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7 0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 중독의 관계 :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의 매개효과

Title
불안정 성인애착과 일 중독의 관계 :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Work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Loneliness
Author
최은정
Alternative Author(s)
Eunjung Choi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불안정한 성인애착( 회피애착, 불안애착) 과 일중독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일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 및 외로움의 역할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애착이론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예측변인 으로, 대인관계와 외로움을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에서 50세 사이의 직장인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활용하여 기술 통계치 및 상관계수 산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단순매개 효과 및 순차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은 대인관계문제를 거쳐 일중독에 미치는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불안정 성인애착 유형에 따라 일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차이를 보였다. 요약하면 회피애착 자체가 일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대인관계문제의 변인을 경유하여 일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불안애착은 일중독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불안애착 자체가 일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문제의 변인을 경유하여 일중독에 간접적인 영향도 유의하여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 (회피애착, 불안애착)은 외로움을 거쳐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피애착은 외로움을 거쳐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며 일중독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회피애착은 외로움을 자주 느낄수록 일중독의 수준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반면 불안애착은 외로움이 일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즉, 불안애착이 일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로움의 변인은 일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이 일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이 순차매개 효과를 보였다. 애착회피의 경우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의 매개변인 중 외로움에 더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대인관계문제가 순차적으로 일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불안애착의 경우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의 매개변인 중 대인관계문제에 더 유의한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로 인한 외로움이 일중독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이는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의 매개요인이 일중독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일중독성향을 유발하는 경로에서 애착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의 도식과정에 차이가 나는 결과에 따라 대인관계문제와 외로움을 경험하는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상담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상담 장면에서 애착회피 내담자의 경우 외로움의 정서를 먼저 다루며, 불안애착의 경우 대인관계문제에 상담목표를 먼저 다루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불안정 성인애착, 대인관계문제, 외로움, 일중독, 순차 매개|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nd work addiction and to explore the role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work addiction. Based on attachment theory and previous studies, unstable adult attachment was set as predictive variabl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loneliness were set as mediating variables. To verify thi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office workers aged 20 to 50.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and simple mediating effects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stable adul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work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problems. Depending on the unstable adult attachment type, the parts that directly affect work addiction differed. In summary, avoidance attachment itself did not directly affect work addiction, but indirectly affected work addiction through variables in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other hand, anxiety attachment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of work addiction, so anxiety attachment itself had a direct effect on work addiction, and the effect of partial mediation was confirmed by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unstable adul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n work addiction through loneliness. Avoidance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addiction through loneliness and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work addiction. his means that the more you feel lonely in avoidance attachment, the higher the level of work addiction.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was not confirmed because the effect of loneliness on work addiction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anxiety attachment itself directly affects work addiction, and the variable of lonelin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ork addiction. Third, it was significant that unstable adult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interpersonal problems and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of work addiction. In the case of attachment avoidance, it is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loneliness among the parameters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quentially indirectly affected work addiction. On the other hand, anxiety attachment itself directly affects work addiction, and in the case of anxiety attachment, among the parameters of interpersonal and loneliness, interpersonal problems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work addic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anxiety attachment, the higher the level of work addiction as a mediating factor for interpersonal problem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ersonal problem and the schematic process of lonel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attachment in the path that causes work addiction, it may be effective to deal with the emotion of loneliness firs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50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41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