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5 0

인간과 반려견의 시각적 차이에 기반한 반려견과의 커뮤니케이션 방향 및 융·복합적 제품 디자인 제안

Title
인간과 반려견의 시각적 차이에 기반한 반려견과의 커뮤니케이션 방향 및 융·복합적 제품 디자인 제안
Other Titl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with dogs and converged product design based on visual differences between humans and dogs
Author
박경진
Keywords
반려견(Companion Dogs); 적록색맹(Red-green Color Blindness); 융·복합 디자인(Convergence Design); 컬러 커뮤니케이션(Color Communication); 제품 디자인(Product Design)
Issue Date
2021-06
Publisher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Citation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 39, no. 3, page. 449-456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과 반려견의 시각적 차이를 바탕으 로 한 새로운 교감 방향의 발견에서 시작되었다. 반려 동물 보유 가구 수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우리 사 회 속 인간과 반려동물의 관계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견과 인간의 신체적 차이 중에 서도 시각적 차이에 주목하여 반려견과의 교감과 커 뮤니케이션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융·복합 적 제품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반려견의 색상 구분 능력을 고려한 새로운 제품 디자 인 고안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견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하여 인간과 반 려견의 시각적 교감 가능성을 파악했다. 둘째, 반려견과 인간이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색상을 설정하여 이를 활용한 반려견과의 교감 활 동을 ‘컬러 커뮤니케이션(Color Communication)’이라 지 칭하고, 컬러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필요성을 제안했다. 셋째, 반려견과의 효과적인 컬러 커뮤니케이션을 위 한 놀이 제품 디자인을 고안했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활용도를 제시하기 위해 해당 제품을 통해 반려견과 더욱 효과적으로 교감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활동 방안들을 제안해보았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반 려동물 시장의 성장과 같은 시대적 요구에 적합하다 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론과 주관적 해석을 기반으 로 한 제안성 연구로서 반려견의 색깔 인식에 대한실험 등 정확한 검증과 근거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 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컬러 커뮤니케이션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컬러 커뮤니케이션 제품 디자인 및 활동 방안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discovery of new sympathetic directions based on visual differences between humans and dogs. As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pets has steadily increased, the perception of pets in our society is also changing from "pets" to "friend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ets is deepe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usion and composite product design that presents a new direction in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ith dogs, noting visual differences among the physical differences between dogs and human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a new product design considering the dog's color discrimination ability.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visual features of dog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visual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dogs. Second, it set seven colors that dogs and humans can share and sympathize with, and referred to the communication activity with dogs using them as "Color Communication," and suggest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olor communication. Third, I designed a play product design for effective color communication with dogs. Finally, in order to present the utilization of the product, I proposed activities to commune and communicate with dog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product. This study can be seen as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times, such as growing social interest in pets and the growth of the pet market. However, as a propositional study based on theory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accurate verification and grounds are needed, such as experiments on color recognition of dog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lor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nd to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color communication product design and activitie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740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6525
ISSN
2005-1409
DOI
10.17548/ksaf.2021.06.30.44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