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0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Title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for Self-Esteem Improvement of Adolescents Growing Up with Disabled Siblings
Author
김진희
Alternative Author(s)
Kim, jin hee
Advisor(s)
김선아, 석미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natural objects on self-esteem improvement of adolescents growing up with disabled siblings. The aim is to help these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strengthen their own self-esteem, thereby leading more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adaptive lives and expressing themselves in more healthy ways. To this end, two adolescent children who were family members of disabled students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Y district, Seoul were selected, and an art therapy program using natural object was conducted on them for a total of 15 sessions from July 2, 2021 to August 20, 2021 with a duration of 90 minutes each and interval of twice a week (not including the pre- and two post-examinations). In order to draw study conclusions, Self-Esteem Inventory (SEI) and House-Tree-Person (HTP) tests were conducted during the pre- and two post-examinations, as well as interviews with the test subjects and their parents during these examinations—the results of which and the observational records during the therapy sessions were compared to analyze both verbal and non-verbal changes regarding self-esteem.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1) Initial therapeutic fac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b-factors for self-estee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hich helped us identify the final therapeutic factors. Based on the factors, objectives were identified for four therapeutic phases—initial phase, mid-phase one and two and final phase—, and th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keeping the test subjects engaged and effectively positioning natural objects and art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phase’s objectives and desired effects. The result was improved self-esteem of the test subjects. 2) It was shown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had positive effect for self-esteem improvement of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The SEI score of Subject A for the First Post-examination was 12 points lower than during the Pre-examination, but this seemed to have been the result of A lowering her guards and having a clearer understanding of herself through the program. Subject B showed an improvement for the same comparison. In addition, both test subjects drew with weak strokes during the Pre-examination HTP test but drew with firmer strokes after the therapy and added more objects in their drawings, indicating more internal liveliness. Lastly, interview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ir parents supported the finding of improved self-esteem. 3) Post-termination self-esteem of the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also showed persistence. The Second Post-examination SEI scores of the test subjects showed improvements compared to those of the First Post-examination. Both the HTP test result and interviews also showed positive changes in factors for self-esteem. This shows that the improvement in self-esteem achieved via group art therapy using natural objects resulted in a permanent effect and also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since humans and nature are inseparable, those that received the therapy would be able to remind themselves of the therapy program experience in their everyday lives, thereby maintaining the program effects for a longer period. In conclusion, it seems safe to conclude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can have positive effect for self-esteem improvement of adolescents with disabled siblings. Accordingly,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natural objects that was devised for this study were implemented in fieldwork and a continued more in-depth analysis could be conducted on its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disable siblings.|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으며,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심리‧사회적으로 적응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을 보다 건강하게 표현하며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Y구에서 특수학급을 다니는 장애아의 가족 중 선정한 비장애 청소년 2명을 대상으로 2021년 07월 02일부터 08월 20일까지 사전‧사후 1‧사후 2 검사를 제외하고 주 2회, 90분씩 총 15회기 동안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도출을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검사(Self-Esteem Inventory:SEI)와 HTP(House-Tree-Person) 그림 검사를 사전‧사후 1‧사후 2에 실행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의 회기별 관찰일지와 연구대상 및 학부모의 사전‧사후 1‧사후 2 인터뷰를 통해 자아존중감에 관한 언어적‧비언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과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1차 치료요인을 도출한 뒤, 연구대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최종 치료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 중기 1, 중기 2, 후기의 4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목표를 설정한 후, 연구대상의 흥미를 유발하고 단계별 목표 및 기대효과에 부합하는 자연물과 미술 매체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 향상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는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결과 연구대상 A는 사전에 비해 사후 1의 점수가 12점 하락했으나, 이는 자기방어가 높았던 연구대상이 프로그램을 통해 방어를 낮추고 사전에 비해 자신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한 뒤 사후 1에서 비교적 솔직한 평가가 진행되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연구대상 B는 사전 점수에 비해 사후 1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더불어 모든 연구대상은 사전 HTP 그림 검사에서는 약한 필압으로 그림을 그렸던 반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면서 필압이 강해졌을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것을 그려 넣어 내면의 생동감 또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과 학부모 인터뷰를 통해서도 연구대상의 자아존중감이 향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종료 후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존중감 척도검사 결과 연구대상은 사후 1 점수에 비해 사후 2 점수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HTP 그림 검사와 연구대상과 학부모 인터뷰를 통해서도 자아존중감 구성요인에 대한 긍정적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이 일시적인 효과가 아니라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인간과 자연은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일상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경험을 상기시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다 장기간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에 부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 형제를 분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연물 활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어, 장애 형제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89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54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