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2 0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외국인 리액션’ 콘텐츠를 중심으로-

Title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외국인 리액션’ 콘텐츠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spread of nationalism in the online space represented in YouTube- Focused on 'foreigner reaction' contents-
Author
류웅재
Keywords
외국인 리액션; 온라인 민족주의; 관음증; 유튜브; Foreigner Reaction; Online Nationalism; Voyeurism; YouTube
Issue Date
2020-06
Publisher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Citation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 20, page. 7-38
Abstract
최근 유튜브 플랫폼이 활성화되며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가 등장했고 외국인과 관련된 콘텐츠 또한 다수 등장하였다. 특히 외국인들이 한국 문화에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콘텐츠가 주로 생산되며 수용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는데 이는 기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볼 수 있던 현상이었으나, 유튜브 플랫폼의 특성상 대중들이 이를 주도적으로 생산 및 소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드러낸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심층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외국인 리액션’ 콘텐츠 장르 중 ˂코리안 브로스 KOREAN BROS ENT˃와 ˂외국인 반응 with 에밀리˃라는 채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리안 브로스 KOREAN BROS ENT˃와 ˂외국인 반응 with 에밀리˃는 음식 등 특정한 한국 문화를 제공하고 이를 체험한 외국인을 통한 대중의 인정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수용자들의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외국인들을 타자로 치환함으로써 민족주의가 적극적으로 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채널의 콘텐츠에서 출연자들의 사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개인 SNS의 공유를 통해 그들의 사적인 일상을 노출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시청자의 관음증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With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YouTube platform, a wide variety of media contents have emerged, and also a series of foreigners-related contents have produced in this context. In particular, many contents dealing with foreigners responding to certain Korean cultures were produced and popularized. Although this phenomenon was existing in television programs in the past, this case is quite unique in that the public is leading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e to the nature of YouTube platform. We analyzed two foreigner reaction channels, <KOREAN BROS ENT> and <Foreigner reaction with Emily> in order to critically explore and discuss this phenomenon. We found that both contents actively utilized nationalism by providing certain Korean cultures to foreigners and let the audiences fulfill the desire for recognition in this process, and also by replacing foreigners as ‘others.’ In addition, they utilized protagonists' personal stories and were exposing their everyday lives by sharing their personal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se factors were satisfying the viewers' voyeuristic need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6145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664
ISSN
2005-4424
DOI
10.24174/jicc.2020.06.20.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