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3 0

공영주차장 이용특성과 이용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공영주차장 이용특성과 이용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Public Parking Lot and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Rate: Focusing on Public Off-street Parking Lot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uthor
고두환
Alternative Author(s)
Go DooHwan
Advisor(s)
최창규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공영주차장 이용률 개선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행태특성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기존 연구처럼 설문에 기반하거나 주차장 및 근린환경 수준에서 회전율과의 영향 관계만을 분석하는 한계를 넘어설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차장 실제 이용자 데이터와 운전자 개인 특성, 차량 특성, 주차장 특성, 근린환경 특성 등 공영주차장 이용률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이용률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영주차장에 설치된 주차관제시스템에 기록되는 차량 입·출차 정보와 자동차등록 행정정보를 결합하여 공영주차장 이용자의 주차장 이용 특성을 파악하고 공영주차장 회전율과 주차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개인 및 차량 특성에 대해 주차시간과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수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전율 영향요인 실증분석에서는 주차장 및 근린환경 특성과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를 관련 선행연구와 비교하였다. 회전율과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대부분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급지, 주차장 설치 유형, 불법 주·정차 단속 CCTV 설치 유무, 건축물 평균 사용연도, 지하철역 유무, 토지이용(상업) 변수는 회전율과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의미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기존 주차장 관련 연구에서는 주차시간과 개인 및 차량 특성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검토되지 않았던 주차시간과 개인 및 차량특성, 주차장 및 근린환경 특성 간의 분석을 통해 개인 및 차량 특성이 주차시간에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 및 차량과의 영향 관계 분석에서 개인 특성 측면에서는 성별, 나이, 이용 요일과 입차 시간에 따라 주차시간 영향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를 참고하여 요일별, 시간대별 요금정책 등에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주차장 및 근린환경 특성에서는 급지, 주차장 유형, 불법 주·정차 단속 CCTV 유무, 토지이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고 이들 변수는 입지, 단속정책, 요금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향후 공영주차장 주차시간 규제 관련 정책인 주차시간 상한제와 같은 제도 도입 시 검토해야 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인천시를 대상으로 공영주차장 회전율 및 주차시간 영향요인 확인을 통해 어떠한 변수들이 중요한 영향 관계를 나타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까지 인천시 공영주차장 공급은 계획적이기 보다는 양적인 확대 정책에 가까웠다. 그 결과 이용률이 낮은 공영주차장들이 생겼고 토지에 대한 활용도는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회전율과 이용 효율이 모두 낮은 공영주차장에 대해서는 운영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주차장으로 활용도가 저조할 경우 공영주차장 운영 개선을 통해 보다 더 가치 있는 용도로 주차장을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 공영주차장 공급 시 체계적인 계획수립과 분석을 통해 공영주차장 전체적인 이용률 개선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공영주차장 공급 시 입지 선택과 주차장 조성 후 관리·운영 단계에서 급지설정, 주차시간 상한제 등 관련 정책추진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o improve the use rate of public parking lo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sers in detail. Further,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nalyzing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rnover and the turnover based on questionnaires from existing studies or at the level of parking lot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examine the turnover rate and parking time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that are estimated to be related to public parking lot usage rate, such as real parking lot user data, driver's behaviors, vehicle characteristics, parking lot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arking lot usage characteristics of public parking lot users by combining vehicle entry/exit information and vehicle registration administrativ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rking control system installed in public parking lot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public parking lot turnover and parking time. In addition,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king time and individual behaviors,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before.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urnover influencing factor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arking lot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related studies. Most of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turnover rate and parking rate, parking lot installation type, presence or absence of CCTV for illegal parking/stopping, average age of buildings, existence of subway stations, and land use (commercial) variables; this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turnover rate. In previous studies on parking lots, parking time and individual and vehicle characteristics were not considered. This study performed an analysis of the parking time and confirmed that individual and vehicle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 the parking time, individual and vehicle characteristics, and parking lot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s and vehicles, the relationship of the parking tim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 gender, age, day of use, and entry time. Variables such as parking rate, type of parking lot, presence of CCTVs for illegal parking/stopping enforcement, and land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ce these variables are related to location, enforcement policy, and fee, future parking time regulation in public parking lots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hat needs to be reviewed when introducing a system for aspects such as maximum parking tim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public parking lot turnover and parking time, focusing on Incheon City. Until recently, the supply of public parking lots in Incheon was decided based on a quantitative expansion policy rather than a planned one. As a result, public parking lots with low utilization rates have been created, and land utilization is declining. This study proposes conducting a survey on the operation status of public parking lots with low turnover and utilization efficiency and to operate parking lots for more valuable purposes by improving public parking lot operation if utilization of a parking lot is low. In addition, when supplying public parking lots in the future, systematic planning and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the overall utilization rate of public parking lo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effectively promote related policies such as location selection and parking lo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when supplying public parking lots in the futur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1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5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