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1 0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한 노인복지관의 설계 지침

Title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한 노인복지관의 설계 지침
Other Titles
A Design Guideline of Senior Welfare Centers for Social Interaction
Author
이진우
Alternative Author(s)
Lee, Jin Woo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As COVID-19 continued, the elderly generation faced relatively more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 future, in the era of super-aged society and complex disasters, you may live through a variety of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Therefore, at this point,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welfare measures to respond to and solve complex soci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addition, a long-term and step-by-step approach is needed by expanding to discuss the quality of life of all generations and the next generat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spatial medium of social exchange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indoor architectural design,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ocial exchange promotion, such as design elements and design guidelines. The research results discussed are as follows; 1. It is a discussion on the purpose of using the elderly welfare center. It was found that the main purpose was to use it for socializing and health management. As for transportation, walking and village buses are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and bicycles are not used. The most frequent travel time was within 30 minutes. The implication here is that the elderly welfare center is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residence of users and prospective users, promoting friendship as a means of social exchange, and health management of the welfare center program allows the elderly to use it. 2.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subject of exchange. Social exchanges include meeting with others, asking after each other, sharing emotions and forming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all situations and leisure time spent. It was found that small groups with less than 10 people per day or desired exchange were preferred, and static activities were preferred as activities. Static activities here are more static activities than walking and photography, such as art, four soldiers, drawing, chess, go, history, sijo, physiognomy, fortune-telling, Chinese literature, counseling, meditation, movie watching, reading, Internet information search, and social media. In addition, the AC density was recognized as close to the public density, the AC time was 1 to 2 hours, and the frequency was preferred 3 to 4 times a week. The implication here is that the perception of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is recognized as a public space. Rather than private exchanges, they learn, and take programs. Therefore, it is recognized as a space for static activities that conduct programs rather than dynamic activities such as outdoor activities. 3.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exchange space. The exchange space prefers a relaxed space, and when using the space, it prefers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and a limited number of people.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space also prefers the open space. And the space that I feel necessary when using the program is the space outside the elderly welfare center. There is also a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static activities discussed for the second time here. The program is currently undergoing indoor-oriented programs and prefers them, but on the other hand, there seems to be a demand for programs related to external activitie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result of preferring a space with an open space and a more relaxed space density was shown. 4.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social exchange. The need for social exchange is higher than usual, but it is not recognized as necessary, and thus the need for a social exchange space is lower than the need for social exchange. However, positive responses were much higher than negative responses to social interaction, diversification of interaction targets, and diversification of interaction methods, and positive responses to using existing spaces as social interaction spaces, but more negative responses to building new spac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nservative tendency to make new investments for social exchange, and also to connect with online spaces and local communiti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although they sympathize with social exchange, they are not actively looking for an exchange method. 5. Discuss the linkage and expansion of social exchanges. The experience of visiting and using other resident welfare facilities is very high. In addition, if there is a social exchange space in the community, there is a high willingness to visit and use it. However, there is no fixed space for each exchange space, and all facilitie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re currently mentioned. It can be seen that the spatial functions of the existing elderly welfare center are subject to linkage and expansion as they are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socializing, and health management for the purpose of linkage and expansion. In fact, it can be seen that exchange is mainly about safety and daily conversations, and conversations related to learning and education. The satisfaction with this current exchange is higher than usua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sciousness of linking and expanding social exchanges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spatial functions and programs of the existing elderly welfare center. 6. It is a discussion on the priority and importance of social exchange design elements. It was evaluated that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number of exchange people, the type of exchange object, the intimacy between the exchange objects, and the degree of hierarch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pace were important. However, the type of exchange activity, the type of exchange density, the time spent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space, and the number of exchange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space were evaluated as low in importance. In addition, the degree of area used per person in the space, the reservation or autonomous use of space, the use of furniture and fixtures in the space, the use of tools in the space, and the use of offline and online spaces were evaluated as low.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number, type, intimacy, and space hierarchy for exchange were considered. 7. It is a discussion on detailed design elements of social exchange spaces. Among the safety-related design factors, barrier-free design, anti-fall safety devices, anti-slip floors, emergency evacuation, fire facilities,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hand hygiene, body temperature and vaccination, and management systems were evaluated as important, but locks and CCTVs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Among the design factors related to accessibility, directions and signage planning were evaluated as important, but finishing materials, entrances, travel space width, horizontal movement plan, vertical movement plan, and external access were found to be less important. 8.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comfort design element of the lobby space. Natural color use, ventilation, and humidity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and illumination, window size, shape, position change, illumination, reflection and water light, indoor landscape, water space creation, fire use, natural image, natural material, openness, outdoor space, environment, road finding, noise, and temperature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less important factors. 9.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comfort design element of the lounge space. Window size, shape, position change, illumination, reflective light and water light, indoor landscape, water space construction, fire use, openness, outdoor space, use of orchid series, animal environment, ventilation, noise, temperature, humidity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10.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elements of comfort design for restaurant space. Lighting maximization, window size, shape, position change, illumination, reflection and water light, indoor color, landscape, water space creation, fire use, natural image, natural material use, opennes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11.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elements of comfort design for the auditorium space. Lighting maximization, window size, shape, position change, illumination, indoor landscape, water space creation, natural image, natural material use, openness, outdoor space, temperature, humidity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Reflected light and water light, natural color use, refractory color use, natural elements. 12. It is a discussion related to the comfort design element of the program room space. Lighting, window size, shape, position change, illumination, natural color use, indoor landscape, ventilation, nois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actors, and reflection and water light, water space creation, fire image, natural material, openness, outdoor space, environment, and road support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low. 13. It is a discussion on the design guidelines of senior welfare centers to promote social exchange. The design guidelines only considered the above-normal importance of 'safety-related design elements', 'accessibility-related design elements' and 'comfort-related design elements' in the survey of users and prospective users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extended design guidelines for promoting social exchange focused on the open and external space to increase the user's external accessibility in the design guidelines for promoting social exchange. Therefore, the lobby space reflected the securing of openness, and the auditorium space additionally reflected the securing of openness, outdoor space, and water space. The restaurant space reflected water space creation and outdoor space, and the rest room space additionally reflected water space creation, use of fire, and outdoor space. As described above, we have currently viewed the elderly as the main user and subject in a super-aged society and discussed in what direction the welfare and spatial service system should mov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ty environment should move from a macro perspective in order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all generations,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an elderly-friendly city. This study approached the spatial desig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social exchange. First,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of drawing the design guidelines will be used as a method to select survey questions and expert verification, second, user and prospective user surveys, and third, domestic and foreign guidelines.|코로나가 지속됨에 따라 노인 세대는 상대적으로 더욱 많은 사회문제와 심리 문제를 마주하게 되었다. 앞으로는 초고령사회와 복합재난의 시대에 과거와는 또 다른 더 다양한 사회 문제와 심리 문제를 겪으며 살아갈 수도 있다. 이에 현재 시점에서 복합적인 사회문제와 심리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할 수 있는 포괄적인 접근의 논의와 복지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모든 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의 질에 대한 논의로 확장해 장기적이고 단계적인 접근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건축디자인 영역의 관점에서 사회적 교류 공간이 갖는 공간의 역할과 공간적 매개체에 대한 논의를 주요 목적으로 하며, 그와 관련되어 사회적 교류 증진 공간의 디자인 요소, 설계 지침 등의 사회적 교류 증진의 방향성에 대해 제시한다. 논의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목적에 관련한 논의이다. 주목적은 친목 도모와 건강관리를 위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통수단은 도보와 마을버스가 주요한 교통수단이며 자전거는 이용하지 않았다. 이동시간은 30분 이내의 거리가 가장 많았다. 여기에서 시사점은 노인복지관이 사용자 및 예비 사용자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사회적인 교류의 수단으로 친목 도모를 그리고 복지관 프로그램의 건강관리가 노인에게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게 한다는 점이다. 2. 교류 대상과 관련된 논의이다. 사회적 교류는 타인과 만나고, 안부를 묻고, 여가를 보내는 모든 상황과 감정을 나누고, 지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루에 교류하는 인원이나 희망하는 교류 인원은 10인 이내의 소그룹을 선호하였고, 활동으로는 정적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정적 활동은 산책, 사진 촬영보다도 더 정적인 활동으로 미술, 사군자, 소묘, 장기, 바둑, 역사, 시조, 관상학, 사주·풍수, 한문학, 생활 한자, 상담, 명상, 영화 감상, 독서, 생활 인터넷, 인터넷 정보 검색, 소셜미디어 등이다. 그리고 교류 밀도는 공적인 밀도에 가깝게 인식하고, 교류 시간은 1∼2시간, 빈도는 주 3∼4회를 선호하였다. 여기에서 시사점은 노인복지관에 대한 인식이 공적인 공간으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사적인 교류보다는 배우고, 프로그램을 수강한다. 따라서 야외 활동과 같은 동적 활동보다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정적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3. 교류 공간과 관련된 논의이다. 교류 공간은 여유 있는 공간을 선호하고, 공간 이용 시 선착순, 인원 한정 등을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공간의 개방 정도도 개방 공간을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이용 시 필요하다고 느끼는 공간은 노인복지관 외부 공간을 들고 있다. 여기서 두 번째로 논의하였던 정적 활동과도 연관된 의식이 보인다. 프로그램이 현재 실내 위주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고 이를 선호하지만, 반면 외부 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공간도 개방적이고 공간 밀도도 좀 더 여유로운 공간을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4. 사회적 교류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논의이다. 사회적 교류에 대한 필요성을 보통보다는 높지만 필요하다고 인식하지 않고 있고, 따라서 사회적 교류 공간에 대한 필요성은 사회적 교류 필요성보다 더 낮았다. 그러나 사회적 교류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 교류 대상이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 교류 방법이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에는 긍정적인 응답이 부정적 응답보다 매우 높았고, 기존 공간을 사회적 교류 공간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긍정적으로 응답했지만, 신규 공간을 구축하는 것에는 부정적인 응답이 더 많았다. 따라서 사회적인 교류를 위해 새로운 투자를 하는 것에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고 더불어 온라인 공간과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연계도 보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회적 교류에 대해서 공감하지만, 적극적으로 교류 방법을 찾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사회적 교류에 대한 연계 및 확장을 논의한다. 다른 주민 복지시설의 방문 및 활용 경험이 매우 높다. 그리고 지역사회 내 사회적 교류 공간이 생긴다면, 방문 및 활용할 의향도 높다. 그러나 교류 공간에 대해서는 각자의 정해진 공간이 없고, 현재 노인복지관 내의 시설들이 모두 언급되고 있다. 연계 및 확장의 목적으로 교육 활동, 여가 활동, 친목 도모, 건강관리로 기존의 노인복지관의 공간 기능이 그대로 연계 및 확장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교류는 안부 및 일상적 대화와 학습 및 교육 관련 대화가 주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재의 교류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보다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교류를 연계 및 확장에 대한 의식도 기존의 노인복지관의 공간적 기능, 프로그램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사회적 교류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대한 논의이다. 교류 인원, 교류 대상의 유형, 교류 대상 간의 친밀도, 공간의 내부와 외부 간의 위계 정도는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교류 활동의 유형, 교류 밀도의 유형, 노인복지관과 공간에서 머무르는 시간, 노인복지관과 공간에서의 교류 횟수는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공간 내 1인당 사용하는 면적 정도, 공간의 예약 혹은 자율 이용 방식, 공간에서의 가구 및 집기구 활용, 공간에서의 도구의 활용, 오프라인 공간과 온라인 공간의 활용도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교류에 대한 대상, 인원, 유형, 친밀도, 공간의 위계가 고려 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7. 사회적 교류 공간 세부 디자인 요소에 관한 논의이다. 안전성 관련 디자인 요소 중에서 무장애 디자인, 낙상 방지 안전기기, 미끄럼 방지 바닥, 긴급 대피, 소방시설, 비상 알림 장치, 손 위생, 체온 및 백신 접종 여부 확인, 관리 시스템은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잠금장치와 CCTV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접근성 관련 디자인 요소 중에서 길 찾기와 사인 계획은 중요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마감재, 출입구, 이동 공간 폭, 수평 동선계획, 수직 동선계획, 외부 접근은 중요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8. 로비 공간에 대한 쾌적성 디자인 요소와 관련된 논의이다. 자연 색상 사용, 환기, 습도가 중요도가 있는 요소로 평가되었고, 채광 극대화, 창의 크기, 형태, 위치 변화, 조도, 반사광 및 물광, 실내 조경, 수 공간 조성, 불의 사용, 자연 이미지, 자연 소재 사용, 개방성 확보, 옥외 공간, 난색 계열 사용,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 자연 요소를 활용한 길 찾기 지원, 소음, 온도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로 평가되었다. 9. 휴게실에 대한 쾌적성 디자인 요소와 관련된 논의이다. 창의 크기, 형태, 위치 변화, 조도, 반사광 및 물광, 실내 조경, 수 공간 조성, 불의 사용, 개방성 확보, 옥외 공간, 난색 계열 사용,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 환기, 소음, 온도, 습도는 중요도가 있는 요소로 평가되었고, 채광 극대화, 자연 색상 사용, 자연 이미지, 자연 소재 사용, 자연 요소를 활용한 길 찾기 지원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로 평가되었다. 10. 식당 공간에 대한 쾌적성 디자인 요소와 관련된 논의이다. 채광 극대화, 창의 크기, 형태, 위치 변화, 조도, 반사광 및 물광, 자연 색상 사용, 실내 조경, 수 공간 조성, 불의 사용, 자연 이미지, 자연 소재 사용, 개방성 확보, 온도, 습도는 중요도가 있는 요소로 평가되었고, 난색 계열 사용,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 자연 요소를 활용한 길 찾기 지원, 환기, 소음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로 평가되었다. 11. 강당 공간에 대한 쾌적성 디자인 요소와 관련된 논의이다. 채광 극대화, 창의 크기, 형태, 위치 변화, 조도, 실내 조경, 수 공간 조성, 자연 이미지, 자연 소재 사용, 개방성 확보, 옥외 공간, 온도, 습도는 중요도가 있는 요소로 평가되었고, 반사광 및 물광, 자연 색상 사용, 불의 사용, 난색 계열 사용,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 자연 요소를 활용한 길 찾기 지원, 환기, 소음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로 평가되었다. 12. 프로그램실에 대한 쾌적성 디자인 요소와 관련된 논의이다. 채광 극대화, 창의 크기, 형태, 위치 변화, 조도, 자연 색상 사용, 실내 조경, 환기, 소음, 온도, 습도는 중요도가 있는 요소로 평가되었고, 반사광 및 물광, 수 공간 조성, 불의 사용, 자연 이미지, 자연 소재 사용, 개방성 확보, 옥외 공간, 난색 계열 사용, 동물이 살 수 있는 환경, 자연 요소를 활용한 길 찾기 지원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로 평가되었다. 13.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한 노인복지관의 설계 지침에 관한 논의이다. 설계 지침은 본 연구의 조사결과인 사용자 및 예비 사용자의 설문 조사에서 지침 개발과 관련해서 ‘안전성 관련 디자인 요소’, ‘접근성 관련 디자인 요소’, ‘쾌적성 관련 디자인 요소’에서 보통 이상의 중요도를 나타낸 요소만을 고려하였고, 기능적인 공간으로 로비, 강당, 식당, 휴게실, 프로그램실에 대해서 설계 지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한 확장 설계 지침은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한 설계 지침에서 사용자의 외부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방, 외부 공간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로비 공간은 개방성 확보를 반영하였고 강당 공간은 개방성 확보, 옥외 공간, 수 공간 조성을 추가로 반영하였다. 식당 공간은 수 공간 조성, 옥외공간을 반영하였고, 휴게실 공간은 수 공간 조성, 불의 사용, 옥외공간을 추가로 반영하였다. 이상과 같이 현재 우리는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을 주된 사용자이자 주체로 보고 사용자의 입장에서 복지와 공간 서비스 체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논의하였다. 더불어 고령친화도시의 본질적 목적인 모든 세대가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거시적 관점에서 지역사회 환경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교류 증진 관점에서 공간적인 디자인 요소로 접근하였고, 방법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계 지침을 도출하는 방법인 첫째, 선행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설문 조사 문항 선정과 전문가 검증, 둘째, 사용자와 예비 사용자의 설문 조사, 이후 전문가의 검증, 셋째, 기존의 가이드라인이나 코드와 같이 국내외 관련 지침을 참고, 넷째, 설문 조사 결과 국내외 관련 지침을 융합하여 사용자 중심의 설계 지침 도출이라는 과정은 앞으로 설계 지침을 도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방법론으로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1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5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