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 0

The Influence of Sharing Travel Experiences on Happiness

Title
The Influence of Sharing Travel Experiences on Happiness
Other Titles
여행 경험 공유가 여행 후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Author
최지원
Alternative Author(s)
최지원
Advisor(s)
이훈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SNS became a place where travelers express emotions and record travel experiences. Beyond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marketing tool, the functions of SNS are expanded to social bonding and self-identity formation.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SNS has been increased in tourism,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sharing travel experiences and post-travel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haring travel experiences on post-travel happines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model with four hypotheses was proposed. This study applied into the empirical metho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ose who were in their 20th and traveled abroad in 2019. The online survey data from 318 valid samples was used to analyze with SPSS 23 and AMOS 20 programs. According to EFA, except for two items from self-presentation, the values of absolute factor loading were over 0.5. Five factors with 16 items were identified. Also, the results of KMO and Bartlett's test describe that the correla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significant. According to CFA and SEM,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ssessed. Also, SEM model fit was appropriate. As results of path analysis, all hypotheses were significant. Hypothesis 1 explains that positive self-pres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with path weigh 0.394 (p<0.001). Hypothesis 2 clarifies honest self-presentation has a causal effect on social support with path weight 0.153 (p<0.05). Hypothesis 3 describes social support positively effects on travelers' self-esteem with path weight 0.18 (p<0.05). Finally, hypothesis 4 explains self-esteem remarkably effects on post-travel happiness with path weight 0.764 (p<0.000). In conclusion,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irstly, travelers construct new self-identity on SNS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about their experiences. Secondly, the important rol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ing travel experiences and happiness was examined. Practically, this study implicates the role of UGCs (User-Generated Contents) as marketing and policy tools. First of all, DMO marketers can monitor travel behaviors through analyzing travelers' SNS contents. Second of all, strong social bonding on online travel contents encourages spontaneous travel information sharing and travel destination promoting. Finally, since the causal effect of travel on happiness revealed, policy makers should inspire people to travel and develop relevant policies in terms of increasing Gross National Happiness (GNH). |현대사회에서 SNS는 여행자들이 그들의 감정을 표현하고 여행 경험을 기록하는 공간이 되었다. 정보 전달과 마케팅 도구를 넘어, SNS의 기능은 사회적 유대감과 자아 정체성 형성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렇듯 여행 환경에서 SNS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여행 경험 공유와 여행 후 행복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 경험 공유가 여행 후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4가지의 가설을 제기하였다. 각 변수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019년 1년 간 해외 여행 경험이 있는 20대로 한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30부의 설문을 수집하였고, 이 중 유효한 318개의 샘플을 바탕으로 SPSS 23과 AMOS 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자기표현에서의 두 개 항목을 제외한 모든 요인 적재량이 0.5를 초과하여 5개 요인에서 16개 항목을 확인하였다. 또한, KMO and Bartlett’s test 결과 값을 토대로 변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하였고, 수렴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 모두 유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적합도 역시 기준을 충족하였다. 경로 분석 결과 4개의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긍정적 자기표현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1은 비표준화 베타값이 0.394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 0.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정직한 자기표현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2는 비표준화 베타값이 0.153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사회적 지지가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3은 비표준화 베타값이 0.18로 나타났고, 유의확률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자존감이 여행 후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4는 비표준화 베타값이 0.764로 나타났고 유의확률 0.00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여행자들은 그들의 여행 경험을 SNS에 공유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자아 정체성을 구축한다. 둘째, 여행 경험 공유와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이용자 창작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s, UGC)의 마케팅, 정책적 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한다. 첫째, 관광 목적지 마케팅 기관은 여행자들의 SNS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여행자 특성과 여행 행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 여행 콘텐츠에서 강한 사회적 유대는 여행자들로 하여금 자발적인 정보 공유와 여행 목적지 홍보를 유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여행과 행복 간 인과관계가 밝혀졌으므로, 정책 개발자는 국민들의 여행을 장려하고 관련 정책을 개발하여 국민행복지수 (Gross National Happiness, GNH)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80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