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 0

청년 취·창업을 위한 청년커뮤니티공간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 연구

Title
청년 취·창업을 위한 청년커뮤니티공간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Service Quality of Youth Community Space Promoting Youth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uthor
김선희
Alternative Author(s)
JIN XIANJI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Youth Community Spaces currently operate 267 spaces in Korea and 105 spaces in the Seoul area. Youth Community Spaces have been built as representative spaces to address the issues facing youth and to support youth activities for youth policy purposes. Youth Community Spaces offer a variety of programs and spaces to support youth employment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to facilitate and support the resolution of youth problems, thus guiding youth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the youth community and youth life.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of space, the definition of youth community space has been divided into community space, cooperative space, youth activity space, and youth complex cultural space, etc. From the content of the definition, all of them are spaces adjusted to promote youth employment, entrepreneurship, youth communication and exchange, and youth policy. The primary areas of exploration for this type of relevant prior research in the interior design field are the direction of planning or improvement of the physical space environment and the direction of policy operation of youth facilities. However, in addition to providing physical space services, Youth Community Spaces are also designed to promote youth employment, entrepreneurship, culture and art, partying, life support, and other programs to solve youth problems and support youth challenges. The need to develop a user-centered evaluation model for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of Youth Community Spaces is presented in this contex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service design, the existing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is centered on the composition of evaluation criteria such as influencing factors and user understanding. The existing methods of service quality evaluation have shown limitations in meeting the new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evolving service enterprise as the role of service design expands. Therefore, the need for a new evaluation model has arisen to reflect the particularities of the environment, providers, and users that determin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As mentioned above,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service quality assessment indicators for Youth Community Spaces,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elements and their evaluation items were first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study was mainly carried out from ‘Youth Community Space’ and ‘Service Quality Evaluati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youth community space was divided into community space, education space, rest space, work space, and other spaces through case study analysis, and the project type in the youth community space were divided into employment and business support, community support, living support, and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The analysis of the movement routes shows that the overall spatial planning of most of the example spaces is centered on community space and rest space, while some of the example spaces are mainly rest space and education space according to the main program activity.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professionals and us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otal 17 items with low reliability were removed through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nd the final assessment indexes of youth community space service quality were extracted, which contained 48 assessment items.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quality assessment index, which is important to evaluate and reflect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of Youth Community Spaces from a user-centered perspectiv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youth polic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youth employment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service quality assessment indicators in this study are used to develop evaluation criteria for the quality of youth community space services to support and promote youth employment. Further,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 stepping stone for the development of regulations for the operation and installation of Youth Community Spaces, and that the relevant authorities will play an active role in the management of Youth Community Spaces and the formulation of youth-related policies.|청년커뮤니티공간은 청년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의 도전을 지원하며 청년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성된 대표적인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청년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공간 제공과 더불어 청년의 취·창업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지역 청년공동체의 활동과 청년의 생활도 지원하고 있으며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청년커뮤니티공간이 서울지역에만 105개소가 있고 전국에는 267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이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공간을 커뮤니티공간, 코워킹 공간, 청년활동공간, 청년복합문화공간 등으로 다르게 부르고 있지만, 청년들의 취·창업을 지원하고 청년들의 소통과 교류를 촉진함으로써 청년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성된 공간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통틀어 청년커뮤니티공간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지금까지 청년커뮤니티공간에 대한 연구는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물리적인 공간 환경의 계획 방향이나 개선 방향, 청년시설의 정책적인 운영 방향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것에 집중되어 왔다. 사용자 관점에서 청년커뮤니티공간 서비스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은 아직은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나 청년커뮤니티공간은 물리적인 공간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청년들의 문제 해결을 돕고 청년들의 도전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맥락에서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 중심의 평가지표를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른 한편으로 지금까지 제시된 서비스 품질 평가모델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영향요인과 사용자 이해 등 평가 기준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늘날 확장된 서비스디자인의 역할과 날로 발전하는 서비스 기업의 새로운 특징과 요구를 모두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의 목적과 특성을 결정하는 환경,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의 특수성을 반영할 필요가 제기되며 이는 곧 새로운 평가 체계를 구축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커뮤니티공간에서의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 구축을 연구목표로 삼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헌분석을 통해 서비스 품질 평가 요소 및 평가 항목을 추출하고 ‘청년커뮤니티공간’과 ‘서비스 품질 평가’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청년커뮤니티공간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문헌분석에서는 서울에 소재하는 18개의 사례를 현장 조사하여 여러 유형의 공간에 대한 설치율과 사용빈도를 분석함으로써 사례별 공간구성과 사용자의 관심도를 알아보았다. 분석을 통해 청년커뮤니티공간의 구성을 커뮤니티공간, 교육공간, 휴게공간, 작업공간, 기타공간으로 분류하고 각 공간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활동을 취·창업지원, 커뮤니티지원, 생활지원, 문화예술지원으로 분류하였다. 공간에서의 동선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부분 사례는 커뮤니티공간과 휴게공간을 위주로 이뤄져 있으며 일부 사례에서는 추진하는 사업에 따라 휴게공간과 교육공간을 위주로 계획된 곳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는 전공자 설문조사와 사용자 설문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및 요인 분석을 진행하여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 17개의 항목을 삭제한 후 최종적으로 48개 항목이 포함된 청년커뮤니티공간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제시한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는 사용자 중심 관점에서 청년커뮤니티공간의 서비스 품질 수준을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다. 이 평가지표는 청년커뮤니티공간의 청년정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향후 청년커뮤니티공간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서비스 품질 평가지표가 청년커뮤니티공간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어, 청년 취·창업을 지원하는 데 자기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청년커뮤니티공간의 운영 및 설치 조례를 수립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관련 기관에서 청년커뮤니티공간을 관리하고 청년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11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5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