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8 0

이충선류 피리산조에 관한 연구

Title
이충선류 피리산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ee Choong Sun school of Piri Sanjo
Author
임규수
Alternative Author(s)
LIM KYU SOO
Advisor(s)
안성우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Lee Chung Sun school of piri is one of the oldest piri sanjos. Though the recording by Lee Chungsun himself is lost, the scores of jeongganbos and staff notations by Kim Kisoo, Chong Chae Guk, Seo Han Bum, and Park Mun Gyu survive. Despite Lee Chung Sun school’s considerable endurance, the analysis on it, especially on the transitional development of the aforementioned four scores, has been scarce. This thesis looks into how Lee Chung Sun Piri Sanjo in the four scores by Kim Ki Soo, Chong Chae Guk, Seo Han Bum, and Park Moon Gyu is presented and transitions by comparing the scores and analyzing the modes. In additi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is examined utilizing the analysis from this study. The score by Kim Ki Soo consists of two versions, (一) and (二). Score (一) divides Joongmori into (A) and (B), with various substructures. In Jinyang and Joongmori, Ujo and Peongjo appear in equal proportion.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a single mode is used in Joongjoongmori and Jajinmori. Such variation in scor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inawi, in which Lee Chung Sun introduced different melodies at every performance. The score by Chong Chae Guk appears in the 3 rd volu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Kim Ki Soo, published in 1969. Unlike Kim Ki Soo’s scores, Chong’s show variations in keys, thus different composition of modes. The descending procession of c-b-g is common throughout the sanjo, and the long ending note in each phrase appears to be the characteristic of Chong Chae Guk score. Seo Han Bum score was put together and published based on the five to six recordings of the Lee Chung Sun piri sanjo in 1971. Due to the multiple transcriptions, Seo’s score shows the most number of phras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cores, especially the inclusion of Gutgeori, the unique and special melody, which never appears in other scores, must have been made by the arrangement of Joongjoongmori by the modes. Park Moon Gyu’s score has reduced from Seo Han Bum’s, making natural progression from Joongjoongmori to Gutgeori by adding two phrases of Doljang. As aforementioned, Lee Chung Sun Piri Sanjo appear to endure through time in four different scores, reflecting the different melodies introduced in different periods of Lee Chung Sun’s performance, corresponding with the score’s creation. Commonalities and disparities have been made among the scores while the scores were written by various musician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 of the scores reveal musical characteristics of Lee Chung Sun Piri Sanjo. As Lee Chung Sun composed Daeguem Sanjo in similar time period, a comparison was conducted between the scores of piri and those of Daeguem, discovering that they shared identical melodies in Jinyang and Joongmori. However, Joongjoongmori and Jajinmori do not share any melody or similar progression. The shared melody in Jinyang and Joongmori has higher proportion of Ujo and Pyeongjo rather than Gyemyunjo. Moreover, the thesis looks into the similarity in melodies among the scores by Kim Ki Soo, Chong Chae Guk, and Seo Han Bum, finding that scores by Kim Ki Soo and Seo Han Bum share much similarities through Jinyang, Joongmori, Joongjoongmori, and Jajinmori. That Chong Chae Guk’s score does not share much similarities with others in melody implies much contributions by Chong based on his musical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when writing the music. Among the four scores, the ones by Kim Ki Soo, Seo Han Bum, and Park Moon Gyu, compared to Chong’s, show high proportion of Ujo and Peongjo melodies. The comparison with Lee Chung Sun Daegeum Sanjo and the comparison among the piri sanjos show high proportion of identical Ujo and Peongjo melodies. In other words, Lee Chung Sun employed melodies of Ujo and Peongjo repeatedly in his composition of piri sanjo, and this distinct use of melody characterizes Lee Chung Sun Piri Sanjo.|국 문 요 지 이충선류 피리산조는 현재 전하는 피리산조 중 가장 오래된 산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충선류 피리산조가 김기수 · 정재국 · 서한범 · 박문규의 네 악보에 어떠한 형태로 전해지는지 선법분석과 악보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이충선은 피리산조와 비슷한 시기에 대금산조를 구성하였는데 이충선류 피리산조의 악보들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네 가지 악보의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이충선 피리산조의 변천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기수 악보는 (一)과 (二)의 두 가지가 있으며, 악보(一)은 중모리가 (A)와 (B)로 구분되어있어 다양한 구성을 보인다. 진양과 중모리에서는 우조와 평조의 비율이 고른 비율로 나타나고 있지만 중중모리와 자진모리에서는 한 가지 선법으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악보가 여러 개로 나뉘어 기보된 이유는 이충선이 연주할 때마다 다른 가락을 선보이는 시나위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정재국 악보는 1969년 김기수에 의해 만들어진 󰡔한국음악󰡕 제 3권에 수록되어 있다. 정재국 악보는 김기수 악보와는 다르게 조의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선법적 구성이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정재국 악보에는 c-b-g로 하행하는 진행이 산조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각 장단별 종지를 길게 지속음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정재국 악보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서한범 악보는 1971년 서한범이 이충선의 피리산조 가락을 5~6회 녹음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만들어 발표한 악보이다. 여러 번 녹음하고 채보하여 많은 가락을 정리한 서한범 악보는 이충선류 피리산조 네 악보 중 가장 많은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한범 악보에는 이전에 없던 굿거리 장단이 포함되어 있는데, 중중모리의 선율을 정리하면서 독창적인 선율을 선법에 따라 정리하면서 다양하게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박문규 악보는 서한범의 악보에서 가락을 덜어내어 정리하였고, 중중모리에서 굿거리로 넘어가는 부분에서 돌장 두 장단을 첨가하여 자연스러운 진행으로 만들었다. 이처럼 이충선류 피리산조 악보가 네 개의 악보로 전해지는 이유는 이충선이 연주할 때마다 다른 가락을 선보이는 시나위적 특성이 악보를 만든 시기마다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김기수 · 정재국 · 서한범 악보 간의 유사한 선율을 비교해본 결과, 진양과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에 걸쳐 김기수 악보와 서한범 악보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진행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재국 악보에서는 유사한 선율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충선류 피리산조를 악보화 하는 과정에서 기보자의 가락이 다수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이충선류 피리산조가 여러 기보자들에 의해 악보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악보 간에 동일점과 상이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습에서 악보의 변천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이충선류 피리산조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충선은 피리산조와 비슷한 시기에 대금산조를 구성하였는데 이충선류 피리산조의 악보들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충선류 대금산조 진양과 중모리에서는 피리산조와 동일한 선율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중중모리와 자진모리에서는 동일 선율이 나오거나 유사한 진행을 보이지 않았다. 진양과 중모리에서 나타나는 동일 선율은 계면조의 선율에 비해 우조, 평조의 선율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충선류 피리산조의 네 악보 중 김기수 · 서한범 · 박문규 악보에서는 우조, 평조 선율의 비율이 정재국의 악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충선류 피리 산조와 대금 산조의 선율 비교, 그리고 피리 산조 악보끼리의 비교를 통해 김기수 · 서한범 · 박문규 악보에 나타나는 우조, 평조의 선율이 동일 선율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충선은 산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우조와 평조 선율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구성하였고 이 선율이 이충선류 피리산조를 음악적으로 특징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48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