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3 0

도시 내 핫플레이스와 박물관⋅미술관의 상관관계 분석

Title
도시 내 핫플레이스와 박물관⋅미술관의 상관관계 분석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Urban Hot Place and Museum⋅Art gallery : Focused on Seoul
Author
이지우
Alternative Author(s)
LEE JI WOO
Advisor(s)
김환용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인터넷, SNS의 활성화로 인해 전시관 내 사진 촬영이 가능해지면서, 국내 전시시설은 양적, 질적 성장을 해오고 있다. SNS 활성화와 함께 미술관 및 박물관은 전시시설의 용도뿐만 아니라 도시 내 복합문화시설로 그 의미와 역할이 확대되어 관람객들과 보다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게 되었으며, 스마트폰과 SNS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얻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연구자들이 SNS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장소 정보에 있어서 SNS상 높은 인지도를 확보한 이른바 ‘핫플레이스’는 명칭 자체가 이용자들의 접속을 유도하는 도메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발생한 ‘인스타그래머블’이란 단어의 형성은 SNS상의 공유 빈도가 현실의 선택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핫플레이스를 선정하고 역할을 검증하여, 연구에서 선정한 핫플레이스가 해당 지역의 박물관과 미술관에 미치는 결과도출을 통해 도시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 핫플레이스의 개념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해당연구의 핫플레이스를 ‘~리단길’과 ‘~로수길’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선정한 지역이 핫플레이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검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시시설 중 박물관과 미술관을 해당 연구의 변수로 선정하여 서울시 내 박물관⋅미술관의 연 관람인원 수와 SNS 해시태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핫플레이스와 전시시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전시시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에 대해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전시시설에 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코로나로 인한 펜데믹 이전으로, 해당 변수 데이터들의 최신 시점인 2019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내용적 범위로 설정한 전시시설의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매년 제시하는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을 기반으로 도서관과 문예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을 제외한 박물관과 미술관을 그 범위로 하였다. 2019년을 기준으로 박물관 881곳과 미술관 258개 중 총 173개가 서울시 내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휴관 및 폐관된 시설은 제외하고 총 142곳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구조는 자료 구득에 따라 총 두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는 자치구 내 핫플레이스 및 핫플레이스 반경 1km 이내 전시시설의 유무가 전시시설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핫플레이스의 다양한 요소를 선별하여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선별된 세부요소가 전시시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치구 내 핫플레이스의 존재와 핫플레이스 반경 1km 이내 전시시설의 존재 유무는 전시시설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구 내 핫플레이스가 존재할 경우 그렇지 않은 자치구에 비해 전시시설의 연관람인원, SNS 해시태그 개수, 전시시설의 개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핫플레이스 반경 1km 이내 전시시설이 존재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전시시설의 연관람인원, SNS 해시태그 개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람들을 유입할 수 있는 자치구내 특정 상권의 존재가 박물관 및 미술관의 방문을 더 쉽게 유인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박물관,⋅미술관과 같은 전시시설이 주변 지역 및 상권과 서로 상호작용하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외부적 특성에 해당하는 인적 요소, 물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선별하여 전시시설의 연 관람인원과의 관계에서는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해시태그 개수와의 관계에서는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중교통을 통한 접근성의 이점과 인근 상업시설의 활성화가 전시시설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낸 지표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전시시설의 활성화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건축적 관점에서 진행되던 전시시설의 활성화 방안을 도시적 관점으로 확장하고 도시계획단계에 있어 단순한 전시시설이 아닌, 도시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서의 박물관⋅미술관 개발에 필요한 참고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With the activation of the Internet and SNS, photography in the exhibition has become possible, and domestic exhibition facilities have been grow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e revitalization of SNS, art galleries and museums have expanded their meaning and role not only for exhibition facilities but also for complex cultural facilities in the city, allowing people to get and share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nd the amount of data generated is exploding, and many researchers are trying to draw valuable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so-called "hot place," which has secured high recognition on social media, plays the same role as a domain that induces users to access, and the recent formation of the word "instagramable" clearly shows that the frequency of sharing on social media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al life cho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hot places in the city and verify their roles to analyze whether the hot places selected in the study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urban economy by deriving the results on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the region. Since the concept of hot places is broad, the hot place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ridan-gil' and '~rosu-gil'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verified and analyzed whether the selected area can play a role as a hot place. In addition, museums and art galleries were selected as variables for the study among the exhibition facilities to find out the number of visitors to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Seoul and SNS hashtags. Through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hot places and exhibition facilities were identified, and various variables affecting exhibition facilities in this process were analyzed step by step, and the impact on exhibition facilities on cities was analyzed.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set as of 2019(before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the latest point of the variable data, and in the case of exhibition facilities set as the content range, museums and art galleries excluding libraries, literary centers, local cultural centers, and cultural houses were set. As of 2019, a total of 173 out of 881 museums and 258 art galleries were distributed in Seoul, and a total of 142 were studied, excluding closed and closed facilities. The research structure was conducted in two stages depending on the acquisition of data, and the first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xhibition facilities within a 1km radius of hot places in the autonomous district on the activation of exhibition fac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istence of hot places in the autonomous distric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hibition facilities within a 1km radius of hot plac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exhibition facilities. The presence of hot places in autonomous distric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people related to exhibition facilities, the number of SNS hashtags, and the number of exhibition facilities compared to those that do not. In addition, if an exhibition facility exists within a 1km radius of a hot place,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people related to the exhibition facility and the number of SNS hashtags compared to otherwise. This shows that the existence of certain commercial districts in autonomous districts that can attract people can more easily attract visits to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addition, this means that exhibition facilities such as museums and art gallerie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commercial districts and create synergies. Second, by selecting human, physical, and social factors corresponding to external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exhibition facilities, and physical and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SNS hashtags. It is judged that the advantage of accessibility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activation of nearby commercial facil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exhibition facilities. Overall,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cators reveal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revitalizing exhibition facilities from an architectural point of view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as a center of urban cultural activit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9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DESIGN(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