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2 0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학교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초점집단 면접연구를 중심으로

Title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학교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초점집단 면접연구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Evaluation Checklist of School Play Environment Based o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 Focus Group Interview
Author
명준희
Keyword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Play; Play Rights; Primary School; Play Environment Checklist
Issue Date
2019-08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 20, no. 8, page. 286-29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 권리가 보장된 학교 놀이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놀이 환경이 갖추어야 할 핵심내용을 추출하여 학교가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아동의 놀 권리와 관련된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일반논평 17번의 문헌고찰을 통해 놀이 환경이 갖추어야 할 16개의 핵심내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학교 놀이의 주체인 아동, 부모, 교사와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학교 놀이 환경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을 알아보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성 검토를 받았다. 이를 기초로 학교 놀이 환경 평가체크리스트의 주요영역 10가지를 구성하였다.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학교의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의 10가지 영역은 첫째, 충분한 놀이 시간, 둘째, 충분한 놀이 공간, 셋째, 아동 최선의 이익과 아동 참여, 넷째, 비차별, 다섯째, 다양성과 자유, 여섯째, 도전과 모험, 일곱째, 안전, 여덟째, 학교정책, 아홉째, 놀이교육, 열째, 지역사회와의 협력이다. 학교는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의 기준에 따라 아동의 놀 권리 증진을 위한 기본요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children's rights to play are.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the core contents of schools' play environments and we developed a checklist that schools can use to evaluate their own play environments. We reviewed the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Children and the General Comments No. 17. Through this process, we found 16 core contents that the play environment should have.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principle people involved with school play. The focus group interviews discussed the basic elements of the school play environment. The contents' validity was reviewed by a group of professionals. Based on this, we created an evaluation checklist with 10 major areas of the school play environment. The 10 areas of the school play environment evaluation scale are as follows. The ten areas of the play environment assessment scale for the school environment to ensure children's right to play are sufficient play time, sufficient play space, a child's best interests and the child's participation, nondiscrimination, diversity and freedom, challenge and adventure, safety, school policy, the play has an educating component, and community cooperation.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926072347491.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5535
ISSN
1975-4701; 2288-4688
DOI
10.5762/KAIS.2019.20.8.286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INSTITUTE FOR EDUCATIONAL RESEARCH(한국교육문제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