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 0

스마트 도시 서비스가 초등학생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동구를 중심으로-

Title
스마트 도시 서비스가 초등학생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동구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City Services on the Saf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eongdong-gu -
Author
강다원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many cities in the world and our country are interested in smart cities, and they are promoting or trying to introduce smart technologies. A smart city means a sustainable city that uses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connect the city’s major infrastructures with smart technologies, ultimately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saf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socially weak, in the smart city service implemented in Seongdong-gu,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reas where smart city services are insufficient. The spatial scope was for commuting routes near 21 elementary schools in Seongdong-gu, Seoul. The time range was set to 2022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data constructed through the survey, the deviation in the satisfaction of Seongdong-gu’s smart city service was identified.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to kn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ne-way ANOVA, traffic satisfaction analysis by parent age group and residential area was conducted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ne-way ANOVA, the runway guidance light and voice guidance system were the most satisfactory, and the yellow carpet and plateau-type crosswalks were low. In the lower grades, there is a need to receive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the traffic safety guard who can experience the body directly at the age of lact of concentration and patience. It is hoped that parents will be installed on more pedestrian crossings, which are installed only in front of a small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in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lysis, floor traffic lights=LED traffic lights and voice guidance functions, which are one of the functions of smart crosswalks, gave satisfaction to paretns. In the case of pedestrian runway guide lights and pedestrian crossing guide lights installed in apartments and mainly large roads, there were opinions that they wanted to be installed on narrow roads and alley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saf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implications of smart city service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city and the citizens of the city using advanced smart technology was high. In areas where smart city services are insuffici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introduce smart technologies whth physical infrastructure, and devices should be prepared for citizens to actively intervene in smart city services. Second, smart crosswalks equipped with stop-line violation vehicle controal and voice guidance warning to jaywalking pedestrians are installed near elementary school commuting paths to provide visual and auditory protection for the safety of drivers driving in the child protection zon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ossing school roads. Final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may suddenly jump or act unexpectedly when crossing at a crosswalk due to lack of patience and endurance. There is a need for safety education to listen to the voiceguidance system of the smart crosswalk, cross the crosswalk, and look around enough to cross the roa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they may not be able to distinguish toe surrounding sound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concentrating on the smartphone. This suggests that traffic safety education is needed to stop the smartphone while walking on the crosswalk and to walk while closely examining the traffic situation on the road. |최근 세계 여러 도시와 우리나라에서는 스마트 도시에 대한 관심이 커져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거나 추진하려고 한다. 스마트 도시는 최신 정보통신기술들을 활용하여 도시의 주요 기반시설을 스마트 기술들로 서로 연결되게 하며, 궁극적으로 스마트 기술들을 활용하여 도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동구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스마트 도시 서비스가 사회적 약자인 초등학생의 보행환경 안전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보행 환경 개선과 스마트 도시 서비스가 미흡한 지역에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성동구의 21개의 초등학교 근처 통학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22년으로 설정하였고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동구의 스마트 도시 서비스의 만족도의 편차를 파악하였다. 초등학생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알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학부모 연령대별, 거주지역별 통행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원배치 분산분석에서 활주로유도등과 음성안내 시스템이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왔고, 옐로카펫과 고원식 횡단보도의 만족도가 낮게 나왔다. 저학년은 집중력과 인내력이 부족한 나이로 직접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통안전지킴이에게 교통 안전 교육을 받아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소수의 초등학교 등굣길 앞에만 설치되어 있는 고원식 횡단보도를 학부모들이 보다 많은 등굣길에 설치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둘째,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스마트 횡단보도의 기능 중 하나인 바닥신호등=LED신호등과 음성안내 기능이 학부모들에게 만족도를 주었다. 아파트와 주로 큰 도로의 설치되어 있는 보행자활주로유도등과 횡단보도유도등의 경우 좁은 도로와 골목길에도 설치를 희망하는 의견이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들을 통해 초등학생 보행환경 안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스마트 도시 서비스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첨단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도시와 그 도시의 시민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도시 서비스가 미흡한 지역에서는 물리적인 기반시설을 갖추고 스마트 기술을 도입고자 노력해야 하며, 스마트 도시 서비스에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정지선 위반차량 단속과 무단횡단 보행자에게 음성 안내 경고 기능을 갖춘 스마트 횡단보도가 초등학교 통학로 근처에 설치되어 어린이보호구역을 운전하는 운전자와 통학로를 횡단하는 초등학생들의 안전을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는 기능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저학년 초등학생의 경우 사리분별이 정확하지 않고 참을성과 인내력이 부족하여 횡단보도에서 횡단할 때 갑작스레 뛰거나 돌발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스마트 횡단보도의 음성 안내 시스템을 듣고 횡단보도를 횡단하고 주위를 충분히 살피어 길을 건너야 한다는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고학년 초등학생의 경우, 스마트폰에 집중하여 주위의 소리나 주위 환경이 어떤 상황인지 분간이 안 가는 경우가 있다. 횡단보도 보행시 스마트폰을 잠시 멈추고 도로의 교통상황을 면밀히 살펴보면서 보행해야 한다는 교통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43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4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