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4 0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의 표현특성 연구

Title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의 표현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Spaces Using Subway Stations
Author
김경은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하철역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으로 지하철역 내부에 이들의 편의를 위한 공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초기의 지하철역은 단지 사람들의 지하철 승하차를 위한 단순 이동 수단에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지하철역 내부에 문화예술공간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유용하지 않은 공간을 조성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지하철역 문화예술공간으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철역의 문화예술공간이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공간이 조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하철역과 문화예술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은 공간에 적용된 콘텐츠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례분석을 한 결과 지역성을 나타내는 테마역 문화예술공간, 자연친화형 기술 문화예술공간, 지자체나 기업에서 도입한 프로젝트로 나타내는 문화예술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은 주로 전시공간이었으며 휴식공간, 교육공간, 체험공간, 이벤트공간, 커뮤니티공간은 적게 나타났다.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사람들이 스쳐지나가는 공간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독특한 기법으로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지하철역에 머물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지하철역이 위치한 지역의 역사, 자연환경, 문화, 자연친화형 기술, 지자체가 참여한 프로젝트가 지하철역에 상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모일 수 있는 공간이 소수에 불과하였으며 모임을 유도하는 체험 프로그램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례도 거의 없었다. 또한, 시민들이 참여한 프로젝트나 작품을 제공하는 지하철역도 거의 없었다. 넷째,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에 사용된 작품 및 조형물들은 액자형 작품과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디지털 미디어 기기, 라이트 파사드, 미디어 아트 등 디지털을 사용하거나 고궁을 상징하는 화강암을 건축의 재료로 사용하여 문화예술공간을 조성하였다. 지하철역에 걸려있는 작품에는 레일조명이나 라인조명 등을 사용하여 작품이 돋보이게 하였으나 대부분의 사례에서 이동통로에 있는 LED 조명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조명으로는 문화예술공간과 다른 공간과의 구분이 잘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예술공간이 위치한 공간에는 이동통로와 구분되도록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사용하여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의 특성과 문화예술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여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지하철역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지하철역 문화예술공간을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간과 작품 및 조형물, 가구 등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지하철역 문화예술공간의 활용이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43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5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