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2 0

공간 플랫폼 개념을 도입한 스마트 홈 설계 전략 제안

Title
공간 플랫폼 개념을 도입한 스마트 홈 설계 전략 제안
Other Titles
Guideline for Smart Home design: an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pace Platform
Author
장수정
Alternative Author(s)
Chang, Soojung
Advisor(s)
남경숙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Various social problems are emerging in line with socio-demographic changes like the increase in aging and single-person households, so smart home service is settling in our daily lives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o satisfy the diverse needs of the current society. However, despite the many benefits and convenience that it provides, smart home adoption has not met expectations. With this backgrou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decision to select smart homes. A smart home is an architectural environment that interacts with people by integrating technology and services in a residence. Accordingly, the valuation process that considers the space and interaction, together with the innovative attributes of the technology, must be taken into account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mostly focuses on the functional attributes of smart home technology.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spatial design strategies for smart homes that would promote selection by the users. As an approach to reinforce the selection of a smart home, a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elements that promote a user’s decision to use a smart home was defined as “a smart home space platform.” Design strategies were then proposed based on the main design elements and the user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a smart home space platform was defined and the design directivity was deduc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smart home design were analyzed to specify the spatial implementation plan of the design directivity. Third, a basic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rs to identify user preferences for smart home services and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using a smart home. Fourth, expert reviews and in-depth user surveys are conducted, and detailed design elements of the smart home space platform are deduced. Fifth, the analytical findings are synthesized to specify the concept of a smart home space platform and suggest design strategies for each element and type of smart home space platform. Lastly, the research is finished and summarized.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er data that affects smart home choice such as service preference and intention of use was collected. Next, the interes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examined. In particula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income level of the user, experience of use, and the intention of using a smart home. Second, this study provided examples of potential users' preferences and selection tendency for smart home services. For example, women preferred safety services more than men. In addition, the use intention of the users who preferred convenient service was relatively high. This finding means that the class with positive opinions about convenient service and intent to use are more likely to become potential consumers. The research finding could be applied as base data to design smart home services and determine target users. Third, the attributes of the smart home space platform were identified as 'composition of automated residential environment,' 'service expandability and diversity,' 'reinforcement of approachability,' 'balanced lifestyle,' ' safety of use,' and 'reduced environmental impact.' Moreover, the differences in the us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and the detailed design elements that make up the attributes were identified. Generally,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automated residential environment' as of greater importance. Fourth, categorized design strategi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use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dentified the influence of users' income level and experience of use on selecting a smart home.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importance were used to categorize the design strategies. Accordingly, three types of design strategies were suggested: 'diffusion type,' 'general type,' and 'premium type.' The research findings were specified by centering on the spatial reinterpretation of smart homes and introduction of applicable design concepts, application and fusion of existing design standards, and the users' perceptions of their importance. With this background, the ap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tool to support user-centered design of smart home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 solution measures for problems of previous smart home design standards such as uninstalled and incompatible devic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earch findings will be applied as base data for further research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lecting a smart home.| 고령화, 1인가구의 증가 등 인구사회학적 변화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고령자의 고독사 방지 및 낙상사고예방을 위한 신체활동 감지센서, 1인 가구 안전을 위한 경보시스템과 무인 배달 등 관련 스마트 홈 서비스가 현 사회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대안 기술로써 우리의 일상에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홈이 제공하는 다양한 이익과 편의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홈은 아직 우리의 삶에 깊게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잠재사용자의 스마트 홈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스마트 홈은 주거환경 속에 기술과 서비스가 집약되어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건축적 환경이다. 따라서 스마트 홈의 채택은 기술의 혁신적 특성만이 아닌, 공간과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는 가치판단 과정을 고려해야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스마트 홈 기술의 기능적 특성 만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용자의 채택을 촉진할 수 있는 스마트 홈의 공간 설계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 홈의 사용자 채택 강화를 위한 접근으로서 스마트 홈 채택을 촉진할 수 있는 제반 요소를 갖춘 주거환경을 ‘스마트 홈 공간 플랫폼’으로 정의하고 주요 설계 요소를 선별하며 사용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유형화된 설계 전략을 제안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수행된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스마트 홈 공간 플랫폼을 정의하고 선행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설계 방향성을 도출한다. 둘째, 스마트 홈 설계관련 법규 및 지침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설계 방향성의 공간적 구현방안을 구체화한다. 셋째, 사용자 기초인식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홈 서비스 선호 양상을 파악하고 스마트 홈 사용의도를 조사한다. 넷째, 전문가 검토와 사용자 심층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홈 공간 플랫폼의 세부 설계 요소를 도출한다. 다섯째,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스마트 홈 공간 플랫폼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스마트 홈 공간 플랫폼의 유형별 설계 전략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마무리하고 요약하여 기술한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선호 및 사용의도 등 스마트 홈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변수 간 영향관계를 검토하였다. 특히 사용자의 소득수준 및 사용경험과 스마트 홈 사용의도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잠재사용자의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선호 및 채택 경향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여성은 남성보다 안전 서비스를 선호하였다. 또한 편리 서비스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의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는 편리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거나, 사용하고자 하는 계층이 더욱 적극적인 소비자가 될 수 있음을 뜻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 산업분야에 스마트 홈 서비스 설계 및 타깃유저의 선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홈 공간 플랫폼의 특성을 ‘자동화된 주거환경 조성’, ‘서비스 확장성과 다양성’, ‘접근가능성 강화’, ‘라이프스타일의 조화’, ‘장기적인 사용 안전성 확보’, ‘환경적 부담의 감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각 특성과 특성을 구성하는 세부 설계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식별하였다.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자동화된 주거환경 조성’에 관련된 설계 요소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넷째, 사용자의 특성을 기준으로 유형화된 설계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소득수준과 사용경험이 스마트 홈 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으며. 이러한 사용자 특성과 중요도 인식을 중심으로 설계 전략을 유형화하여, ‘보급형’, ‘일반형’, ‘고급형’의 3가지 유형의 설계 전략을 제안하였다. ‘보급형’ 설계 전략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사용자 인식에 최적화되어 스마트 홈을 구성하는 최소한의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수요변화에 따라 서비스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보다 유연하고 통합가능한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일반형’ 설계 전략은 보통 수준의 사용자 인식에 대응하여 보다 확장된 통합시스템과 편리 및 안전 서비스를 복합제공하며 중간단계의 고도화 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고급형’ 설계 전략은 상대적으로 고도화된 인식과 수요를 가정하여 복합된 편리 서비스를 통해 주거환경의 편의를 강화하고 네트워크와 평면의 변화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유형이다. 이와 같이 유형화된 설계 전략은 스마트 홈 채택을 촉진하기 위한 사용자 중심적 접근의 일환으로 구체화 되었으며, 사용자의 인식과 실제적 수요를 반영하는 적정 수준의 공간과 인프라를 도입하여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경감하고 스마트 홈 서비스로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스마트 홈에 대한 공간적 재해석과 적응가능한 디자인 개념의 도입, 기존 설계 기준의 응용과 융합, 그리고 사용자의 중요도 인식에 기반을 두어 구체화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 결과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홈 서비스 및 관련 공간의 사용자 중심적 설계지원 도구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둘째, 기존의 스마트 홈 설계 기준의 문제점으로 알려진 설비 미설치·상호 호환성 결여 등에 대한 대안적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향후 연구 및 스마트 홈의 설계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성과 스마트 홈에 대한 상이한 인식, 스마트 홈의 구성요소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스마트 홈 서비스로 접근할 수 있는 채택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스마트 홈 채택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향후 연구의 기반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4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