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7 0

본산대놀이의 음악에 관한 추론-1930년대 채록본을 중심으로-

Title
본산대놀이의 음악에 관한 추론-1930년대 채록본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Inferring the Bonsandaenori Music from the 1930’s Yangju and Bongsan Mask Play
Author
임혜정
Keywords
본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영산회상; 십이가사; 경기무속음악; Bongsan Mask Play(봉산탈춤); Yangjubyeolsandae(양주별산대); Bonsandaenori(본산대놀이); Ginyeongsan(긴영산); Jungryungsan(중령산); Sipiigasa(十二歌詞); shamanistic music
Issue Date
2020-06
Publisher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Citation
한국문학과 예술, no. 34, page. 67-90
Abstract
본고에서는 1930년대의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채록본 비교 검토를 통해 현재는 단절되어 버린 본산대놀이의 음악을 추론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영산회상> 계열 음악, <십이가사>, <세마치>, 경기무속음악 등을 본산대놀이의 음악으로 짐작해 볼 수 있겠으며 근거는 다음과 같다. 상좌가 춤을 추는 장면의 경우 1930년대 채록본을 살펴보면 봉산탈춤에서는 <긴영산>,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염불>이 연주되었다. 그 중에서도 봉산탈춤의 <긴영산>이 더 이전의 형태로 판단된다. 그리고 노승이 등장하는 장면에 나오는 십이가사는 19세기 후반 이후 서울 및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음악으로, 같은 시점 서울에서 연행했던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에서 이를 포함시켰을 것이다. 즉, 십이가사의 삽입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연행되었던 본산대놀이의 특징적인 요소였다. 또한 양주별산대놀이의 중 소무당(小巫堂) 두 명이 추는 춤의 반주음악으로 1930년대의 채록본에서는 <중령산>이 기록되어 있다. <중령산>은 궁중 및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던 기악모음곡 영산회상 중 한 곡으로 궁중 및 지방 관아의 연회에서 추는 춤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던 음악이다. 이러한 <중령산>의 연주 역시 본산대놀이 음악의 흔적이라고 짐작해 보는 바이다. 그리고 양반이 연주하는 장면에서는 <굿거리>, <세마치>와 같이 양반을 특정 짓는 음악을 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봉산탈춤에서 판소리라는 음악 장르를 차용한 노래들의 사설을 확인해보면 주로 20세기 이후 유행한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미 본산대놀이의 전승이 단절된 이후, 판소리의 유행에 영향을 받아 봉산탈춤 연희자들이 판소리풍의 노래를 삽입하게 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양주별산대놀이의 유사한 장면에서 연주되는 음악은 가망청배의 무가, <노랫가락> 장단 등이었다. 즉, 지역적인 당위성, 시대적 흐름 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유행했던 본산대놀이의 해당 장면에서는 판소리풍의 음악보다는 서울 및 경기도의 무속 음악이 주로 연주되었다고 보아할 것이다. Bonsandaenori style mask play is no longer performed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fer the Bonsandanori style mask play music by examining the scripts of Yangjubyeolsandae(양주별산대) and Bongsan mask play(봉산탈춤) from the 1930s. The first part of the mask play begin with sangjwa dance. In this part,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play the old style Ginyeongsan(긴영산) like Bongsan Mask Play. Unlike the Bongsan mask play, in Yangjubyeolsandae ‘old monk’ scene, Sipiigasa(十二歌詞) played more often. Sipiigasa was the most popular vocal music around the Seoul boundary in early 20th. In ‘Somudang(小巫堂) dance’ part, Jungryungsan(중령산) was played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 Somudang characters changed from the local district office’ related woman to female shaman character. The music of this Somudang dance part reflects the originality of the character’s identity. In ‘Yangban(양반)’ scene, Gutgeori(굿거리) or Semachi(세마치) was played in both Bongsan and Yangju style Mask Play. This kind of music piece was known as the music of the Yangban class music. On the other hand, the ‘old couple dance’ scene, Pansori(판소리) was played in 1930’s Bongsan Mask Play, but Seoul boundary shamanistic music was played in Yangju style. The Pansori songs played in mask play are mainly from the early 20th popular repertory. After reviewing the Yangjubyeolsandae and Bongsan Mask Play script from the 1930’s, w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usic played in Bonsandaenori Mask Play was mainly performed in Seoul boundary shamanistic music styl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81632&amp;language=ko_KR&amp;hasTopBanner=tru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5074
ISSN
1976-8400; 2465-8642
DOI
10.21208/kla.2020.06.34.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USIC[S](음악대학)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