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0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스타트업의 학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스타트업의 학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Accelerator Programs on Learning and Performance of Startups
Author
신승용
Advisor(s)
권규현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Recently, a "second start-up boom," has been started in the Korean startup ecosystem, which has become active, and the ecosystem has been expanded as more major stakeholders are getting involved. In particular, startup accelerating programs are diversifying in advanced startup ecosystems such a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interest in accelerators is growing. In Korea, the ‘accelerator registration system’ has been legislated to actively support the system and utilized accelerators as resources. Support through accelerators has been used as one of the government's key means in the domestic start-up ecosystems, but unfortunately,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accelerators and the effectiveness of accelerating programs. In this study, a total of three sub-studi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ccelerators on startup performance. Firstly, a case study was used to compare the current main focus of accelerators, the selection methods and the selection processes, the composition of accelerating programs, the initial investment and the follow-up status, and the early performance of the startup. The second study derive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ng program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pen coding).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learning modes that were provided to the accelerating program, classification and confirmation were conducted using a priori code.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how the learning process of startups through the accelerating program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outcomes and the startup performances. As a result, this also has positive effects on the growth of corporate inno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ppearance of the government-supported accelerator of accelerating programs in Korea was confirmed. And, although the proportions of the program's composition of the accelerators were different, the selection method, selection criteria,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b-accelerating programs were similar.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accelerator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vestment and patents of startups.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lerating programs require interpretation by expanding not only the accelerating program process such as mentoring and networking, but also the processing of selecting startups in participating in the accelerating programs, and additional support post to the accelerating program.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modes provided by the accelerating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results of startups and that the learning outcomes had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innovation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accelerating programs from a learning perspectiv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to expand to existing accelerator-related businesses and promote various programs to support startups using accelerator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that accelerators can be used to improve accelerating programs that can provide sufficient learning to startups, and startups that want to participate in accelerating programs can be used as criteria for increasing awareness an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may be required for more accurate results based on the 3 findings in this research. This may interpret the effectiveness of accelerators on startups will be possible if studies are directed based on this research by eliminating the limitation which was presented in this research. In the accelerat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by reflecting on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and leadership of entrepreneurs and to conduct a study that considers the timeframe that is required for learning result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최근 ‘제2의 창업 붐’으로 불리며 국내 창업생태계가 활발해지고 생태계 내 주요 구성원에 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 등의 선진 창업생태계에서 액셀러레이터를 활용한 스타트업 보육 프로그램이 다양해지며, 액셀러레이터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 등록제도’를 법제화하여 액셀러레이터를 적극적으로 육성 및 활용하고 있으며,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 창업생태계에서 액셀러레이터를 통한 지원이 정부의 핵심적 수단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으나,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현황,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3가지 하위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사례연구를 활용하여 액셀러레이터의 주요 분야, 선발방법 및 선정과정, 보육 프로그램의 구성, 초기투자 및 후속투자 유치 현황, 보육 스타트업의 초기성과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근거이론 기반(개방 코딩)을 통해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보육 프로그램에 제공하는 학습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코드(a priori code)를 활용하여 분류 및 확인을 진행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 연구에서는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보육 스타트업에게 제공하는 학습방식이 학습결과와 스타트업의 성과 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액셀러레이터의 정부지원형 액셀러레이터의 모습을 확인하였고, 세부 구성의 비중은 상이하나 선정 방법, 선정기준, 보육 프로그램 세부 구성요소는 유사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액셀러레이터가 보육 스타트업의 투자, 특허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은 멘토링, 네트워킹 등 보육 프로그램 과정뿐 아니라,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스타트업을 모집, 선발하는 과정과 보육 프로그램 이후 후속지원까지 확장하여 해석이 필요하며, 이 모든 과정에서 모든 학습방식이 제공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액셀러레이터의 보육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학습방식이 보육 스타트업의 학습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 결과가 기업혁신성과 성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보육 프로그램을 학습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과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기존 액셀러레이터 관련 사업 확대 및 액셀러레이터를 활용한 스타트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신규로 추진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보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액셀러레이터의 경우 보육 스타트업에 충분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보육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점과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스타트업 관점에서는 액셀러레이터가 제공하는 보육 프로그램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인식 제고와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방안에 관한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하위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자 경험 특성, 리더십 성향 등 반영하여 성과 측면에서 어떤 영향이 있는지 검증하는 연구와 학습방식과 학습결과, 그리고 성과로 연결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는 연구 등이 진행된다면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풍부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98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기술경영전문대학원) > TECHNOLOGY MANAGEMENT(기술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