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4 0

노년기의 운동과 영양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년기의 운동과 영양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Exercise and Nutrition on Health Satisfaction in Old Age
Author
이제혁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의 운동과 영양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영양상태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고령층의 건강만족도를 상승시키고, 운동 및 영양 관련 정책 등의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2020년 전국의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표본인 10,097명에서 건강만족도에서 결측값이 나온 177명을 제외한 9,920명을 표본으로 진행하였다.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량과 영양상태의 상호작용은 모형의 단계별로 설명력이 증가하여 서로 상호적 조절효과가 있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보다 남성이, 일하는 노인이, 농촌보다 도시가,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부동거 가구일 때,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완전자립일 때 건강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량과 영양상태는 각각 건강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상호작용항인(운동량*영양상태)는 건강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횡단적 연구로 기본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노인실태조사 2차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직접 수집한 자료와 비교해 연구의 방향성이 달라 정확한 결과값을 도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기존 변수를 가지고 조작적 정의를 한 운동량 변수는 운동의 여부, 운동의 일수, 운동의 분수를 곱하여 시간으로 나누어진 변수이며, 이는 운동의 총량만 가지고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운동의 종류, 운동의 규칙성, 회당 참여시간 등 노인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수인 건강만족도는 주관적으로 개인의 건강을 평가한 것으로 실제 건강상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건강의 객관적인 지표를 활용하여 정확한 건강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combined with nutrition in the elderly on health satisfac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on public policies. The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in 2020" was used to investigate exercise and nutrient intake of people over 65 years of age. Total 9,920 subjects were sampled, excluding 177 respondents who were missing(“dose not satisfy”) in health satisfaction survey from 10,097 samples.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run through SPSS v26.0 program to verify the results. As a result, the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nutritional status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by stage of the model, resulting in mutual interaction effects. Second, the great effe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health satisfaction is shown in women, working, city living, lower age, higher education group. Satisfaction was also high when couples lived together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were completely independe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exercise and nutritional status had a positive (+) effect on health satisfaction, respectively. However, the interactive factor as “physical exercise*nutritive state” had a negative (-) effect on health satisfaction. We have several study limitations. It may more or less differ from the aim of the study because of using secondary data. It is also difficult to draw accurate results because variables are arbitrarily defined and input. In summary, the study is lack of explanation but two factors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nutrition have meaningful interaction.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 to make up the limitation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5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8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CTIVE AGING INDUSTRY(고령산업융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