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4 0

서울시 공공자전거 총 주행거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Title
서울시 공공자전거 총 주행거리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Public Shared Bicycle Kilometers Travelled in Seoul
Author
이혁준
Alternative Author(s)
Lee Hyeokjun
Advisor(s)
고준호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 bike sharing system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n active transportation and is widely used worldwide. The success of the bicycle sharing system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nd even within the same city, the level of utiliz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reg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 the number of users and the level of use in a specific region.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existing studies do not consider the distance of trip or the global influencing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ublic bicycles in Seoul through bike kilometers traveled(BKT) and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public bicycles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efficient public bicycle operation. To calculate BKT, I built a new bicycle road network, and by map matching the network and public bicycle driving log, I build public bicycle driving route data. From the data, the BKT of public bicycles on weekdays and weekends was calculated. As an analysis model, a spatial econometric model and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model are used as analysis models to consider spatial autocorrelation and analyze both global and local impacts. For the analysis of global influencing factor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OLS, SLM and S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itability of each model, SEM was selected as the optimal model for global analysis. SEM analysis results show that travel purpose of using public bicycles differs from commuting on weekdays and leisure on weekends. GW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local influencing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spatial heterogeneity exist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Local R² and explanatory variable coefficients. The coefficients of most explanatory variables were consistent with the OLS results. But in som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For more detailed analysis, individual analysis of several variable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ttractive areas such as Jungnangcheon Stream and Anyangcheon Stream promote the use of public bicycles around them. The efficiency of additional supply of public bicycles seems to vary depending on supply and demand of area. In addition, result shows that the attractiveness of public bicycles increases as they go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and the attractiveness decreases in areas with excellent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trip of public bicycles is mainly concentrated on short-distance trip,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 main modes of travel. The fact that bicycle roads were not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all analyses during the study suggests that bicycle paths and infrastructure are still insufficient, especially in bicycle trip in the urban road. |최근 자전거 공유 시스템이 활동적 교통수단으로 많은 주목을 받으며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자전거 공유 시스템의 성공은 도시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이며 같은 도시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활용도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요인들이 특정 지역의 이용자 수와 이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통행 거리를 고려하지 않거나 전역적 영향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자전거 총 주행거리 및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서울시 공공자전거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공공자전거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총 주행거리 산출을 위해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를 새롭게 구축하고 네트워크와 공공자전거 주행데이터를 맵 매칭하여 공공자전거 주행경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경로데이터로부터 행정동 별 공공자전거 주중, 주말 총 주행거리를 산출하였다. 분석 모형으로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고려하고 전역적, 지역적 영향을 모두 분석하기 위해 공간계량모형과 지리가중회귀모형을 분석모형으로 사용한다. 전역적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OLS, SLM SEM을 통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결과 SEM이 전역적 분석의 최적모형으로 선택되었다. SEM모형 분석결과 공공자전거의 이용목적이 주중엔 통근, 주말에는 여가·레크레이션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지적 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GWR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Local R² 및 설명변수 계수의 분포를 통해 공간적 이질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설명변수의 계수는 OLS 결과와 부호가 일치했으나 몇몇 변수의 경우 부호가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한 분석을 위해 몇가지 변수에 대한 개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중랑천, 안양천 등 매력도가 높은 지역은 주변의 공공자전거 이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자전거 추가공급의 효율은 매력도가 높은 지역일지라도 수요와 공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도시외곽일수록 공공자전거의 매력도가 높아지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에서는 매력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공자전거의 통행이 주로 단거리 통행에 집중되어 있으며 주 이동수단으로의 활용이 어렵다는 점을 나타내며 연구를 진행하면서 모든 분석에서 자전거도로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지 않았던 점은 특히 도시부에서 자전거 통행에 있어 아직 자전거도로 및 인프라가 미흡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9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5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