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4 0

심혈관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Title
심혈관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Literacy Scale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uthor
심정은
Alternative Author(s)
Sim, Jeong Eun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오랜 기간 만성질환자로서 의료기관 방문과 약물치료에 의존하는 심혈관질환자는 약물요법, 식이 및 생활습관 관리를 포함한 자가간호이행이 필수적이다(양인숙, 2016; 오미숙, 정명호, 2020; Eckel, Jakicic, & Ard et al., 2013).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은 이러한 심혈관질환자의 자가간호이행에 결정적인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어 미국심장협회에서는 심혈관질환자들의 자가간호교육 중재개발 시 필수적인 요소로 건 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을 사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Barnason, et al., 2017). 하지만, 기존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 도구들은 국외에서 개발되었거나 읽기나 수치 해석의 개인 능력으로 정의하는 제한적 시각에 기반하고 있어(강수진, 이미숙, 2015; Haun et al., 2014) 한국의 심혈관질환자에서 의료진과의 관계적 의사소통능력이 포함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건강정보이해능력 개념분석을 위한 선행 연구 (Sim & Hwang, 2019)에서 추출된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 도구 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eVellis(2017)가 제시한 도구개발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자료수집 은 2020년 9월 28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의료기관 2곳의 심혈관질환자 39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심혈관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개념 을 분석한 선행연구(Sim & Hwang, 2019)에서 심혈관질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속 성은 개인기능적 차원으로 문자이해력, 정보탐색능력, 정보활용능력 , 상호관계적 차 원으로 의료진과의 능동적 의사소통, 건강정보지지자원 활용 으로 도출된 결과를 본 연구에서 원시문항 도출의 기틀로 사용하였다. 47개의 원시문항을 도출한 후, 유사문 항의 병합과정을 거쳐 29개의 초기문항을 도출하였다. 초기문항에 대해 심장내과 의 사 2인, 흉부심혈관외과 의사 1인, 심혈관질환 분야 연구 경험이 있는 성인간호학 전 공 3인의 교수, 경력 10년 이상의 심장내과 전담간호사 4인으로 구성된 10인의 전문 가와 내용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문항이 수정, 보완되었다. 수정된 문항에 대해 심혈관질환자 30명 예비조사, 5명 인지면담 시행하여 문항의 배치변경, 특정 단어 수 정 작업 후, 국문학자 교열작업을 거쳐 24개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 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여 도구를 평가하고 최종도구를 확정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 분석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391명의 대상자 중 케이스 무작위 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선정된 1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스크 리검사, 누적분산비율을 통해 4개의 요인이 결정되었으며 최종 22개 문항이 도출되었 다. 4개의 요인은 능동적 건강정보의 선별 및 평가 , 건강정보지지자원 활용 , 의 료진과의 상호작용 , 건강정보이해 및 탐색 으로 명명하였으며, 4개 하위요인의 누적 분산 비율은 62.86%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201명 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모형적합도는 χ²= 365.798 (p <.001), df = 203, Normed (CMIN/df)=1.80, GFI=.86, SRMR=.06, RMSEA=.06, CFI=.96, IFI=.96, PNFI=.80, PCFI=.84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 및 수용가능한 기준을 만족하여 모형이 적합한 것으 로 평가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요인부 하량은 .50이상이며, 유의성(C.R)은 1.965 이상, 개념신뢰도는 70이상으로 나타나 수렴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변별타당도는 상관계수 제곱값이 .08∼.27로 해당 요인의 AVE 값 .58∼.72보다 작아 변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도구를 이용한 수렴타당도를 검증하 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점수와 의료정보이해능력 스크리닝 도구인 Set of Brief Screening Questions [SBSQ] 점수 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38(p<.001)로 정 적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점수와 국제 보건기구에서 개발된 건강정보이해능력 축약판 측정도구인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 Questionnaire-short version [HLS-EU-Q16] 도구 점수 간의 Pearson 상관계 수는 .45(p<.001)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준거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안정성 신뢰도 는 검사-재검사 상관계수가 .86, 급내 상관계수가 .84 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89로 나타났으며, 요인 별로 .81∼92로 측정되었 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국내 심혈관질환자의 경험과 특성을 고려한 건강 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로, 심혈관질환자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조기사정하고 낮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의 대상자를 위한 중재계획을 조직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Background: In Korea,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coronary artery disease and heart failure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aging and westernization of lifestyle habits. Health literacy is a concept that has been identified as an influencing factor in determining the health behavior of cardiovascular patients and is drawing attention, but there is currently no health literacy scale for cardiovascular patient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health literacy of cardiovascular patients,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oo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91 cardiovascular patients at two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ccording to the tool development procedure was based on DeVellis. Results: 29 initial ques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a conceptual analysis of the health information comprehension ability of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 previous study. To the next step, content validity was conducted twice with 10 experts, and then 24 questions were select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initial question. As a last step,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the item analysis to confirm the construct validity. Of a total of 391 subjects, 190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he case random sampling method. Four factors were determined and 22 items were derived through the screen test and the cumulative variance ratio. The cumulative variance ratio of the four sub-factors was 62.86%.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nalyzed the data of 201 subjects. Fit model for the final 4 factors and 22 items χ²= 365.798 (p <.001), df = 203, Normed (CMIN / df) = 1.80, GFI = .86, SRMR = .06, RMSEA = .06, CFI = .96, IFI = .96, PNFI = .80 and PCFI = .84 were found to meet the conformity index and acceptance criteria. As a result of verifying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tory validity in the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the convergence validity was confirmed with a factor load of .50 or higher, a significance (C.R) of 1.965 or more, and a concept reliability of 70 or more. For discriminant validity, the squared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 to .27, which was smaller than the AVE value of .58 to .72. In the stability reliability and homogeneity reliability test,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86 an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84, ensuring reliability of stability. A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 was .89 was found, which was measured as .81 to 92 for each factor, confirming the high reliability of the scale. Conclusion: The developed tool will be useful in evaluating and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health literacy of Korean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hat can increase the health literacy of cardiovascular patien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24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3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