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6 0

한국인 초급학습자의 중국어 파찰음 습득 음성 분석

Title
한국인 초급학습자의 중국어 파찰음 습득 음성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Acquisition of Mandarin Affricates by Korean Learners at Elementary Level
Author
유옥
Alternative Author(s)
LIU YU
Advisor(s)
엄익상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중 간 정치, 경제, 문화의 교류가 가까워지면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도 갈수록 늘고 있다. 제2언어로서 중국어 교수법에 있어서, 음성 교육은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사회적 교류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특히 자음는 중국어 음성 교육의 출발점이기에, 더욱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한국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맞춤형 중국어 자음 음성 교육을 실시하려면, 우선 학습자에게 발생하기 쉬운 음성 오류와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한국 학생들의 중국어 자음 오류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이론과 경험에 기초한 비실증적 연구였으며, 음성실험을 이용한 실증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게다가 지금까지 음성실험을 이용한 연구는 대체로 하나의 자음 중 단일 음성 데이터를 하나하나 나열하고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한 자음을 구성하고 있는 전체적인 음성 특징 및 다른 자음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가 어렵다. 그러나 한편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비교적 일치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바로, 중국 학습 과정에서 한국 학생에게 가장 높은 발음 오류율이 나타나는 자음가 파찰음과 마찰음이라는 사실이다. 이에 이 논문은 음성 모형의 분석 방법을 통해 한국인 중국어 초급학습자의 중국어 파찰음 z[ts], c[tsʰ], zh[tʂ], ch[tʂʰ], j[tɕ], q[tɕʰ]의 발음 습득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성 자료에서 데이터를 추출 및 분석한 뒤, 체계 속에서 각종 일치하는 대응 관계를 양적 분석과 통계 방식으로 도식화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문에서는 중국어 모국어 화자의 중국어 파찰음,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한국어 파찰음 그리고 한국인 중국어 초급학습자의 중국어 파찰음에 대한 음성 모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비교 분석을 통해, 우선 한국어와 중국어 파찰음의 음소 분포 규칙과 실제 음성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학생의 중국어 파찰음 습득 정확도 및 음성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모국어 전이(母语迁移) 효과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연구를 통해 한국인 중국어 초급학습자는 중국어의 여섯 가지 파찰음을 정확하게 발음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국인 초급학습자는 한국어와 중국어 파찰음의 음성적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며, 모국어인 한국어의 파찰음에서 중국어 파찰음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중국어 파찰음을 대체하여 발음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한국 학생들이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고 장기간 중국어 학습에서 발음 오류를 일으키는 화석화(化石化)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중국어 교육 초기단계에서 맞춤형 발음 교수를 통해 한국인 학습자에게 두 언어 간 구체적인 음성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 중국어 음성에 대한 인지 능력 향상과 산출 훈련도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 본문에서는 음성 모형 분석이 서로 다른 언어의 파찰음 음소 분포 규칙과 실제 음성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각 음소의 음성적 표현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음소가 음운체계 속에서 자리잡고 있는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음성 모형 분석 방법으로 한국 학생들의 중국어 파찰음 습득 양상을 고찰하여, 이전 연구들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본문의 연구 결과는 한국인 학습자의 발음 특징 및 잘못된 발음 방식을 더욱 포괄적이고 심도있게 밝혔을 뿐만 아니라, 한국 학생들의 중국어 발음 교육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71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1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NESE LANGUAGE & LITERATURE(중어중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