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 0

COVID-19 확산에 따른 통행 수단 선택 변화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COVID-19 확산에 따른 통행 수단 선택 변화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nalysis of Travel Mode Choice Change by the Spread of COVID-19: The Case of Seoul, Korea
Author
이수기
Keywords
코로나-19; 통행행태; 통행수단 선택; 대중교통; 자전거; COVID-19; Travel Behavior; Travel Mode Choice; Public Transportation; Bicycle
Issue Date
2020-12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Citation
국토계획, v. 56, no. 3, page. 113-129
Abstract
통행수단 선택은 COVID-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상황에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감염병의 확산단계에따른 개인의 통행 행태 변화를 다각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COVID-19가 개인의 통행 행태에 미치는 영향은 수단별로 그 차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좁은 공간에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대중교통의 특성상 COVID-19의 감염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 개인이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보다는 승용차와 같은 개인 교통수단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반대로 승용차의 경우, 재택근무 등으로 인한 통행량 감소가 존재할 수 있지만, 감염병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아 감소 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중교통 이용자가 승용차로의 수단 전환을 시도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추가로 자전거 수단 또한 승용차와 유사하게 개인 교통수단이라는 특성이 있어 이용량 변화를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통행 목적에 따라 COVID-19로 인한 통행 행태가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필수 통행(통근 및 통학 통행)과 여가 통행의 변화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필수 통행은 여가 통행보다 전체적인 통행량 감소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단순히 COVID-19 확산 정도에 따른교통수단별 이용량 변화뿐만 아니라, 통행 목적에 따른COVID-19의 영향력을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transition to a non-contact society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s having a substantial impact on people’s lifestyles and travel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travel mode choice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how the spread of the virus affected the ridership of public transportation, personal vehicles, and shared bicycles. In addition, the impact of COVID-19 was examined by dividing ridership into weekdays and weekend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idership of transportation modes by the diffusion stage of COVID-19.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ublic transit such as subways and buses, the decrease in usag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mpared to other modes. On the contrary, the usage of personal vehicles and shared bicycles either barely decreased or even increased. Considering that telecommuting was partially implemented due to COVID-19, it can be assumed that individuals who took public transportation switched their mode to car or bicyc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in understanding people’s travel behavior regarding mode choice during a spreading epidemic, such as COVID-19. Also, this study could be used to establish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and mobility improvement strategies during the pandemic condition.
URI
http://kpaj.or.kr/_common/do.php?a=full&bidx=2608&aidx=2964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6341
ISSN
1226-7147; 2383-9171
DOI
10.17208/jkpa.2021.06.56.3.11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