여성 1인 가구에서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배달음식의 섭취가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비만과 만성질환의 예방정책과 사업 수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Background In 2020, the govern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implemented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 including social distancing to control and prevent the further spread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pandemic, limiting the daily activitie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t is assumed that the NPIs has changed dietary habits including eating out and the use of delivery food. Especially, the probability of eating delivery food and takeaway is high in single-person households or women who pursue convenience, and delivery food normally has high calories with high levels of fat and sodium. These dietary habit changes can increase the risk of obesity and various chronic diseases, posing a public health threat with social and economic burden among the popul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of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changes of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by the number of households. Methods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produc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in 2020. A total number of 149,923 subjec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excluding diabetes and hypertension patients who require a meal plan and missing data from 229,269 survey participants aged ≥19 years. The outcome variables were changes of eating delivery food and dietary habits. The response variable was BMI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underweight,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ity. The covariate variables were the following: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activities and COVID-19 quarantine. Also, we conducted the Goodness of fit and Chi-square test to identify the increase in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and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BMI among BMI. Moreover,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changes of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Most of the survey subjects were women (51.31%), persons aged 39-49 years (22.20%), and persons with an annual income of over 7,200 million won (25.20%). The proportion of the increase in delivery food was higher in women (36.33%) than in men (34.23%), and the proportion of the obesity was higher in men (37.58%) than in women (17.46%).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changes of eating delivery food and changes of eating instant food. Also, we observed the increase in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in all subjects except for aged over 59 years old (p<0.05). Moreover, we identifi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MI≥23 and eating delivery food in a single man (OR 1.19, 95% CI 1.04-1.35) and non-single women (OR 1.11, 95% CI 1.05-1.16), as well as between BMI≥23 and the increase in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in a single woman (OR 1.28, 95% CI 1.04-1.56).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 of eating delivery food after COVID-19 and high BMI in a single woman. Thes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provide pivotal information for obesity-related policies and guidelin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48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5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S](보건대학원) > MEDICAL SCIENCE(의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