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1 0

문헌으로 본 조선 후기 궁중연향 처용무 연구

Title
문헌으로 본 조선 후기 궁중연향 처용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eoyongmu, a royal court banqu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literature
Author
송가영
Alternative Author(s)
Song, Ga-young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A study on Cheoyongmu, a royal court banqu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literature Song, Ga-young Dep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Cheoyongmu performance in royal cou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order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historical records such as 󰡔Uigwe󰡕, 󰡔Holgi󰡕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references, it is found that Cheoyongmu had been steadily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of late Joseon during the reign of In-jo to Cheol-jong. In the late Joseon era, royal court performance Cheoyongmu had underwent changes in diverse aspects such as characters, music, dance, and costume. One of the most notable difference is the introduction of Seon-san-gi system as a result of abolition of in-house performer position at Jang-Ak-Won. Cheoyongmu, like other dance performances, was performed as following process; selecting suitable performer when needed and sending them back to where they came from after the performan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ough conventionally recognized as a royal court dance, Cheoyongmu had been continuously performed outside the royal court. In Joseon dynasty when historical reference were well-kept and managed, court performance always referred to previous events, but not only limited to the precedence; they were open to modification Thus, Cheoyongmu has consistently changed in line with the time, and these changes can easily be found through the music and the dance at the time. Changes in music for Cheoyongmu can found in 󰡔Uigwe󰡕, 󰡔Holgi󰡕,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heoyongmu’s music, mainly composed of in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had gone through drastic changes in the late Joseon era. During Sook-jong‘s reign, had been used as a main dance music for cheoyongmu, but by the time of Gi-hae royal court performance during Sook-jong’s era, and became a major musical course for the dance. Even though and were essentially the same notes, the presence of in the collection proves that Cheoyongmu’s music continously changed. Afterwards, became major source in Yeong-jo’s reign. By the Jeong-jo’s time, Cheoyongmu had been performed with the combination of , , and . In the Cheol-jong’s era, , , , and .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musical composition of Cheoyongmu had always accompanied with the change - even when common musical piece was used, the composition were different. Since music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tone of dance, Cheoyongmu had allowed different ambiances with diverse changes in music. There are only two historical records that showed the change in dance 󰡔Holgi󰡕 from Sook-jong’s and Cheol-jong’s reign, thus thoroughly identifying the changes in d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quite limited.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wo records is more than a century, and that Cheoyongmu had been perform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time of King Yeong-jo, Jeong-jo, Soon-jo, and Heon-jong, it can be assumed the difference we found on two records did not happen abruptly. Dance formation recorded in two books of 󰡔Holgi󰡕 followed similar order; Circle(Circular Formation) → Line → Cross → Line → Circle(Circular Formation). However, numerous dance movements had been deleted in Cheol-jong’s era compared to that of Sook-jong’s, and the process of the dance had been shortened. Since the record from Cheol-jong’s time illustrated the dance in simplified terms, it was difficult to compare the movements from two era in detail. However, the movements in cross formation showed similarities between two times, which remained nearly unchanged from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even to current days. This study closely inspects historical evidences to systematically identify changing trend of the dance, reconsidering the 300 years history of Cheoyongmu focusing on the period of late Joseon dynasty. It is also notable that the study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s of Cheoyongmu from the late Joseon era that still remain in current version of the dance, and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and the value of late Joseon period in Cheoyongmu’s long history. In conclusion, later time of Joseon Dynasty had significantly impacted the dance to become what it is today. In these days, there are number of dancers who can deliver technically well-performed Cheoyongmu. but there are less dancers who can thoroughly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dance.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ance, and then physically expressing the dance shall be more systematic and valuable direction for passing down our traditional heritage. Those who love traditional dance hopefully find this study helpful in systematically and thoroughly approaching long-standing history of Cheoyongmu. Keyworlds: Cheoyongmu, Late Joseon dynasty, Royal court banquet, Court dance, Jeongjae|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궁중연향에서의 처용무 연행양상을 밝히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의궤󰡕와 󰡔홀기󰡕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그 외의 문헌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집 자료를 바탕으로 인조조부터 철종조까지 조선 후기 궁중연향에서 꾸준히 처용무가 연행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후기 궁중연향 처용무의 모습은 그 전과 비교해 출연진, 음악, 춤, 복식 등 다방면에서 변화가 발생했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조선 후기 장악원 소속의 상주 여기 혁파로 인한 선상기제도의 도입이다. 처용무 연행도 다른 춤과 마찬가지로 연향이 설행될 때 마다 필요시 적합한 여령을 선발하여 참여하도록 하였고 끝나면 각자의 지역으로 돌려보내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궁중무로 인식되어있던 처용무가 궁중 밖에서도 꾸준히 추어졌음을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기록 문화가 발달한 조선에서 연향을 설행하기 전 항상 전례를 참고하였으나 그것에 국한되지 않고 변화를 도모하는 일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바탕으로 연향마다 처용무는 그 시대에 맞게 변화를 동반하며 지속되었고 그 사실은 음악과 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의 변화는 󰡔의궤󰡕와 󰡔홀기󰡕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에 <봉황음>이 주가 되었던 처용무의 음악은 조선 후기에 상당한 변화를 겪는다. 숙종조에는 <영산회상>이 주요 춤곡으로 쓰였으나 이것이 숙종조 동안 꾸준히 지속되지 않았고 숙종 기해 진연에 이르러서는 <여민락>과 <향당교주>가 주요 음악으로 변화한다. <영산회상>과 <향당교주>가 같은 음악임을 염두에 두더라도 <여민락>의 추가로 음악이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영조조에서는 <여민락>이 주요 음악으로 사용되었고 정조조에 이르러서는 <향당교주>, <정읍악>, <여민락>의 조합으로 처용무가 연행되었다. 이후 철종조에 처용무는 <정읍만기>, <향당교주>, <여민락령>, <미후사>를 사용하였다. 조선 후기 동안 처용무의 음악적 구성은 늘 변화를 동반하였다. 공통된 음악을 사용한 경우는 있으나 같은 구성은 찾아볼 수 없다. 음악은 춤의 분위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음악의 변화는 이전과 다른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춤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숙종조와 철종조 󰡔홀기󰡕 2권이 전부였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 후기의 전반적인 춤 변화의 흐름을 명확히 밝혀내는데 다소 무리가 있었다. 다만 숙종조와 철종조 기록의 간격이 100년 이상인 점과 영조·정조·순조·헌종조에 꾸준히 연행된 점을 감안하면 두 홀기 간의 분명한 차이점이 한 번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두 홀기를 살펴보면 원(회무) → 일렬 → 오방 → 일렬 → 원(회무)로 이루어지는 춤의 진행 원리는 흡사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그 속의 춤은 숙종조에 비해 철종조에서 동작이 대거 탈락되며 춤의 진행과정이 소략화되었다. 철종조의 기록은 매우 단순한 지시어로 구성되어 있어 두 홀기 간 동작의 상세한 변화를 살피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단, 오방작대에서 이루어지는 춤사위는 상당히 흡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방작대에서의 춤은 조선 전기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춤사위로 처용무의 주요 동작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동안 이루어진 역사적 사실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보다 확실하고 체계적인 변화 양상을 정립하여 조선 후기 처용무의 300여년 역사를 재고(再考)하였다. 또한 현행 처용무에 잔존하는 조선 후기 처용무의 양상을 확실히 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처용무의 역사에 있어 조선 후기가 가지는 중요성 및 가치를 탐색하는데 천착(穿鑿)해보았다. 결국, 조선 후기는 현재의 모습을 갖추는데 영향을 준 시간이기에 중요도가 높다고 보여 진다. 현재 처용무를 기능적으로 잘 수행하는 무용인은 많으나 춤의 역사를 바로 알고 춤을 추는 사람은 비교적 적다. 춤의 배경을 올바르게 알고 그 것을 몸으로 표현해낸다면 우리 전통 문화를 전승하는데 더욱 체계적이고 가치 있는 일이 아닐까 싶다. 전통 춤을 사랑하는 많은 이들이 이 자료를 발판으로 처용무의 기나긴 역사를 더욱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처용무, 조선 후기, 궁중연향, 궁중무용, 정재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49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0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