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 0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의 배치구조와 공간 변화

Title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의 배치구조와 공간 변화
Other Titles
Changes in Layout Structure and Space in the Vicinity of Jongno in Hanseong-bu(漢城府) in the Early 20th Century
Author
한동수
Keywords
licensed markets; government six licensed markets; daga(warehouse); jeonbang(merchants shops); sijeonjaega(baranch of licensed markets); association of merchants; 시전(市廛); 육의전(六矣廛); 도가(都家); 전방(廛房); 시전재가(市廛在家); 도중(都中)
Issue Date
2021-10
Publisher
한국건축역사학회
Citation
건축역사연구, v. 30, NO. 5, Page. 17-28
Abstract
조선시대 종로와 남대문로에 건설된 시전은 한양 상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개시 이후 신문물의 수입과 외국 상인의 등장으로 타격을 입고 쇠퇴하였다. 오랫동안 큰 변화없이 유지된 시전은 도심공간구조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에도 정확한 위치 비정이 되지 않아 연구의 한계로 남아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1912년 토지조사부를 기초로 하여 1910년 전후 시전 위치를 규명하고, 해체과정의 공간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912년 토지조사부를 분석한 결과 그 결과 38건의 필지에서 17개 시전의 종류와 정확한 지번을 파악해 낼 수 있었다. 육의전 소속 시전이었던 입전, 백목전, 지전, 포전, 저포전, 면주전과 동상전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후기 지도와 비교할 때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시전의 경우, 조선시대 기록에서 이문의 동서쪽에 있던 어물전이 입전과 인접하게 서쪽으로 이동한 것과 종로1가 북쪽에 있던 망문상전이 남쪽까지 확대된 것이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고 나머지는 큰 변동은 없이 유지되었다. 시전의 지점 역할을 하는 시전재가는 한성부 호적에서 지전재가의 사례로 볼 때 남자 거주자가 1명이며, 호주직업이 상인인 경우가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시전재가로 추정 가능한 한성부 호적의 위치를 살펴보면, 대부분 종로1∼3가로의 남북 후면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시전과 가까운 배후지에 분포하였다. 시전의 도가와 전방이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는 입전, 포전, 이전뿐이었으며, 백목전, 면주전, 지전의 도가는 대로변이 아닌 도로 안쪽 내부 필지로 새로운 터전을 마련하였다. 이는 시전의 쇠퇴과정에서 영업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도가를 우선 매각하였고, 지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 필지로 도가를 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The Sijeon (Licensed Markets) legally permitted by the government along the Jongno and the NamdaemunroAvenues played a central commercial role in Hanyang. However,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the late Joseonera, the Licensed Markets suffered a blow and declin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and the appearance of foreign merchants. Although the Licensed Markets, which have been maintained withoutmajor changes for a long time,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exact location hasnot been still determined, and researches until now has remained limited for such that. In this study, based on the 1912 land survey records, the location of the Licensed Markets pre-and post- 1910is identified, and the spatial change of the dismantling process is investigated.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131942004908.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7136
ISSN
1598-1142;2383-9066
DOI
10.7738/JAH.2021.30.5.01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ARCHITECTURE(건축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