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 0

효명세자(翼宗)의 시조와 의미 ― <(六堂本)靑丘永言> 所載 시조를 중심으로

Title
효명세자(翼宗)의 시조와 의미 ― <(六堂本)靑丘永言> 所載 시조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aning of Prince Hyomyeong’ Sijo― focusing on the Sijo in the “(Yukdangbon) Cheonggu Yeongeun”
Author
김상진
Keywords
Literary monarch. Crown Prince Hyo-myeong; Royal feast; Yukdangbon Cheonggu Yeongeun; Isakdaeyeop; Uigwe in June 1829; 문예군주; 효명세자; 진찬연; 청구영언 이삭대엽; 기축 유월
Issue Date
2021-07
Publisher
한국시조학회
Citation
시조학논총, NO. 55, Page. 55-83
Abstract
이 논문은 문예군주 효명세자(翼宗)가 창작한 일련의 시조에 대한 연구이다. 효명세자는 이례적으로 순조가 활발하게 政事를 살필 수 있을 나이에 세자로써 대리청정을 하였고, 대리청정 기간 동안 세 차례의 진찬연을 베풀었다. 이러한 진찬연에서 歌曲이 소용되었고, 가곡으로 불린 일곱 수의 시조가 <(육당본)청구영언> ‘이삭대엽’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은 연시조는 아니지만 동일 현장에서 순차적으로 불림으로써 그 차서에는 나름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삭대엽’에 수록된 시조의 순서와 의미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효명세자의 또 다른 시조인 <가곡원류> 에 수록된 네 수의 시조 및 <예제> 에 전하는 일곱 수의 ‘歌詞’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가곡원류> 에 전하는 효명세자의 시조는 <청구영언> 이나 또 다른 가집에는 작자 미상, 또는 다른 작자의 작품으로 소개되어 있으므로 작자 辨正을 먼저 하였다. 이들 시조의 검토는 효명세자 시조의 성격을 고찰하는데 한몫하였다. 이어 <예제> 의 ‘가사’ 일곱 수로 구성되어 진찬연에서 불림으로써 <청구영언> 소재 시조와 동일한 목적으로 소용된 것으로, 이 또한 <청구영언> 소재 시조의 연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己丑 六月의 의궤에서 불린 <청구영언> 소재 일곱 수의 시조는 잔치의 진행에 따라 그 내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즉 1)四旬稱慶의 和樂, 2)治績의 찬양 3)萬壽無疆의 축원이 그것이다. 효명세자가 창작한 일련의 시조는 효명세자의 문집이 아닌 일반 가집에 전하고 있어서 효명세자가 창작한 여타의 문학작품과 구분된다. 따라서 효명세자의 시조가 언제, 어떻게 소용되었는지의 명확한 기록은 전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에 대한 기왕의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확증할 수 있었다. 동시에 그의 시조가 지니는 문학적 성과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로써 시조작가로서의 효명세자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This paper is a Sijo study created by Crown Prince Hyomyeong (효명세자), the Literary monarch. Crown Prince Hyomyung was an unusually Proxy politics(대리청정) as a prince at the age when King Soon-jo(순조) could actively engage in politics. He gave three Royal feasts during the Proxy politics period. Gagok(歌曲) was used for the feast at this time. The seven Sijos, which were sung as Gagok, are included in the “(Yukdangbon) Cheonggu Yeongeun (육당본) 청구영언” ‘Isakdaeyeop(이삭대엽)’. These are not Yeonsijo(연시조), but they are called sequentially at the same field, so the order is assumed to have its own mean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order and meaning of the Sijo in ‘Isakdaeyeop’. In this paper, prior to the full-fledged study, the four Sijo contained in Prince Hyomyeong's other Sijo in “Gagok Wonryu(가곡원류)”, and the seven ‘Gasa(歌詞)’ conveyed in “Yeje(睿製)” were reviewed. The founder of Prince Hyomyeong, who was introduced to "Gagok Wonryu ", first discussed who the author was. Then, the seven ‘Gasa’ in “Yeje” were reviewed. They were sung at a royal feast and are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for the same purpose as the Sijo of “Cheonggu Yeongeon”. This work will help to consider the nature of Prince Hyomyeong's founder.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of the seven Sijos in “Cheonggu Yeongeon” called in ‘Uigwe in June 1829 (기축 유의궤)’, were found to have carried out in the ored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feast. In other words, it is 1)Happiness of the 40th birthday, 2)Praise of the achievements, 3)Blessing of longevity. The Sijo works created by Prince Hyomyung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literary works created by Prince Hyomyeong because it is delivered to a general Gajip(歌集) rather than his works. So much, it is not known when Prince Hyomyeong's Sijo was used. So,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lso considered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his Sijo.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newly recognize Prince Hyomyung as a poetry artist.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854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8532
ISSN
1226-2838
DOI
10.35610/keosls.2021.07.55.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한국언어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