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1 0

대학생 진로발달의 변화양상 잠재집단에서 쳣 일자리 직업만족으로의 전이과정 분석

Title
대학생 진로발달의 변화양상 잠재집단에서 쳣 일자리 직업만족으로의 전이과정 분석
Other Titles
A Transition Analysis of Longitudinal Changes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on Job Satisfaction of First Full-time Jobs
Author
이은정
Alternative Author(s)
EunJung Lee
Advisor(s)
송영수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진로발달의 종단적 변화양상이 노동시장 이행 이후 첫 일자리에서의 직업만족으로 연계되는 과정의 탐색을 통해 대졸 청년층이 직업세계로 성공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진로 준비 단계에서의 선제적인 지원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년패널 5차~13차 자료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통해 4년제 대학생의 학년별 진로발달 변화양상의 잠재집단을 도출하여 잠재집단별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지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다음으로,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대학 재학기간 동안의 진로발달 변화양상 잠재집단이 대학 졸업 이후 첫 일자리에서의 직업만족 잠재집단으로 전이되는 양상과 전이과정에서의 목표지향행동으로서의 취업준비행동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학년별 진로발달 변화양상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향상하는 집단과 오히려 하락하는 집단으로 다층적으로 나타났다. 진로발달 변화양상을 예측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한 결과, 대학에서 교수 학생지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외적 진로장벽 인지 수준이 낮을수록 진로발달 수준이 향상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 이후 획득한 첫 일자리에서의 직업만족 유형은 전반적 불만족, 전반적 만족, 근로환경 만족·고용안정성 불만족으로 구성된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진로발달 변화양상 잠재집단에서 첫 일자리 직업만족 잠재집단으로 전이과정을 분석한 결과 진로발달 향상 집단에서는 전반적 직업만족 수준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하락하는 집단에서는 전반적인 직업만족 수준이 낮은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진로발달 수준이 향상하는 집단에서는 모든 취업준비행동이 첫 일자리에서의 전반적 만족 집단으로의 이동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락하는 집단에서는 직업기초소양 강화 활동의 예측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대학 기관차원에서 실효성 있는 진로교육 실천을 위한 첫째, 대학 입학부터 졸업까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속적인 진로발달 지원의 필요성, 둘째, 진로발달을 위한 심리 정서적인 조력의 필요성, 셋째, 지도교수 학생지도의 중요성, 넷째, 개인의 수준 및 요구 기반 맞춤형 진로발달 지원의 필요성, 다섯째,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도와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직무 체험 교육 제공의 필요성, 마지막으로 체계적인 진로교육 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helping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work. For the current study, data from the Youth Panel 5th to 13th wave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A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tial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explore socio-cognitive factors affecting classified latent classes of career developmental trajectories. Also,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longitudinal changes from caree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university students to job satisfaction at the first jobs and examine the determinants predicting the transition across time. The result supported two classes model(“increase” group, “decrease” group) for career development trajectories of university students.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or’s guidance, higher self-esteem, lower external career barriers were significant in the prediction of belonging to“increase”group. 3 latent profile groups were constructed for job satisfaction at the first jobs, which were “general satisfaction” group, “general dissatisfaction” group,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job stability dissatisfaction” group. Those who belonged in “increase” group of career development trajectories through university life transferred mostly to “general satisfaction”group at the first jobs. For “decrease” group, the transition probability to “general dissatisfaction” turned to be the highest. All kinds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transition from “increase” group to “general satisfaction” group. For “decrease” group, only the behavior improving general job skill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transition to “general satisfaction”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persistence, psychological focus, professor’s career guidance and individual demand-based, job experience-driven, systematic design in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at the institutional level.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9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