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1 0

노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가정식 대체식품(HMR)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취업 노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노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가정식 대체식품(HMR)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 취업 노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Effects of the elderly’s food lifestyle on HMR consump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lderly employed in the metropolitan are
Author
채은병
Alternative Author(s)
Chae, Eun-byung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s of the modern world, changes in individual and family values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life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Recently, as the dietary consumption patterns pursue convenience and nutrition, consumers' demands for Home Meal Replacement (HMR) are increasing.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ietary lifestyle of the elderly people 65 and up, who are emerging as main consumers for the HMR consumption. To do this, we have categorized the, dietary lifestyle into health-seeking, convenience-seeking, economic-seeking, and safety-seeking types, and HMR consumption behavior into frequency, preference, purchase purpose, and purchase path. The online and face to fac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 st to September 30th , 2021, using a questionnaire (39 questions) approved by IRB for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We have anaylzed the 173 cases using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Among HMR products, the elderly employed in the metropolitan area preferred instant convenience foods > food ingredients > cooked products > semi-cooked products, The consumers mostly purchased the products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wholesale m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lifestyle and HMR consumption behavior of the employed elderly, we have found that health-seeking type and convenience-seeking typ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HMR preference and HMR frequency,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elderly seeking convenience foods ha a high frequency of using HMR products, while the elderly seeking their health had a high preference for HMR. The employed elderly generally seem to prefer the HMR products because they are easy to cook and nutritionally positive.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the employed elderly emerged as the main consumers for the HMR products because their lifestyle changed in ways that they take good care of their health and convenience.Currently, however, HMR products for the elderly are limited, so they cannot completely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elderly. The results based on this study suggest the needs for developing various HMR products for the elderly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sales of the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elderly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us, as a future work, in-depth offline follow-up studyshould be conducted since the study introduced here do not reflect randomized samples in South Korea needed in the future.| 현대 사회의 사회·경제적 발전으로 개인과 가족의 가치관의 변화는 라이프스타일과 소비 행동에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식생활의 소비패턴이 편의성과 영양성을 추구함에 따라 소비자의 가정식대체식품 (Home Meal Replacement, HMR)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로 인해 소비 주체로 떠오르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가정식 HMR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형, 편의추구형, 경제추구형, 안전추구형으로, HMR 소비행태는 이용 빈도, 선호도, 구매용도, 구매경로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취업 노인으로 IRB 승인을 받은 설문지(총 39문항)를 이용하여 2021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라인과 대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73명의 자료를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취업 노인들은 HMR 제품 중 즉석 간편식>식재료>완조리>반조리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구매 용도는 식사용이었고, 구매경로는 재래시장과 대형마트로 나타났다. 취업 노인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HMR 소비행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건강 추구형과 편의 추구형이 HMR 선호도와 HMR 이용 빈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편의를 추구하는 노인이 HMR 제품의 이용 빈도가 높았고, 건강을 추구하는 노인이 HMR 선호도가 높았다. 취업노인은 대체로 HMR을 조리도 간편하고 영양적으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취업 노인이 식품 구매의 주체로 부각되면서 노인의 라이프 스타일이 HMR 소비행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을 위한 HMR 제품이 제한적이어서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 하고 있다. 본 결과는 다양한 노인 맞춤형 HMR 제품의 개발 필요성과 마케팅 대응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취업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무작위 추출의 확률표본이 아니어서 우리나라 취업 노인을 대표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어 향후 전국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적인 오프라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58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CTIVE AGING INDUSTRY(고령산업융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