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 0

생활기반시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생활기반시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Living Infrastructure on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25 Districts in Seoul -
Author
박진용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경제발전과 소득 증가 등에 따라 삶의 만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삶의 만족과 관련되는 생활기반시설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삶의 만족 향상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민의 복리증진과 삶의 만족 향상, 지역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생활기반시설의 공급 문제를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주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과 생활기반시설 공급에 따른 효과성 등을 밝히고 정책에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생활기반시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객관적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삶의 만족과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이용 만족도 등 주관적 경험을 활용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일부 객관적 지표만을 이용한 연구의 경우 국가 차원이나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연구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기반시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관련하여 기초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로 객관적 지표를 활용한 연구이다. 연구의 범위는 2011년, 2013년, 2015년, 2017년, 2019년의 5개 연도로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종속변수는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치구별 삶의 만족도를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선행연구와 문헌 검토를 통해 생활기반시설 중에서 도서관, 공연장, 도시공원, 생활권공원, 사회복지시설을 변수로 설정하였고 통제변수로는 재정규모, 재정자립도, 빈곤층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인구 10만 명당 도서관이 1개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1.2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가설과 반대되는 것으로 생활기반시설의 단순 공급만으로는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인구 10만 명당 공연장이 1개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0.06%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주민이 공연장 이용을 통한 문화예술 활동 참여로 삶의 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도시공원과 생활권공원 면적은 삶의 만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의 경우 공원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가 모두 있다. 그러나 공원의 역할과 기능을 보았을 때 삶의 만족과 관계가 없다고만 해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시설이 1개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0.21%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시설이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로 다양한 연구에서 거론하고 있는 NIMBY 현상과 함께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생활기반시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관련하여 기초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로 객관적 지표를 활용한 연구라는 것이다. 둘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모집단을 대표하는 충분한 표본수와 정기적인 설문조사에 의해 확보된 객관적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연구의 다양성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셋째,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기반시설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기반시설 공급의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한편 본 연구의 정책제언은 첫째, 생활기반시설의 확충과 함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생활기반시설의 복합화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키며, 생활기반시설 공급에 소요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원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지역별 생활기반시설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효율적 재정지출과 지역발전 및 지역주민 생활 지원을 위한 안정적인 재정지출이 가능 할 수 있도록 재정 확보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설정했던 가설이 모두 채택되지는 못하였으나 생활기반시설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 자료를 통해 기초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처음으로 분석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 As economic development and income increase, interest in life satisfaction is increasing, and along with this, the demand for living infrastructur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s also increasing. Improving life satisfaction cannot be solved with individual efforts alone, and the role and effort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ll be required. As a local government that has to solve the problem of improving the welfare of residents,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supplying living infrastructure that reflects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ly of living infra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efforts are needed to clarify and reflect them in polic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iving infrastructure on life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to verify it using objective data.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have mainly used subjective experiences such as user satisfaction, and studies using only some objective indicators have only been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or the level of metropolitan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conduct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relation to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living infrastructure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it is a study using objective indicators. The scope of the study is 2011, 2013, 2015, 2017, and 2019, covering 25 autonomous districts in Seoul. As a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by autonomous district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as us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library, performance hall, city park, living area park,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among living infrastructur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inancial scale,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poor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analyzed that when the number of libraries per 100,000 population increases by 1, life satisfaction decreases by 1.29%. This is contrary to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it is that the simple supply of living infrastructure cannot improve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by 0.06% when one performance hall per 100,000 population in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residents' satisfaction with life increases through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rough the use of the performance hall.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area of city parks and living zone park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previous studies, there are both studies that parks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tudies that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However, based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park, it cannot be interpreted that it i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analyzed that life satisfaction decreased by 0.21% when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reased by one. This can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NIMBY phenomenon, which is discussed in various studies as social welfare facilities target the vulnerable class in need of social suppor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first, that it is the first study attempt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n relation to the causal relationship of living infrastructure on life satisfaction and is a study using objective indicators. Second, it has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and contributed to the diversity of the study by utilizing sufficient samples representing the population and objective data by regular surveys to measure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living infrastructure that affects life satisfaction for local governments and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of supplying living infrastructure based on this. On the other hand, the policy proposal of this study is, firs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long with the expansion of living infrastructure. Second, through the complex of living infrastruc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services more effectively,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governments required for the supply of living infrastructure. Third, efforts are needed to bridge the gap in living infrastructure by region, and lastly, efforts are needed to secure finances so that stable financial expenditures for efficient financial expenditure, reg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for local residents' lives are possib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impact of living infrastructure on life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objective data, although not all of the hypotheses set were adopt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17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4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