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4 0

ICT 기반 고령친화도시 평가지표 개발 연구

Title
ICT 기반 고령친화도시 평가지표 개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Development of ICT-based Aging-Friendly City Evaluation Indexes
Author
이유리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세계적으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로 유소년 및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변화는 도시활력 저하, 건강문제 심화,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 기회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고령자의 생활패턴 및 신체 특성을 고려한 외부환경 및 건물, 주택, 교통안전성과 이동성에 제약이 있어 활동성과 안전성에 대한 물리적 환경의 배려가 필요하다. 고령친화 정책의 선진 국가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를 해결 및 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ICT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노르딕 국가에서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악화 및 고령자 복지의 양적∙질적 확대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에 대응하여 복지 기술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의 차원에서 효율적인 사회적∙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향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복지기술은 정보∙기술 소외계층의 배려와 일상생활에서의 활용을 위해 고수준의 첨단기술뿐 아니라 단순하고 보편적인 적용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ICT 기반의 고령자 대상 서비스는 사용자의 니즈(Needs) 파악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고령자를 위한 ICT 기반 환경 및 복지기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고령자를 위한 도시기반의 지능화 기술 접목에 대한 지표 및 가이드는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하기 위해 2007년, 「Checklist of Essential Features of Age-friendly Cities(2007)」을 발간하여 고령친화도시 8대 영역을 제시하였다. WHO는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Global Network of Age 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GNAFCC)”를 추진하여 2022년 1월 기준 47개 나라, 1,333개 도시가 가입하였으며, 우리나라는 37개 도시가 가입했다. WHO GNFCC 가입 시 고령친화도 점검(평가지표)에 따른 가이드라인과 법정계획인 실행계획이 요구되고 있으며, 지역 거주 고령자의 의견을 귀담아 듣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필요를 강조한다. 하지만 범국가 또는 범도시의 활용을 위한 가이드로 다소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07년 이후 지표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HO GNAFCC에 가입한 많은 지자체는 이와 같은 지표를 기반으로 고령친화도를 진단(평가지표)하여 가이드라인과 실행계획으로 연계하고 있다. 또한 지역 거주 고령자의 의견수렴을 위해 고령친화도 진단을 실시하고 있지만,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Needs가 아니라 생활환경에 대한 기본 정보에 대한 지표에 그치고 있다. 또한 고령친화 건축 및 도시환경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데 비해 보건 및 복지 분야에 치중하여 생활환경의 관점에서의 대응은 미비한 실정으로 고령자에게 친숙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CT 기반 고령친화도시의 평가지표 개발, 기존 고령친화도시 평가지표의 개선,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환경 개선 등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거주지역에 대한 만족감 및 중요하게 생각하는 환경 특성을 조사하여 현재 생활환경에서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고, ICT 기반 생활환경에서 고령자의 Needs를 충족할 수 있는 항목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평가지표는 현실성 있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하며, 가까운 미래에 평가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또한 현재 지자체에서는 고령친화도시를 물리적 환경, 사회·문화·경제적 환경, 정보화·지역사회 보건 분야 등 모든 영역을 포괄하며, 한 영역당 8~10개의 평가지표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여 33개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및 이론적 고찰, 전문가 집단심층면접(FGI), 설문조사, 평가지표 도출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선행연구는 고령자 행태 및 고령자 대상 복지기술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둘째, 전문가 FGI는 지자체에서 평가하고 있는 고령친화도 점검항목(평가지표)을 기준으로 고령자의 행태 및 실생활에서 고령자가 느끼는 불편함과 해결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qualitative coding을 실시한다. 셋째, 선행연구 및 전문가 FGI 분석을 통해 고령친화적인 생활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특성 및 항목을 도출하고, 이론적 고찰 및 전문가FGI를 기반으로 평가지표를 구성한다. 넷째, ICT 기반 생활환경에 대한 고령자의 Needs 분석을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WHO GNAFCC에 국내 1호로 가입한 도시인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55세 이상 300명이다. 설문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고, ANOVA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다섯 번째, 기존 지자체에서 구성한 평가지표와 비교하여 차별성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평가지표는 17개 항목, 33개 세부항목 및 평가지표로 구성된다. 17개 항목은 ‘CPTED(범죄예방디자인)’, ‘지능형 안전플랫폼’, ‘ICT 기반 빌딩 에너지 절약 시스템’, ‘안전한 센서 기반 횡단보도’, ‘ICT 기반 조명시스템’, ‘빅데이터 기반 접근성 정보지도’, ‘ICT 기반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안전사고 및 낙상예방 감지시스템’, ‘IoT 기반 방재 서비스’, ‘촉각반응 센서 기반 점자블록’, ‘센서 기반 위치 안내’, ‘안전한 이동성 확보를 위한 센서 기반 지팡이’, ‘도심형 에너지 자립 스마트 팜 서비스’, ‘IoT 기반 Smart Paking’, ‘social media street sign’, ‘비대면 사회참여’, ‘안전과 편의를 위한 지능형 벤치 및 화장실’ 이다. 본 연구는 시설 유무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평가지표와 비교해 고령자의 니즈를 기반으로 한 평가방식을 유도하며, ICT를 접목시킨 생활환경에 대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연구의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평가지표를 구성하고, 서술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스마트 고령친화 복지도시 조성 연구의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평가지표의 내용 또한 실현가능하고, 가까운 미래에 보급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외부환경 및 건물 영역에서의 ICT 기반 환경은 개인의 능력과 소득 등에 관계 없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환경으로 ‘고령자 뿐 아니라 모든 세대가 살기 좋은 도시’의 의미를 가지는 고령친화도시의 연구로서 적합하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환환경 개선 및 국내 고령친화도시 조성의 정책연구에서 사용되는 평가지표의 개선안을 제시한다. 또한 ICT 기반 고령친화도시 조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스마트 환경의 고령자 대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47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5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