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7 108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공간 특성에 관한 분석

Title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공간 특성에 관한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rsery Space in Workplace Nursery Facilities
Author
황연숙
Keywords
직장보육시설; 보육공간; 공간특성; 보육실; 유희실; Workplace Nursery Facilities; Nursery Space; Space Characteristics; Nursery Room; Play Room
Issue Date
2020-10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 15, no. 5, page. 367-376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한국의 저출산은 맞벌이 가정증가, 여성의 사회적 진출, 양육비용의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육공간 구성 및 특성을 파악하고 직장어린이집 사례조사를 통해 보육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직장어린이집의 질적인 보육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서울을 중심으로 2010년 이후 개원한 400㎡ 이상의 직장 내 보육시설 4개소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보육공간의 공간특성에 대해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사례조사를 통해 직장보육시설의 공간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어린이집 주요 보육공간은 보육실, 유희실, 화장실로 구분하였다. 특히 직장어린이집은 대부분 사업장 내 한층 규모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희실을 중심으로 보육실들이 주변을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재정리를 통해 보육공간의 특성을 적용성,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의 4가지로 도출하였다. 보육공간에 따라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면 보육실은 쾌적성이 높게, 안전성이 낮게 나타났다. 유희실은 쾌적성이 높게, 적용성과 안전성이 낮게 나타났다. 화장실은 쾌적성이 높게, 적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육공간의 특성을 살펴보면 쾌적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용성과 안전성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첫째, 직장어린이집의 보육공간 특성은 쾌적성, 접근성, 적용성, 안전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공간은 기능적 특성에 따라 지원되어야야 할 공간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실은 공간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접근성을 높여서 아동이 안심하고 보육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유희실은 공간의 적용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하고 충분한 놀이 및 활동 도구를 배치하여 어린이의 대소근육 발달을 촉진시키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화장실은 보육실 외부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보육실 외부에도 화장실을 배치해야 하며 변기의 수가 아동의 수에 적합하도록 더 많이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배변 활동과 목욕공간을 위해 여유 있는 화장실 규모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부모의 직장과 같은 건물에 자녀가 함께 있음으로써 부모와 자녀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나 직장 건물 환경에 따라 보육환경에 제한을 가져오기도 한다. 조사결과 직장 건물의 제한적 특성으로 보육실이나 유희실의 크기와 같은 실내보육환경 조건과 모래놀이와 실외 놀이터와 같은 실외보육환경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보육환경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질적인 보육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Low birthrates are becoming a social problem today due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increase in dual-income families,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increased child care cos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spa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space through the case study of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planning quality child care space of workplace daycare centers. (Method) This study analyzed four child care facilities in the workplace of 400㎡ or more, opened since 2010, mainly in Seoul. A checklist was drawn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re space analyz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care facility were identified through a case study. (Result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main nursery spaces were divided into nursery rooms, playrooms and toilets. Most workplace day care centers were being used on a one-story scale in the workplace. Through the analysis and re-organization of preceding studies, the nursery space derived four things: applicability, accessibility, safety and comf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rsery space, nursery room were found to be high comfort and low safety. The playroom showed high comfort, low applicability and safety. The toilet showed high comfort and low applicability. Looking at the entire nursery space, the comfort was high, and the applicability and safety were lo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showed comfort, accessibility, applicability and safety in order. Almost all cases provided regular hygiene control and a pleasant nursery atmosphere. However, in terms of safety, it was found that the corners of furniture were not rounded or the use of safety devices and protectors in the windows was insufficien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to be supported by each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the nursery space are partly different, and nursery rooms should enhance the safety and accessibility of the space, and playrooms should be placed as spaces that enhance the physical and motor development of the child, thereb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small and medium muscles of the child. According to the survey, due to the limited nature of work buildings, indoor child care environment conditions such as the size of nursery or playroom and outdoor child care environment such as sand play and outdoor playgrounds were not provided prop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qualitative child care environment by supplementing these problems in the child care environment.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4110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1268
ISSN
1976-4405
DOI
10.35216/kisd.2020.15.7.3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직장보육시설의 보육공간 특성에 관한 분석.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