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6 0

중학교 영어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위한 파닉스에 기초한 읽기 지도: 온라인수업을 통한 개별화 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Title
중학교 영어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위한 파닉스에 기초한 읽기 지도: 온라인수업을 통한 개별화 지도에 대한 실행연구
Other Titles
Phonics-Based Reading Instruction for Middle School Underachievers: Action Research on an Individualized Online Instruction
Author
임슬기
Alternative Author(s)
Lim, Seulki
Advisor(s)
안성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lans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learning through an online class course that teaches phonics and beginning reading to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can’t read English and changes in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and affectivity.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conducted phonics and textbook reading classes for four first-year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wit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ir affective changes were identified through pre-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Second, a first-stage phonics learning to develop phonetic recognition ability and a second-stage textbook reading class were planned and conducted. Third, the recording assignments received online are collected as data, and the learning process was check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one-on-one meetings. Fourth, by writing a teaching journal, the direction and efficiency of the class were checked, and the class contents were reorganized and applied to the next class. Fifth, through the analysis of accumulated task data, chang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reading ability of the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their affective changes were identified through post-interview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data analyzed after conducting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ethods that contributed to the change i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change of reading slow learners are (A) individualized guidance through online class progress, (B) to receive their task data online, monitor learning ability and feedback individually, (C) to be careful not to expose their learning abilities to others and give them a sense of stability. Second, phonics learning and textbook reading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in English,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interview and post-interview, there were also affective changes in which the participants became interested, confident, and motivated in learning English. Thir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and including the researcher's own reflection in the professor's journal, the researcher's perceptions have also chang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had a success experience that he had never felt while teaching students with reading slow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elicit changes in reading ability and affective change of reading slow learners. First, for effective reading learning, the ratio of actual reading should be higher than that of phonics. Second, in order for a student who can’t read English to read, the teacher's time and energy must be concentrated on the minority. Third, rather than phonics that recognize only the sound of words or early reading excluding the meaning, reading learning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ds and the contents of the text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Fourth, in the next step of beginning reading, follow-up measures should follow up on what and how to lear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읽지 못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파닉스와 초기 읽기를 지도하는 온라인수업 과정을 통한 개별화된 학습의 계획과 실행, 그리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 소재의 중학교에서 영어를 읽지 못하는 1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파닉스와 교과서 본문 읽기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과의 사전면담을 통해 그들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음운 인식능력을 키우기 위한 1단계 파닉스 학습과 그 지식에 근거한 2단계 교과서 본문 읽기 수업을 계획·실시하였다. 셋째, 온라인으로 받은 녹음 과제를 데이터로 수집하고 온·오프라인 일대일 만남으로 학습 과정을 점검하였다. 넷째, 교수일지를 작성하며 수업의 방향성과 효율성을 점검하고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여 다음 수업에 적용하였다. 다섯째, 축적된 과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참여자들의 학습 과정과 읽기 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고, 사후면접을 통해 그들의 정의적 변화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이후 분석한 자료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력 부진 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기여한 수업 방안은 (가) 온라인수업 진행을 통한 개별화 지도, (나) 참여자의 과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받고 학습 능력을 모니터하고 개별적으로 피드백하기, (다) 개별 참여자의 학습 능력이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마음에 안정감 주기였다. 둘째, 파닉스 학습과 교과서 본문 읽기는 참여자들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였고 그로 인해 읽기 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사전면담과 사후면담을 비교한 결과, 참여자들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자신감·동기를 갖게 되는 정의적 영역의 변화도 보였다. 셋째, 참여자들의 학습 과정 관찰과 연구자 자신의 성찰 내용을 교수일지에 담은 결과, 연구자의 인식 또한 변화되었다. 연구자는 연구 과정을 통해 이제까지 기초학력 부진 학생을 가르치면서 느껴본 적 없는 성공 경험을 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과 기초학력 부진 학생의 읽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효과적인 읽기 학습을 위해 파닉스보다 실전 읽기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 둘째, 영어를 못 읽던 학생이 읽기 위해서는 교사의 시간과 에너지가 소수에게 집중되어야 한다. 셋째, 단어의 소리만 인식하는 파닉스나 의미 파악을 배제한 초기 읽기보다는 단어의 뜻과 글의 내용을 함께 이해하는 독해 학습을 해야 한다. 넷째, 초기 읽기 다음 단계에서는 어떠한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지 후속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65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74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