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8 0

응급실 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지식,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및 감염예방 수행과의 관계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지식,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및 감염예방 수행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and Infection Control during COVID-19 Pandemic in Emergency Nurses
Author
박강
Alternative Author(s)
Kang Park
Advisor(s)
김미영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and Infection Control during COVID-19 Pandemic in Emergency Nurses Kang Park College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Mi Young Kim, Ph.D.R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and it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nurses, COVID-19 infection related characteristics, COVID-19 related knowledge, COVID-19 rela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COVID-19 related anxiety and COVID-19 infection control. It is also a correlation study to prepare a psychological support for emergency nurses. The subjects were emergency nurses who work for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six other emergency medical centers were target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work in the emergency centers for more than 6 months but those who work for less than 3 months due to job rotation were excluded as well as manager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4 and October 31, 2021. A total of 191 people were surveyed and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consisted of 12 general characteritics and COVID-19 related chracteristics, 16 COVID-19 related knowledge, 14 COVID-19 rela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13 COVID-19 related anxiety, and 11 COVID-19 infection control.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verage age was 28.2±4.1 with 167 females (87.4%), 160 unmarried (83.8%), and 160 bachelor’s degrees (83.8%). The average of total clinical career was 4.8±4.0 years, and the average career in the emergency room was 4.3±3.5 years, and the number of staff nurses was 155 (81.2%). 2. As for the COVID-19 related characteristics, 178 (93.2%) were educated about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onrol, 191 (100%) were aware of cough etiquette, and 181 (94.8%) received Level D donning/doffing education. There were 135 subjects (70.7%) who had direct experience with COVID-19 infection. 3. The average score for COVID-19 infection knowledge was 14.2±1.1 out of 16, and the average score for COVID-19 rela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35.4±11.4 out of 70. The average score for COVID-19 related anxiety was 38.2±7.9 out of 52, and the average score of COVID-19 infection control was 38.4±4.7 out of 44. 4. COVID-19 infection knowledge was sifnificant according to age(F=4.00, p=.02), job position(t=-2.36, p=.019), and COVID-19 information acqusition path – government public relations(t=-2.05, p=.041). And COVID-19 related anxie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borderline with gender(t=-1.92, p=.056) and Level D donning/doffing education(t=-1.90, p=.059). 5.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COVID-19 rela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clinical career(=12.47, p=.006). And COVID-19 related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5.00, p=.025) and marital status(=3.96, p=.047). 6. COVID-19 rela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VID-19 related anxiety(r=.454, p<.001).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VID-19 relat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OVID-19 related anxiety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t is urgent to develop a psychological nursing intervention plan to reduc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related to COVID-19 of emergency nurses who see patients at the forefront in the case of an outbreak of a novel infectious disease. It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tudy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relevant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on measure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ituation and standardized quarantine explanations. Key words : Emergency Nurse, COVID-19, COVID-19 related Knowledg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xiety, Implemntation of Infection Prevention|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지식,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및 감염예방 수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심리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에 소재하는 종합병원 이상 규모의 1개의 권역응급의료센터, 6개의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병원의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로서 임상 경력이 6개월 이상인 자로 하였으며 부서 이동으로 해당 병원 응급실에서 근무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자와 관리자직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1년 9월 14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였으며, 대상자 설문지는 191부를 수집하였고, 측정 도구는 코로나 19 감염 지식은 Taghrir 등(2020)이 개발한 코로나 19 감염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를 김해란 등(20920)이 번역한 도구,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은 Freeston 등(1994)의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를 최혜경(1997)이 한국화한 것을 이슬(2016)이 단축한 불확실성 내성 부족(K-IUS-14)를 본 연구자가 코로나 19 감염 상황으로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코로나 19 관련 불안은 박종순(2003)이 개발한 병원 간호사의 항암제 노출로 인한 불안 도구를 강승미(2018)가 결핵균 노출 상황으로 인한 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한 것을 본 연구자가 코로나 19 감염 상황으로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코로나 19 감염예방 수행은 김선주(2016)가 개발한 메르스 격리지침 수행도 측정 도구를 본 연구자가 코로나 19 감염에 맞추어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평균 연령은 28.2±4.1세였으며 여성이 167명(87.4%), 미혼이 160명(83.8%), 학사가 160명(83.8%)이었다. 임상 총 경력은 평균 4.8±4.0년, 응급실 경력은 평균 4.3±3.5년으로 평간호사가 155명(81.2%)이었다. 2. 코로나 19 감염 관련 및 교육경험과 관련된 특성으로 호흡기 감염 예방법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178명(93.2%), 기침 예절에 대해 알고 있는 대상자는 191명(100%), Level D 착·탈의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181명(94.8%)이었다. 코로나 19 감염에의 직접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35명(70.7%)이었다. 3. 대상자의 코로나 19 감염 지식,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감염예방 수행 정도는 코로나 19 감염 지식은 16점 만점 중 평균 14.2±1.1점,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은 70점 만점 중 평균 35.4±11.4점, 코로나 19 관련 불안은 52점 만점 중 평균 38.2±7.9점, 코로나 19 감염예방 수행은 44점 만점 중 평균 38.4±4.7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 19 감염 지식,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감염예방 수행의 차이는 코로나 19 감염 지식은 연령(F=4.00, p=.02), 직위(t=-2.36, p=.019), 코로나 19 감염 예방법 정보 획득 경로(t=-2.05, p=.04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코로나 19 관련 불안은 성별(t=-1.92, p=.056)과 Level D 착·탈의 교육 여부(t=-1.90, p=.059)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경계성에 유의성을 보였다. 5.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정도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차이는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은 임상 총 경력(χ²=12.47, p=.006)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χ²=3.96, p=.047), 코로나 19 관련 불안은 성별(χ²=5.00, p=.025)과 결혼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²=3.96, p=.047). 6. 변수 간의 상관관계 결과, 코로나 19 관련 불안은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과 양적 상관관계(r=.454, p<.001)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코로나 19 감염 대유행 상황에서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과 코로나 19 관련 불안이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파악하였다는 데에 있다. 신종감염병 유행 시 환자를 최전선에서 보는 응급실 간호사의 코로나 19 관련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향으로 심리적 간호 중재 방안의 개발이 시급하며, 실무 현장에서도 물리적 감염 차단과 함께 응급실 간호사의 정신 건강에 대해 인식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표준화된 격리 설명에 대한 해당 기관과 지역 사회의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주요 개념어 : 응급실 간호사, 코로나 19, 코로나 19 감염 지식, 불확실성 내성 부족, 불안, 감염예방 수행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1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