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9 0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in Korea
Author
이시형
Alternative Author(s)
Si-Hyeong, Lee
Advisor(s)
한상우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apid surge for elderly care and preparing countermeasures have become common problems in Korea right before facing super-aged society.   This study has a purpose that after identifying problems tha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faces, it verified improvements on them. For specific purpose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Second, after recog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ystem in Japan, which is a prior nation, this study sought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Third, by using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Gilbert & Terrell(2005),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with four aspects of subjects, wage, delivery, and financial system, and then it is to seek improvements on them.   Depending on the results, deduced implications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s follows. First, it is mandatory to make doctors take education for guideline of doctor’s note as a means of securing reliability of doctor’s not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ating procedur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organization plan of medical cost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ensure evaluation quality. In particular, in a case of doctor’s comment column of muscle strength, joint range of motion, movement state, and cognitive func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omment space to be attached individually with evaluation records of rehabilitation and specialist in order to assess them and retain evaluation and retain evaluation time precisely to be matched evaluation guidelines realistic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reorganize targets and services to satisfy demands and functional state of users in order to improve staying at-home usage, which is biased towards home-visiting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al ground so that recipients can use the staying at-home usage with the physical training support service including muscle strength or joint contracture, which are the basis for daily life perform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incentives to use various insurance benefits such as issuing an easy pamphlet for a quarter about information and usage procedur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which changes into a workplace or home where children become the main decision maker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The pamphlet has to include communication channels to write down improvement opinions of its recipients or service inconvenience, so as to check out the needs of recipients continuously and to make improvement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novative support policies like securing operation funds until an institution becomes stable when it secures the initial number of the accreditation people and it creates infrastructures like human resources or facilities, if an institution i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 vulnerable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have the number of accreditation people to be matched with a long-term care level.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novative systems such as role division and alliance promotion between medical servi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in order to respond to integrated demands of medical care and daily care, as the elderly who achieved therapeutic objectives in nursing and rehabilitation hospitals could return to the local community timely. Japan’s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set an urgent assignments including efficient and high quality medical care service system and set a regional comprehensive care system such as division and alliance of hospital beds, securing workers for staying at-home, and improvements of working environment medical care and daily care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overall facilities by 2025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20: 26), so that it is necessary to benchmark it.  Six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thods to fortify expertise of care workers by making some fee schedules and compensation systems for services that are provided beyond their official scope of work because of demands of recipients and by revising their roles in the professional fields. In the same context as a plan to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of care workers, it is necessary to have strategies to raise both their expertise and social status by making it compulsory to establish and enter a new nursing care department at 2, 3 or 4-year colleges and by upgrad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ir national examination.   Seventh,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s to prepare revision of compensation and fee schedules depending on levels of human resources and service quality in order to lead nurses who can perform home-visit nursing ideally to the fields of care.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gap of service quality between regions and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xpertise of nursing assistants who actually work in the caring fields by establishing a new nursing assistant department of 2 or 3-year colleges and by increas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national examination.   Eighth,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health care institutions gradually in each region with a balance and to construct a public leading model but also to strengthen the evaluating system for operation management. Based on these suggestions, it is time to increase national support for nursing institutions which operate very well and to bring voluntary participation to form a healthy market. |급격한 노인 돌봄 수요의 증가 추세와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의 문제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의 보편적 문제로 다가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 후 그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 선험국인 일본의 개호보험제도 현황을 파악한 후 일부 발전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한다. 셋째, Gilbert & Terrell(2005)의 정책 분석 틀을 활용하여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상 문제점을 대상⋅급여⋅전달⋅재정체계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후 이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등급판정 절차상 주요 역할을 하는 의사소견서의 신뢰성 확보 수단으로 소견서 작성 지침에 대한 의사의 교육 이수를 의무화하고 평가의 질이 보장되도록 수가 및 평가체계 개편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근력, 관절운동 범위, 운동상태, 인지기능 등 의견란의 경우 현실적으로 평가 지침에 맞게 정확한 측정과 평가시간 확보가 될 수 있도록 재활치료 및 전문과의 평가기록지 형태로 별도 첨부되도록 개편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방문요양 중심의 편중된 재가급여 이용행태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재가급여 대상 및 서비스 범위를 수급자의 욕구와 기능 상태에 적합한 급여가 제공될 수 있도록 확대 개편이 필요하다. 이에 수급자가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근간이 될 수 있는 근력 강화나 관절구축 예방 측면의 신체적 훈련 지원 서비스를 재가급여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장기요양급여의 주된 이용 결정자인 자녀가 근무하는 직장 또는 가정으로 변화되는 장기요양서비스 정보 및 이용 절차에 대한 안내보를 이해되기 쉽게 제작하여 분기에 한 번씩 제공하는 등 다양한 급여이용 유인책 마련이 필요하다. 해당 안내보에는 급여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급자 측의 개선 의견이나 이용 불편 사례를 적어서 보낼 수 있는 소통 창구를 만들어서 지속적인 수요자의 욕구 파악 및 제도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장기요양등급 인정자수를 확보하기 어려운 취약지역에 장기요양기관 설립 및 운영하는 기관들에 대해서 초기 인정자수 확보와 인력, 시설 인프라 조성 시 안정화가 될 때까지 운영자금 지원 등 혁신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요양·재활병원에서 치료적 목적을 달성한 노인 등이 적기에 지역사회에 복귀하여 의료와 돌봄의 복합적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의료와 장기요양서비스의 역할분담과 제휴 추진 등 혁신적인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의 경우 2025년 제반 구축을 목표로 병상의 기능 분화·제휴, 재택 의료·개호 종사자의 확보와 근무 환경의 개선 등 효율적이고 질 높은 의료 제공 체제의 구축과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을 급선무의 과제로 삼고 있어(厚生労働省, 2020: 26) 이에 대한 벤치마킹이 필요하다. 여섯째, 요양보호사들이 업무 현장에서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공식적인 업무 범위를 초과하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들에 대해 일부 수가 및 보상체계를 마련하고 역할을 재정립하여 그들만의 전문성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같은 맥락으로 요양보호사 자격 취득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2 ~ 3년제 혹은 4년제 대학에 요양보호학과 신설 및 진학을 의무화하고 국가고시의 난위도를 더욱 상향하여 그들의 전문성과 사회적 위상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일곱째, 정부는 방문간호서비스 역할을 가장 이상적으로 수행이 가능한 해당 간호 인력을 요양보호 일선 현장에 끌어들일 수 있도록 인력 및 서비스 질 차등에 따른 보상·수가체계 개편안 등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기관 간 서비스 질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간호조무사의 2 ~ 3년제 대학의 간호조무학과 신설 및 국가고시 난이도를 높여 실제 현장 수행 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점차적으로 지역별 공공 요양기관수를 균형 있게 늘리며 공공 선도 모델을 구축해나감과 동시에 운영관리 평가 시스템을 더욱 견고히 해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하여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요양기관들에 대한 국가적 지원을 늘리고, 건전한 시장을 조성하는데 자발적 동참을 이끌어야 할 때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5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6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HEALTHCARE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