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9 0

인터넷 읽기에서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 연구

Title
인터넷 읽기에서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 연구
Other Titles
Epistemic Processing during Internet Reading : A Think-Aloud Study of College Readers
Author
이채윤
Alternative Author(s)
Lee ChaeYun
Advisor(s)
조병영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인터넷 읽기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란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의 인지적·메타인지적 읽기 행동으로 발현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인식론적 신념이 의미 구성 과정에서 작용하는 양상을 추론하는 데에 유용하다. 인터넷 읽기 중 드러나는 인식론적 처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독자 6명이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읽기 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주제로 40분간 인터넷 읽기를 하며 수행한 사고구술 프로토콜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탐구하였다. 첫째, 코딩 기준에 따라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독자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을 ‘인식론적 판단, 인식론적 점검, 인식론적 규제’로 유형화하였다. 실제 사고구술 발화를 통해 인터넷 읽기 중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기술하였다. 둘째, 프로토콜 코딩 결과와 읽기 과제 전후로 수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살펴 인터넷 독자의 인식론적 읽기 수행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비교적 능숙한 의미 구성을 한 독자와 미숙한 의미 구성을 한 독자의 읽기 사례를 비교하여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수행하는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 의미 구성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독자의 대별되는 특징을 파악해봄으로써 인터넷 읽기를 통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연구를 통해 인터넷 읽기 중 작용하는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독자의 인식론적 처리 과정이 읽기 과정뿐만 아니라 읽기 결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읽기가 단순히 정보를 찾고 나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읽기 과정에 대한 점검과 조절을 통해 스스로 자료들을 연결해 읽으며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해가는 과정이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국어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how readers’ epistemic beliefs affect their reading process on the Internet. The concept of ‘epistemic processing’ is introduced for this study. Epistemic processing is a notion that describes how epistemic beliefs are revealed of reader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ading actions, and it is beneficial for inferring the function of epistemic beliefs in meaning-making. To investigate the epistemic processing during Internet reading, 6 college readers perform the Internet reading tasks for 40 minutes under the subject ‘Is there a link between smartphone usage duration and reading ability?’ and the researcher gathered their think-aloud protocols. These data are used to search fo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readers’ epistemic processing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analyzing verbal protocols based on the coding criteria: epistemic judgment, epistemic monitoring, epistemic regulation. It illustrates how the readers’ epistemic beliefs are disclosed through real think-aloud protocols. Second, the case of Internet readers’ epistemic reading is examined by analyzing the protocols and worksheets. It explains how the readers’ epistemic processing is reflected in the meaning-making by comparing the reading situations of a skilled reader and an inexperienced reader. Furthermore, by figuring out the classified features of the two readers, a better understanding of readers’ meaning-making process through Internet reading is deepened. The study wi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epistemic beliefs that function during Internet reading and discovers that the readers' epistemic processing is tightly connected to both the reading process and reading outcome. As well, the study establishes that Internet reading should not be restricted to just discovering and listing information, but should instead be a process of connecting reading materials and leading to an in-depth understanding with controlling the reading process on their own. And, by extension,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serve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educ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58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