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1 0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Title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Other Titles
Polices Response to Domestic Violence -A Study on the Interview Analysis of Field Police -
Author
김용중
Alternative Author(s)
Kim Yong Joong
Advisor(s)
이호용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 family is a living community in which food, clothing, and shelter are shared based on housing, and the members of this community are called families. The family serves as a haven that provides emotional stability and forms the basis of society. However, if violence occurs within such a family, unlike general violence, the violence is repeated continuously due to a special relationship such as a family, and the degree of violence becomes increasingly severe, which can lead to extreme results. In addition, domestic violence has evolved from family member violence to child abuse, elder abuse, school violence, youth violence, dating violence, etc., and developed into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past, when domestic violence occurred due to patriarchal cultural awareness, it was accepted and treated lightly as something that should be dealt with within the family. However, as the reality of domestic violence is increasingly reflected through the media and serious damage is seen, it i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rather than a domestic problem. I have been trying to do Among the state agencies, the police will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suppressing domestic violence and protecting the safety of victim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of domestic violence response by the police who respond to domestic violence incidents, the active police intervention and effective countermeasures in responding to domestic violence incidents, and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 police handling domestic violence cases in the field. was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police officers from the district corps and police boxes dispatched to the actual scene. In addition, we reviewed the domestic violence-related legal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such as the National Police Agency's domestic violence manual and police white papers, papers, and fact-finding surveys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domestic laws by examining the legislative trends and policies on domestic violence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Germany, UK and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laws and systems are very important because all the powers and duties of the police are based on the law. If the law fails to reflect the scene, the police's ability to respond to the scene becomes less effectiv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aw that reflects the scene, such as improving the penalties for refusing to enter the scene or violating emergency temporary measures of the police. Second, the domestic violence scene, unlike ordinary cases, varies from moment to moment, and there is a limit to the police power due to lack of law. Since most of them do not, these factors acted as a factor causing difficulties for on-site police officers. Third, there is a limit to the eradica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by the police alone, so organic linkage and integrated support with related organizations are important. to prevent re-offending.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trengthen the police's active intervention and legal response, realistic delegation of authority through the law is necessary so that the police can take a strict response in the field. Second, domestic violence-related laws and systems should be revamped according to real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violations easily occur due to the regulations on negligence in case of violation of emergency provisional measures, on-site access, and obstruction of investigation, the on-site police officer cannot adequately protect the victim. . Third, there is a limit to the police alone in protecting victims and managing offenders, so organic linkage and integrated support with related organizations are very important. Fourth, in order to protect victims and prevent recidivism due to the nature of domestic violence with a high recidivism rat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preventing recidivism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and manage perpetrators. Fifth, the personal cognitive attitude of police officer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responding to domestic viol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nduct education on laws and theorie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so that police officers can engage in domestic violence cases with a proper awareness, and to conduct continuous education such as expanding the field-oriented education from the initial stage before appointment.|가정이란 주거를 기반으로 의식주를 공유하는 생활공동체를 말하며 이 공동체의 구성원을 가족이라 한다. 가정은 정서적인 마음의 안정을 주는 안식처 역할을 하며 사회의 기초를 이룬다. 하지만 만약 이러한 가정 내에서 폭력이 발생한다면 일반폭력과 달리 가족과 같은 특수한 관계로 인해 지속적으로 폭력이 반복되며 폭력의 정도가 점점 심해져 극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가정 내 가족 구성원에 대한 폭력은 자녀에 대한 학대, 노인에 대한 학대, 학교폭력, 청소년폭력, 데이트폭력 등으로 그 형태가 진화하고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과거에는 가부장적인 문화적 인식으로 인해 가정폭력이 발생하면 가정 내에서 알아서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가벼이 다루어 왔다. 하지만 점점 언론을 통해 가정폭력에 현실이 비추어지고 심각한 피해 결과를 보게 되면서 가정 내에서의 일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게 되고 국가 차원에서 개입할 필요성이 생겨나면서 국가는 가정폭력을 실효성 있게 예방 및 처벌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국가기관 중에 가정폭력에 있어서 이를 억제하고 피해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경찰일 것이다. 본 논문은 가정폭력 사건을 현장에서 대응하는 경찰관들의 인터뷰를 통해, 경찰의 가정폭력 대응 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경찰의 적극적 개입 등 가정폭력 사건의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찰청 가정폭력 매뉴얼, 경찰백서, 여성가족부 가정폭력 실태조사 등과 가정폭력 관련 선행 연구논문을 검토하고,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의 가정폭력 법·제도를 비교법적으로 살펴보면서 바람직한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가정폭력을 현장에서 대응하는 경찰관들의 인터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가자들은 경찰의 모든 권한과 직무집행은 모두 법률에 근거하기 때문에 법과 제도가 현실에 맞게 제정되어 실효성이 있어야 하고 그 권한이 적정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법률이 현장을 반영하지 못하면 그만큼 경찰의 현장 대응력은 실효성이 떨어지므로 현장 출입거부 시, 경찰의 긴급임시조치 위반 시에 처벌조항 개선 등 현장을 반영하는 법률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 현장은 일반사건과 달리 사건이 시시각각 다양하게 변화하며 법률의 미비로 인한 경찰 공권력의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 주취 상태인 경우가 많고 대화가 통하지 않으며 경찰에 대한 저항이 많고 피해자가 처벌 불원하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이 현장경찰관들의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셋째, 가정폭력의 근절과 피해자의 보호는 경찰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연계와 통합 지원이 중요하며 가정폭력에 피해가 경미하더라도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한 관리를 하여 재범을 막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가정폭력 관련 법률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 맞는 실효성 있는 법률을 통해 현실적인 권한 위임을 하여 경찰이 현장에서 엄정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면 적극적이고 적법한 경찰의 개입과 대응이 이루어 질 것이다. 둘째, 기존 가정폭력 관련 법, 제도를 현장에 맞게 다시 재정비하여야 한다. 긴급임시조치위반이나 현장 출입·조사 방해 시 과태료 처벌규정으로 인해 쉽게 위반을 하게 되어 현장경찰관이 피해자를 적절히 보호하지 못하는 현실을 고려하여 위반 시 가해자 입소시설을 마련하여 입소시키거나 일정기간 유치장에 유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경찰만의 대응으로는 피해자 보호에 한계가 있으므로 유관기관과의 연계와 통합 지원이 중요하므로 정부의 강한 의지와 효율적인 정책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넷째, 근본적인 가정폭력 문제를 해결하거나 재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가해자 관리 방안에도 중점을 두어야 한다. 다섯째, 경찰관의 개인적 인식 태도는 가정폭력 대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따라서 경찰관들이 올바른 인식을 갖고 가정폭력사건에 임할 수 있도록 가정폭력과 관련된 법과 이론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임용 전 초임단계부터 현장실무 위주의 교육을 확대하는 등의 지속적인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7779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LEGAL AFFAIRS(법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