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 0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인게이지먼트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인터랙션 디자인 방법 연구

Title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인게이지먼트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인터랙션 디자인 방법 연구
Other Titles
Micro Interaction Design Method to Improve Engagement for Social Curation Service
Author
김성훈
Keywords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Social Curation Service);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마이크로 인터랙션(Micro Interaction)
Issue Date
2020-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6, no. 3, page. 61-72
Abstract
현대 IT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편화는 미디어 권력의 중심을 미디어 콘텐츠 생산자 중심에서 사회 관계망에 기반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자로 옮겨가며 공유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용자 중심의 미디어 환경으로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이는 현재 미디어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유튜브, 넷플릭스 등 미디어 플랫폼들의 성장과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쇠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소셜 미디어 발전 방향에 대한 관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는 지나치게 방대해진 소셜미디어 정보에 대한 피로도를 해결하고 보다 개인화된 사용자 친화적 SNS로서 기존 소셜 미디어는 물론 OTT 등의 다양한 분야와 접목되어 그 영역은 더욱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의 종류만큼 사용자의 환경은 다양해지고 사용자경험에 대한 요구는 보다 디테일해져 그 성장세가 주춤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환경에 적용할 사용자경험 개발에 있어 사용자와 서비스를 매개하는 UI의 인터랙션을 보다 디테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마이크로 인터랙션 디자인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인게이지먼트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 조사·분석을 통해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관심, 참여, 몰입, 경험의 각 단계별 사용자경험 요소인 관심, 관여, 결말, 확장과 인게이지먼트, 마이크로 인터랙션의 특성 요인인 주목성, 흥미성, 유익성, 몰입도이 관계 체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여 각 요인 간 관계에 대한 설문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각 단계별 사용자 행동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게이지먼트의 트리거(흥미성 > 주목성 > 유익성 > 몰입도), 동작규칙(주목성 > 유익성 > 몰입도 > 흥미성), 피드백(흥미성 > 몰입도 > 유익성 > 주목성) 특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마이크로 인터랙션 요소가 더욱 높은 인게이지먼트를 형성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Modern IT technology and smart devices have shifted the center of media power from content producers to active participants in social networks. It can be seen through the growth of media platforms such as Facebook, Twitter, YouTube and Netflix, which currently lead the media industry. Therefore, it is time for a change of perspective on the direction of social media development. Social curation services address the fatigue of information on overly vast social media. It is also a more personalized user-friendly SNS. The area is expanding further as it is being combined with a variety of other areas other than traditional social media. However, the user’s environment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demand for user experience is becoming more detailed. Therefore, this study began to develop the user experience to be applied to the social curation service environment. A micro-interaction design was presented as a way to apply interaction of UI that mediated users and services in more detail. And the goal is to present ways to improve the user’s engagement. Therefore, we conducted a prior research survey and analysis.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of each stage of social curation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engagement and micro-interaction were derived. It also established a design system based on prior research. Based on this, the research model was derived. In addition, surveys and analys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factor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ortant components differ depending on the user’s behavior at each step by step. In addition, high micro-interaction elements have drawn conclusions that form a higher factor.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44456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564
ISSN
1598-6497
DOI
10.18208/ksdc.2020.26.3.6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