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0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순차 매개효과

Title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순차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Author
박도위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그 경로에 대해 알아보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성인초기 25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Statistics 24와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죽음태도, 주관적 안녕감, 물질주의, 사회비교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단순 매개효과를 각각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죽음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물질주의, 사회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사용하고 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죽음태도, 주관적 안녕감, 물질주의, 사회비교 변인 모두 상호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태도는 물질주의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죽음태도는 사회비교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물질주의와 사회비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죽음을 삶의 한 부분으로 덤덤하게 받아들이는 중립수용적 태도가 물질주의와 사회비교를 낮추어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켰고, 죽음을 두려워하는 죽음공포의 태도는 물질주의와 사회비교를 증가시켜 주관적 안녕감을 저해하였다. 본 연구는 죽음태도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구체적 경로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한, 주로 노년기와 중년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죽음태도 연구를 성인 초기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in the process in which attitudes toward death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nd to find out the path.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258 early adulthood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4 and Process Macro 3.5.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subjective well-being,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in the effect of death attitude on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Process Macro was used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ll main variables, death attitude, subjective well-being,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variabl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death attitudes influence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materialism. Third, in this study, death attitude influence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ocial comparison. Fourth, there was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the acceptance as neutral attitude of calmly accepting death as a part of life lowered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attitude of death fear increased materialism and social comparison, thereby undermining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had significant impact on that revealed a specific path between death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prior studies of death attitudes were mainly conducted in old age and middle age but this study focused on early adulthoo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907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07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