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0 0

연기 교수법 모형 개발 연구 - 미하일 체홉의 '분위기'(atmosphere) 원리를 중심으로 II -

Title
연기 교수법 모형 개발 연구 - 미하일 체홉의 '분위기'(atmosphere) 원리를 중심으로 II -
Other Titles
A Study on Modeling Teaching Methods of Acting - focused on Michael Chekhov's Principle of 'Atmosphere' II
Author
조한준
Keywords
미하일 체홉; 연기 교수법; 분위기; 연기 방법론; 연기 교육; Michael Chekhov; Teaching Methods of Acting; Atmosphere; Acting Methods; Acting Education
Issue Date
2020-06
Publisher
한국연극교육학회
Citation
연극교육연구 v. 36, page. 291-323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연기 교육계의 다양성과 객관성을 강화하고자 미하일 체홉 연기 테크닉의 이론적 원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볼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미하일 체홉 연기 테크닉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분위기’ 원리를 인지과학적 관점으로 고찰하여 이론적 특성들을 도출하고, 그 특성들이 반영된 실제 연기 교수법을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인지신경과학의 증명에 따르자면, ‘분위기’는 언어적 표현으로 한정할 수 없는 감각-인지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여기서 말하는 ‘인지’는 현상에 대한 뇌의 단순한 작용이 아닌 인간 신체가 갖는 개체 특수성과 밀접하게 연관이 된다. 그리고 그것이 즉각적으로 인간 행동에 작용하는 일종의 ‘맵핑’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견해에 따라 인지신경과학자들은 ‘인지’라는 개념 앞에 ‘체화된’ 이라는 용어를 함께 사용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체화’란 인지-신체(몸) 간의 상호작용에 ‘환경’ 혹은 ‘공간’의 개념이 더해진 확장이다. ‘체화된 분위기’의 감각들은 거울뉴런 네트워크에 의해 무대 위에 존재하는 또 다른 인간(자아)들과 감각을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나아가 무대를 넘어 객석에 존재하는 또 다른 인간(자아)들과 시간적 동시성 안에서 ‘공동으로 현존’(co-presence)하는 매개가 된다. 거울뉴런 네트워크는 체홉의 ‘분위기’ 원리를 인지신경과학적으로 증명해 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것은 첫 째, ‘분위기’ 원리의 상호주관적 특성과 연관된다. 즉, 개인-타인 간의 신경생리학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둘 째, 그것은 무대-객석이라는 두 개체 간에 강한 연대를 형성시키는 상호의존적 특성과 연관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론적 특성을 바탕으로 ‘분위기’ 원리를 적용시킨 연기 교수법 모형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 모형 A(현존감 찾기)는 공간 안의 ‘분위기’ 속에 존재하는 자아의 ‘체화된 인지’를 경험해보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모형 B(버블 훈련)는 ‘분위기’ 원리의 상호주관적 특성이 적용된 훈련 방법이다. 모형 C는 이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단계로서, ‘분위기’ 원리의 상호의존적 특성까지 포함된 방법론이다. 이와 같은 시도들이 체홉의 연기 테크닉, 그 중에서도 ‘분위기’ 원리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넘어 그것의 과학적 논거와 증명을 제시함과 더불어, 실제 연기 교수법으로 적용이 되는 데 의미있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배우에게 자극-충동-반응이라는 인간 본연의 메커니즘을 인지시키고 체득하게 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moting a right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principles for Michael Chekhov’s acting technique and finding a possibility for applying them to an actual field of acting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diversity and objectivity of teaching methods for an acting education in Korea.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a principle of ‘atmosphere’, which is one of essential elements of Michael Chekhov’s acting technique, and draws theoretical features from a cognitive scientific point of view for developing a new model of teaching methods of acting. According to a verification of cognitive neuroscience, an ‘atmosphere’ is an interactive product which is not only surrounded around human beings but also radiated from human beings themselves at the same time. The ‘atmosphere’ exists anywhere and at anytime regardless of human will. It is invisible and abstract but surely be experienced and recognized by human. Therefore, the ‘atmosphere’ cannot be limited by human linguistic expression as it is not a kind of simple effect of human’s brain to a certain phenomenon.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sultant reaction of all parts of human body. In this sense, cognitive neuroscientists have added a word, ‘embodied’ in order to explain and prove a process of human cognition. This word, ‘embodied’ means a concept of expansion that spontaneously generates whe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cognition and body meets a concept of space or environment. A sense of ‘embodied atmosphere’ is led to share it with other human beings on stage by the system of mirror neurons. Futhermore, beyond the stage, it becomes an intermediation with another human beings who co-present on the auditorium at the same time. The system of mirror neurons has played a determinant role in proving the principle of Chekhov’s ‘atmosphere’ from a cognitive neuroscientific angle. Firstly, it is related to an intersubjective characteristic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atmosphere’. It means a neurophysiologic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others. Secondly,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an interdependent characteristic which is strongly formed between the spaces of stage and auditorium. By focusing above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has offered three models of teaching methods of acting applied the principle of ‘atmosphere’. The is a method for experiencing the concept of ‘embodied cognition’ that exists in the space around individual actors. The is a method applied the intersubjective characteristic of the principle, ‘atmosphere’. The is a comprehensive step included the interdependent characteristic of ‘atmosphere’. Treating a study for an art of acting is always difficult and mistakable due to it’s intangible characteristics. Especially, educating acting as a teacher needs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from doing acting as an actor. It needs not only a conceptual approach with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fundamental theory but also it needs an ability to offer actual ways to apply it with various methods. In this sense,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new attempt for developing and enlarging of discussing the art of acting as a technique beyond an academic approach.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0131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228
ISSN
1738-155X
DOI
10.46262/KTE.36.1.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S](예술·체육대학) > THEATER AND FILM(연극영화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