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 0

중국 대학생의 SNS 이용이 꽌시(關係)형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국 대학생의 SNS 이용이 꽌시(關係)형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NS uses on the Formation of Guanxi among college students
Author
유신신
Alternative Author(s)
LIU SHENSHEN
Advisor(s)
박조원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SNS는 이용자들의 사회관계망을 관리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지불, 게임, 라이브 방송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중국의 경우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규모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이용자들이 소셜 미디어 더욱 더 의존하게 만들어 다양한 관점에서 SNS 이용과 효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SNS 이용과 효과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중국인 이용자들의 이용경험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오늘날 인간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셜 미디어 이용과 효과 연구는 중국의 경우 중국의 전통적인 인간 관계를 설명하는 꽌시(關係)의 차원에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꽌시는 중국의 사회적, 문화적, 관계적 특성을 포괄하기 때문에 꽌시를 떠나서는 중국인의 행위양식, 사고방식, 가치관을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와 꽌시 사이의 연계를 찾는 시도를 하였다. 꽌시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인 이용자들의 SNS 이용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SNS 이용과 꽌시 형성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23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SNS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 이용 동기, 이용 행위, 상호작용 요인, 그리고 꽌시의 관계를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 분석을 통해 중국 이용자의 SNS 이용동기 구조를 ‘자기표현’, ‘정보획득’, ‘오락 및 휴식’, ‘학습’, ‘관계유지’ 총 5개의 동기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동기구조는 중국 대학생들이 왜 SNS를 이용하는가에 대한 답을 제공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심리적 요인인 소속감, 동기 요인인 자기 표현, 이용행위 요인인 이용량, 상호작용 요인인 만족감이 꽌시 형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 획득 동기는 꽌시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꽌시 형성에 대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는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의 차별성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요인인 소속감은 자기 표현 동기와 정보 획득 동기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기여하며 자기 표현 동기와 만족감은 꽌시 형성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 획득 동기는 꽌시 형성에 부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량은 꽌시 형성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이 소멸되었다. 구조 모형 분석은 위계적 회귀 분석에서 영향력을 가진 변인들의 구조 관계 속에서는 영향력이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의 분석틀을 적용하며 SNS 이용이 중국의 꽌시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SNS 이용자의 SNS 이용 특성과 꽌시 형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는 중국인의 꽌시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함께 SNS와 꽌시 형성 연구는 젊은 세대가 전통문화를 살리는 데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SNS is not only used as a way of connecting users' social networks, but also satisfies users' differentiated needs such as payment, games, and live broadcast, etc. In China, The number of social media users is increasing dramatically. Particularly during Covid-19 pandemic, physical social distancing motivates people to use social media more oft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on the effects of social media. Although, the researches on the SNS uses and the effec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 is still a lack of investigation of Chinese users’ experiences. While, social media use and effects research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a macroscopical level,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understand in the Chinese Guanxi context which strongly reflect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Guanxi can reflect Chinese social, cultur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Until now, research on social media and Guanxi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refore, the research which can systematical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Guanxi is in need. This study sought to empirically examine the SNS use and effects research of Chinese user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formation of Guanxi was investigated. How SNS users' psychological factors, motivation for use, usage behavior, and interaction factors affect the formation of Guanxi wa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23 Chinese college students to see how the uses of SNS affect the formation of Guanxi. First, the motivation to use SNS was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hen,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psychological factors, SNS usage patterns, interactive factors, and Guanxi were explored. Based on the findings, the significance,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7761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