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 0

여성 직장인의 조직문화와 직무성과의 관계

Title
여성 직장인의 조직문화와 직무성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Among Female Worker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Moderated by Feminist Identity
Author
정재연
Alternative Author(s)
Jung, JaeYeon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of working women will vary depending on the feminist identity on a cognitive and professional level and that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can be controlled by feminist identity. For this study, 314 female office workers between the ages of 25 to 52 nationwide were surveyed online using questions derived from domestic organizational culture, job performance criterias, self-efficacy, and factors related to feminist ideolog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23.0 progra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first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feminist identity and further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how one’s identity in feminism manifests in one’s own self-efficacy and their professional presence in a professional and organized culture.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controlled by feminist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ational culture, consensus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hierarchical culture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In additon,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consensus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Moreover, in the process of verifying whether feminism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nsus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t was found that feminism regulates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nsus culture and self-efficacy.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eminist identity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consensus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on job performance through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feminist identity, the high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at the average or low level of feminist ident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Primarily,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job performance, and prov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consensus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This study requires two dimensions of effort to grow a company. For the first required dimens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family relationships at the corporate organizational level, give autonomy to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second, to be confident in their job handling ability. In addition, its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good performance of a company in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focuses on stability and control or values achievement through competition.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importance of feminist identity, which has recently become a social topic, in job-related field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and internal dimension of individual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feminist identity can play a major role in areas related to job performance by examining it together with organizational and job areas.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직장여성의 자기효능감의 관계가 여성주의 정체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조직문화가 자기효능감을 거쳐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주의 정체성으로 조절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있는 여성 직장인 25~52세 314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직무성과, 자기효능감,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먼저 조직문화, 직무성과, 자기효능감,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확인한 후,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으로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합리문화, 합의문화, 개발문화는 자기효능감과 정적상관이 있고, 위계문화는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 한 결과,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합의문화와 개발문화에서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하며, 위계문화와 합리문화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합의문화, 개발문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여성주의 정체성이 합의문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개발문화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모두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합의문화, 개발문화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여성주의 정체성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주의 정체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높아지며 여성주의 정체성의 평균이나 낮은 수준에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고, 합의문화와 개발문화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두 가지 차원의 노력이 요구되는데, 첫째, 기업의 조직차원에서는 가족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조직 구성원의 업무수행에 자율성을 부여하며, 둘째, 여성 근로자 개인차원에서는 자신의 업무 처리 능력에 확신을 갖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안정과 통제에 초점을 두거나 경쟁을 통한 성과 달성을 중요시하는 조직문화에서는 기업의 좋은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여성주의 정체성의 중요성을 직무와 관련한 분야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여성주의 정체성을 주로 개인의 심리내적 차원에 중점을 두고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조직 및 직무 영역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여성주의 정체성이 직무수행과 관련한 영역에서 주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548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49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