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8 0

돈황석굴과 골굴석굴의 전실 건축 비교 연구

Title
돈황석굴과 골굴석굴의 전실 건축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the Front-Room Architecture of the Grottoes Mogauku in Dunhuang and Golgulam Grottoes in Gyeongju
Author
한동수
Keywords
Dunhuang Grottoes; Gyeongju Golgulam Grottoes; All-Chamber Architecture; Restoration; Wooden-framed Foundation
Issue Date
2021-06
Publisher
한국불교미술사학회
Citation
강좌미술사, v. 56, Page. 99-117
Abstract
본 논문은 돈황의 석굴 막고굴과 경주의 골굴암 석굴의 전실건축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시간과 공간에 차이가 있지만, 발굴 조사를 통해 전면에 처마가 있는 다양한 전실이 확인되는 돈황 석굴 막고굴의 전실건축 가운데 주요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일부 복원 계획을 살펴 보았다. 또한 경주 골굴암 석굴 앞에 조영되었을 전실 복원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석굴사원의 전실 건축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와 사례를 조사한 후 관련 용어의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둔황 석굴 막고굴의 전실 건축 변화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문서와 사진을 통해 어느 정도 현실을 파악할 수 있는 전실 건축의 원형을 추적하였다. 고고학 발굴 상황은 대부분의 석굴 앞에 남아 있는데 제72-77굴 석굴 복원 계획 포함해서 제53굴 및 제55굴은 중국의 건축역사학자 소묵와 오소가 제안한 둔황 석굴 전실 건축의 복원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이를 통해 전실 건축 복원의 원리와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형적 특징을 고려하여 골굴암 석굴 복원 계획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복원 계획에 의거하여 석굴 전실은 표준화 된 구조가 아니라 지형 조건에 따라 목조틀로 구성된 간략한 구조체의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으며 그 근거로서 유사한 구조로 판단되는 일본의 가케즈쿠리 (懸造 り) 건축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돈황 석굴 막고굴과 관련해서는 발굴, 문헌 기록, 벽화 등 다양한 자료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원의 문제는 여전히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완전한 복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욱이 석굴 안팎의 종교적인 활동을 고려할 때 훨씬 더 어려운 일이다. 사실, 다양한 전실 구조가 있는 둔황 석굴 막고굴의 경우는 참고할 수 있는 단서가 적지 않지만 복원을 시도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다. 경주 골굴암의 전실 건축 복원을 위해서는 현재 심각하게 훼손된 지형을 비롯한 전체 환경을 과학적 방법을 통해 원래의 형태로 추적하고 상세한 현장 조사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복원 시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골굴암 석굴을 보호하기 위해, 현재 유적과 부조화를 이루며 중앙 부처만을 보호하기 위해 지어진 보호 시설 대신 신자와 숭배자들이 골굴암 석굴 전체에 효과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유적 전체를 보호 할 수 있는 보호 시설이 오히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복원은 다양한 관점과 상상력으로 수시로 할 수 있지만, 고고학 유적지에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주의가 필요하다.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9272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7140
ISSN
1226-6604
DOI
10.24828/AHJ.56.99.11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ARCHITECTURE(건축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