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 0

도구적 이성 개념을 통해 본 교육학의 과학화 경향에 대한 비판

Title
도구적 이성 개념을 통해 본 교육학의 과학화 경향에 대한 비판
Other Titles
A Critique of Scientificated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Instrumental Reason’
Author
김빛나
Keywords
교육학 연구; 교육학 논쟁; 도구적 이성; 호르크하이머;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 debate; instrumental reason; Horkheimer
Issue Date
2020-06
Publisher
한국교육철학학회
Citation
교육철학연구, v. 42, no. 2, page. 33-57
Abstract
본 논문은 교육학의 과학화 경향에 대하여 비판이론의 도구적 이성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육학은 규범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을 동시에 고려하며 교육 현상을 다루는 독특한 학문이다. 교육학에서 규범적 차원의 접근은 교육의 목적에 비추어 교육 현상을 성찰하는 것이며, 실제적 차원의 접근은 교육 현상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하여 과학적 절차를 통하여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에 주력한다. 따라서 교육학 연구에서 두 차원에 대한 고려는 공존해야 하며,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현대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학 연구는 과학적 이론에 바탕을 둔 연구절차를 더욱 중요한 것으로 여기게 되면서 교육의 가치와 목적에 대한 고민보다는 연구의 과학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연구 방식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비단 교육학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계몽주의 이후 합리성이 강화되는 흐름에서 학문이 명증성과 객관성을 추구하면서 인간성을 상실한 불균형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불균형에 대하여 호르크하이머는 계몽주의 이후 합리성이 강화되면서 이성은 이념을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었고, 자기 보존을 위하여 수단을 고려하는 도구적인 것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학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학문의 규범적 차원을 담당하는 객관적 이성과 실제적 차원을 담당하는 도구적 이성에 대하여 서로 이해하고 인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교육학에서도 규범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각 차원의 연구에서 할 수 있는 것의 범위와 할 수 없는 것의 한계를 규명하며, 상호 보완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 논의를 계속해서 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oblematizes the current tendency of scientification in educational studies by examining the idea of instrumental reason in critical theory. Education is a unique discipline that deals with educational phenomena, taking into account both norma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at the same time. By the normative, in education, it reflects on the educational phenomena in terms of the purpose of education, while the practical, it focuses more on solutions through the scientific approach to educational problems. Therefore, the dimensions of the normative and practical must be considered as coexisting and affecting each other.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emphasis on academic evidence and objectivity, the practical dimension of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scientific approach has gained more attention than the other. This trend is not limited to pedagogy, but it is an unbalanced phenomenon in which learning has lost its humanity in the study due to its pursuit of clarity and objectivity in the trend of strengthening rationality after enlightenment. In response to this imbalance, Horkheimer finds that rationality after enlightenment has been strengthened, leading to the loss of reason's ability to objectify ideology and becoming a tool to consider means for self-preservation. This paper emphasizes, in the study of education, tha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both objective reason and instrumental reason in relation to the normative and practical dimension, respectively. The research scope of each dimension, furthermore, should be identified. Finally, the two dimensions of educational studies must continue to engage and respect each other towards rich discussions for education.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78809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272
ISSN
1598-1568; 2713-9107
DOI
10.15754/jkpe.2020.42.2.002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INSTITUTE FOR EDUCATIONAL RESEARCH(한국교육문제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