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 0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

Title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
Other Titles
The Identity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Author
임혜정
Keywords
향제삼현육각; 특징; 거상악; 긴염불; 굿거리; 타령; Hyangje Samhyunyukgak; identity; Geosangak; Ginyeombul; Gutgeori; Taryeong
Issue Date
2019-08
Publisher
한국공연문화학회
Citation
공연문화연구, v. 39, page. 749-774
Abstract
향제 삼현육각을 발굴하고, 복원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필요조건으로서의 향제 삼현육각의 정체성 규명 작업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궁중에서 전승되었던 삼현육각과 구분되는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에 관해서 논의해 보고자 했다. 우선 악기편성과 관련된 향제 삼현육각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유동성”을 꼽아볼 수 있겠다. 각 지역의 연주자 및 연주 환경에 따라서 가변적인 형태로 연주되고, 변화되어 온 것이 향제 삼현육각 악곡편성의 특징인 것이다. 피리 둘, 해금, 대금, 장구, 북의 삼현육각 기본 악기편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나타났던 것은 주로 궁중에서 연주된 삼현육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다르게 향제 삼현육각에서는 상황에 따라서, 또는 연주되는 장르에 따라서 이들 악기 중 일부가 생략되기도 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가야금, 아쟁, 단소, 퉁소 등이 편성되기도 했다. 다음으로 악곡구성과 관련해서 향제 삼현육각의 음악들은 용도가 같으면 주로 같은 악곡명의 음악이 연주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중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거상악의 가변성을 들 수 있다. 향제 삼현육각 중 거상악의 용도로 연주된 음악은 주로 대풍류였지만, 자진한잎이나 염불, 그리고 대풍류 중에서도 앞의 느린 악곡들을 생략한 염불도드리 이후 곡, 상령산을 본 딴 자유리듬의 곡 등으로 대체가 가능한 음악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각 지역별로도 달랐겠지만, 각 지역 안에서도 무속음악, 사가의 연향, 향교의 제사 등 어떤 상황 속의 거상인지에 따라서도 음악이 달라졌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긴염불>, <굿거리>, <타령> 등의 경우에 비추어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향제 삼현육각 음악의 연원과 관련해서는 궁중에서 연주되던 삼현육각 음악 외에 각 지역에서 연주되고 있는 무속 음악이나 민요 등과의 관련성이 특징 중 하나로 고려되어야 한다. 물론 이는 향제 삼현육각의 개별 악곡별로 구분해서 더 논의를 진행시킨 후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각 지역 간의 향제 삼현육각의 교류와 관련해서는, 주로 장단에 대한 공유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보는 바이다. In the situation where the interest of the academics related to the Hyangje Samhyunyukgak is increasing, the task of identifying the identity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should precede.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distinguished from the court style Samhyunyukgak. First, we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 organization. In the form of the Hyangje Samhyunyukgak, the composi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is flexible. Depending on circumstances such as the geographic reg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player, the set of instruments were added or reduced. The second part relates to composition of music. Among the various pieces of music, a piece of music to be selected in a specific situation is music pieces related to the use of the piece of music in depth. In this phenomenon, the music with the greatest change is Geosangak(거상악). The music played as Geosangak repertoire showed various musical pieces that are related to various situations in different regions. Finall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origins of Hyangje Samhyunyukgak music. Compared to the songs of Ginyeombul(긴염불), Gutgeori(굿거리), and Taryeong(타령), it is difficult to totally exclude the relationship from the local music genre. And I could guess that such a common denominat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Jangdan.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70085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7669
ISSN
1598-981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USIC[S](음악대학)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