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 0

이육사와 문일다 시에 나타난 주제와 이미지 연구

Title
이육사와 문일다 시에 나타난 주제와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me and Image in YI Yuk sa and Wen Yi Duo's Poem
Author
사옥팅
Alternative Author(s)
XIE YUTING
Advisor(s)
김미영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문일다와 이육사는 한국과 중국 근대 문단에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특히 당시 조선과 중국의 유사한 역사 사회 배경에 삶을 살았던 이육사와 문일다에 있어서 전통 유교적 가풍, 이국적인 유학경력과 반제국주의 혁명투사의 신분 등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들은 그 시기의 한·중 지식인, 한·중 문학사 연구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자 비교할 만한 대상이다. 문학 창작 활동을 활발히 참여했던 그들은 수많은 우수한 작품을 남겼는데 현대 시 분야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취득했다. 이육사와 문일다는 자신이 애국 지식인의 책임을 늘 지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동참하고 그러한 실질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우수한 저항 시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조국을 떠나 있어서 조국에 대해 깊게 그립고 동시에 해외에서 조국 현실을 비판적 시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한 공통적인 체험을 토대로 두 사람은 시적 주제와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하는 방식도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그 들은 향수의 감정과 현실비판의 사상을 표현하는 시 작품에서 이러한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상징적이나 비유적 이미지들을 많이 활용하였다. 따라서 보고는 이육사와 문일다가 공통적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 현실 비판의식, 투사적 정신 등 3가지 주제를 지닌 시 작품을 분석하고 두 그리고 이 작품들에서 활용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예정이다. 운율, 이미지, 주제는 시의 3대 구성 요소인데 회화적 요소 이미지와 의미적 요소 주제는 시에서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특히 이미지의 중심적 기능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에 있다. 본 논문은 2장에서 주로 이육사와 문일다의 작품을 고토에 대한 감정, 현실에 대한 비판, 투사적 저항정신 등 세 가지 주제로 나눠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3장은 1절에 이육사와 문일다의 시들의 주제 내용을 분석하면서 두 사람의 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적 이미지에 대해 논의했다. 3장 2절에서는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육사와 문일다의 시적 이미지 체제를 정리해 놓고 두 시인이 초기부터 후기에 사용된 이미지가 변화한 특징을 밝힌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85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0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LEARNING SCIENCE(러닝사이언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