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0

1980년대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 시 연구

Title
1980년대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 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etry of Choi Seung-ja, Lee Sung-bok, Ki Hyung-do in the 1980s
Author
임지훈
Alternative Author(s)
Lim Jee-hoon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inner logic in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he 1980s, focusing on the works of Choi seung ja , Lee Seong bok, and Ki Hyeong do. Studies on works in the 1980s often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or the poet's private context, and the meaning of the works was often interpreted based on these foundations. However, specific signifiers appearing in actual works often imply extra meaning that cannot be interpreted with such a reducing stance, and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work's internal logic is required to interpret this. This paper unpacks the work of Choi seung ja , Lee seong bok, and Ki hyeong do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and make a close study logics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in poetry in the 1980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love', 'salvation', and 'hope'.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he meaning of an object is determined by the speaker's perception. This means that the meaning of an object is not inherent itself in itself, but is compos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Therefore, even the same object is composed of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time or point of vie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and the subject affects such significa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enough to analyze the meaning and composition of a work by considering the existing symbol system. Also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that takes place in between that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aspect in which it is implemented must be sufficiently consider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tends to interpret the works of the 1980s through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existing logic that know intuitively the meaning of objects and reality as a priori.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 on the objects of 'love', 'salvation' and 'hope' that appear in the works of Choi seung ja, Lee seong bok, and Ki hyeong do, separately. These objects are captured in specific meaning that distinguishes the works of the above poets between other poets. In existing studies, it is true that the specificity and change patterns of such meaning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by accepting them to the historical context or the poet's private context, or by accepting them as the level of common sense. Consid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dialectical reflection, owing to such objects operate in individual and specific meanings according to the time or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appearing in the text. Therefore, i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object and its structure,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and the expression patterns of them. In Chapter 2, Choi Seung ja's works, examined the meaning of 'love' and aspects of changes appearing in the poems published in the 1980s, 『Love of this Age』 and 『A Pleasant diary』 and 『The House of Memories』.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embodied through the grotesque style of expression take on different aspects as the works elapses, and in this process, the status of 'love' also changes. 'Love', which was established as a transcendent and absolute object beyond reality, is later transformed into a worthless object in the structure of reality, and finally, its status changed as one of the important objects which influenced the decision of the speaker's reality. change Such a change in the meaning of ‘love’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speaker’s perspective on it, and it appears based on the change in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Chapter 3 examines Lee seong bok's works, focusing on the meaning and aspects of change of 'salvation'. In the midst of the chaos of reality, ‘salvation’, which expressed hope for order, has since changed its meaning centered on the other ‘mother’. In this process, ‘salvation’ is transformed from being dependent on others to being achieved through a subjective and autonomous attitude. The speaker's attitude toward his mother as an entity that embodies love and commitment soon acts as a mother of epistemological change, and through this, it was attempted to argue that the pattern of change in the poetic structure in Lee Sung-bok's poem sh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is change in perception. In addition, such a change in the speaker's perception also causes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reality, suggests an interpretation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object and its compositional meaning appearing in 『The End of That Summer』. In Chapter 4, It is divided on Ki hyeong do's works by years and examine the aspects of hope captured in them. In the early days, 'Hope' has a similarity to 'Spring day' as an ideal time and space presented by the mother. However, since then, 'hope' is constituted through the denial of the empirical content of 'Spring day', 'the time when all the sick are healed', and it is positioned as a distinct element from 'despair' triggered by the impossibility of the empirical content. Behind this change lies on the process of sharpening the speaker's perception of reality, which means the difference in the speaker's perception that exists between 『The Fog』 and 『Hope at 2 PM』.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with reality, urged by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perspective, is embodied in the psalms published in 1989, and by this time, the speaker begins to expose the realistic worries about how to live from unconditional pessimism about the reality that cannot escape. As identified in the three poets, the meaning of the object is neither a priori nor fixed, and is constru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 and point of view. Behind the principle of this composition, there are changes in the speaker's self-awareness and reality perception, and therefore, more careful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is necessary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object.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e 1980s and the changes in modern poetry that occurred in them.|본고는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의 작품 가운데 1980년대에 발표된 작품의 양상을 중심으로 그 속에서 나타나는 사랑, 구원, 희망의 의미를 면밀하게 추적함으로써 이들 작품의 고유한 내적 논리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1980년대 작품에 대한 연구는 시대적 특징이나 시인의 사적 맥락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작품의 의미는 이러한 토대를 바탕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실제 작품에서 등장하는 특정한 시어들은 이와 같은 환원적 태도로는 해석될 수 없는 의미의 여분을 함축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내적 논리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의 작품을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여기에서 나타나는 ‘사랑’과 ‘구원’, ‘희망’의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이들의 시에서 나타나는 내적 논리를 면밀하게 추적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대상의 의미는 화자의 인식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대상이 갖는 의미가 그 자체에 내속적인 것이 아니라 주체의 관점에 따라 구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대상도 시기나 관점에 따라 다른 의미로 구성되며, 타자와 주체의 관계가 그러한 의미화 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작품의 의미와 구성에 대한 분석은 기존의 상징체계에 대한 고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작품 속에서 구현되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에 대한 인식 및 그것이 구현되는 양상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을,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과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최승자, 이성복, 기형도의 작품에서 각기 나타나는 ‘사랑’과 ‘구원’, ‘희망’이라는 대상이다. 이러한 대상들은 위의 시인들의 작품 속에서 다른 시인들과 구별되는 특수한 의미로 포착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를 시대적 맥락이나 시인의 사적 맥락으로 환원시키거나 혹은 상식적 의미의 수준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그와 같은 의미의 특수성 및 변화 양상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변증법적 반성의 관점에서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대상은 시기나 관점에 따라 개별적이며 특수한 의미로 작동하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속에 나타나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의 관계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 그에 대한 표현 양상에 주목하면서 그로부터 대상이 갖는 의미와 그것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최승자의 작품 가운데 1980년대에 발표된 시집 󰡔이 時代의 사랑󰡕과 󰡔즐거운 日記󰡕, 󰡔기억의 집󰡕에서 나타나는 ‘사랑’의 의미와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로테스크한 표현 양식을 통해 구현되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의 모습은 시집이 경과됨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아가며, 이 과정에서 ‘사랑’ 또한 그 위상이 변화한다. 현실 너머의 초월적이며 절대적인 대상으로 정립되어 있던 ‘사랑’은 이후 현실의 구조 속에서 무가치한 대상으로 변모하며, 최종적으로는 화자의 현실을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준 중요한 사물 가운데 하나로 그 위상이 변화한다. 이와 같은 ‘사랑’의 의미 변화는 그것을 대하는 화자의 관점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여 나타난다. 3장에서는 이성복의 작품을 ‘구원’의 의미와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실의 혼란 속에서 질서에 대한 희구를 나타내던 ‘구원’은 이후 ‘어머니’라는 타자를 중심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구원’은 타자의존적인 형태로부터 주체적이며 자율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전환된다. 사랑과 헌신을 체현하는 존재로서의 어머니에 대한 화자의 태도는 곧 인식론적 변화의 모체로 작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이성복의 시에서 나타나는 시적 구조의 변화 양상은 이러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해석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와 같은 화자의 인식의 변화는 현실과의 관계에서도 변화를 불러일으키며, 이는 󰡔그 여름의 끝󰡕에서 나타나는 대상의 분화와 구성적 의미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기형도의 발표작을 연도별로 나누고 그 안에서 포착되는 희망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기에 ‘희망’은 어머니에 의해 제시되는 도래할 이상적 시공간으로서의 ‘봄날’과 유사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후 ‘희망’은 ‘모든 아픈 이가 낫는 시간’이라는 ‘봄날’의 실정적 내용에 대한 부정을 통해 구성되는 것으로써, 실정적 내용의 불가능성으로부터 촉발되는 ‘절망’과 대별되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의 이면에는 화자의 현실 인식이 첨예화되는 과정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안개」와 「오후 2시의 희망」 사이에 존재하는 화자의 인식의 차이를 의미한다. 인식과 관점의 전환에 따라 촉구되는 현실과의 새로운 관계 맺기의 가능성은 1989년에 발표되는 시편들에서 전면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이 시기에 이르러 화자는 벗어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무조건적 비관론으로부터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현실적 고민을 노출하기 시작한다. 세 시인에게서 식별되듯 대상의 의미는 선험적인 것도, 고정적인 것도 아니며 시기와 관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원리 이면에서는 화자의 자기 인식과 현실 인식의 변천이 존재하며, 때문에 대상의 의미를 따져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측면에 대한 더욱 면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앞으로 더욱 본격화될 1980년대 작품 연구에 있어 해석의 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11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