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7 0

Re-Imagining Northern Ireland: Space and Identity in the Post-Troubles Dramas of Stewart Parker, Owen McCafferty, and David Ireland

Title
Re-Imagining Northern Ireland: Space and Identity in the Post-Troubles Dramas of Stewart Parker, Owen McCafferty, and David Ireland
Other Titles
북아일랜드 다시 상상하기: 스튜어트 파커, 오웬 맥카퍼티, 데이비드 아일랜드의 '분쟁 이후' 연극에 나타난 공간과 정체성
Author
장혜선
Alternative Author(s)
장혜선
Advisor(s)
이형섭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스튜어트 파커(Stewart Parker), 오웬 맥카퍼티(Owen McCafferty), 데이비드 아일랜드(David Ireland) 세 명의 북아일랜드 작가들이 본 논문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분쟁 이후’(Post-Troubles) 연극을 통해 창조해 내는 다양한 층위의 희곡 공간을 분석한다. 연극을 단순히 북아일랜드 분쟁(The Troubles)을 담아내는 고정된 틀이 아니라 대안의 공간을 체험하는 공간이자 주체적인 사유를 촉발시키는 재현 공간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북아일랜드 분쟁을 극화시킨 이른바 ‘분쟁극’(Troubles play)으로 불리는 작품들은 분파주의로 양극화된 정치문화적 상황을 사실주의 극 형식을 통해 충실히 재현해 내는 데에 집중한다. 따라서 북아일랜드 분쟁극의 정전을 이루고 있는 분쟁극들은 대부분 분쟁이 북아일랜드 일상 ‘공간’(space)을 차지하고 특정한 이데올로기적 질서와 결합된 ‘장소’(place)화가 되는 과정을 공고히 하여 역사적 거대 담론을 재생산하는 데에 일조해왔다. 결국 북아일랜드의 종교/정치적 분열이라는 거대 담론의 서사화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작가의 작품들은 북아일랜드 드라마의 극적 지형에서 배제되고 소외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북아일랜드 분쟁을 직접 체험한 스튜어트 파커(1941–1988), 그리고 분쟁 자체의 경험이 아니라 분쟁이 남긴 잔해, 폐허, 그리고 갈등의 경험을 사후적으로 느껴야 하는 후속세대인 오웬 맥카퍼티(1961–)와 데이비드 아일랜드(1976–), 이 세 명의 북아일랜드 작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지금까지 북아일랜드 분쟁으로만 점철된 희곡 공간에서 벗어나 ‘분쟁 이후’의 대안의 공간에 대한 사유를 촉발시키는 북아일랜드의 극적 지형도를 확장시키는 데에 필수적이다. 또한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세 명의 작가들의 연극에서는 벨파스트(Belfast) 도시공간이 분파주의 갈등으로 양분화되는 장소화 과정에 저항하고, 보다 더 유연하고 개방된 공간성을 회복시키려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함께 연구할 가치가 충분하다. 더 나아가 ‘분쟁 이후’의 북아일랜드를 새롭게 조망하는 일은 브렉시트(Brexit) 협상에 대한 논의로 인해 긴장관계가 더해진 현시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북아일랜드 드라마에 대한 학제적 관심을 도모하며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만 쓰이고 공유되는 영미 희곡 분야의 편향된 연구 경향을 조정하려는 노력에 일조할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연극은 공간의 의미와 구조를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주체적인 움직임을 지니고 있다고 보며 인문지리학으로만 국한되어 있는 다양한 지리학적 공간 이론, 인문학적 텍스트로서의 드라마 장르, 그리고 무대공간이 교차하는 지점을 다각도에서 분석한다. 궁극적으로는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각각의 작품 속에서 창조되는 공간성이 북아일랜드 분쟁 너머의 의미를 획득하며, 나아가 구체적인 일상의 문제들 속으로 다시 침투하여 삶을 전유하는 힘을 갖는 연극의 ‘원심적’(centrifugal) 확장성에 대해 조망한다. |This thesis aims to give a comprehensive account of how post-Troubles Northern Ireland has been imagined and envisioned by its playwrights. Studies on Northern Irish drama have mostly focused on its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the Northern Ireland Conflict, or “the Troubles” as it is most often called. Most Troubles-related plays dramatize sectarian violence and its devastating effects on people, often realized in tragic form that imbues these plays with the sense of tragic inevitability. In stark contrast to the fixed and claustrophobic time-space dominant in the Troubles plays, the dynamic pressure that exists between place and space, memory and imagination, and visionary utopianism and topographic realism characterizes post-Troubles Northern Irish drama. The thesis focuses on the spatio-political imaginaries in the works of three representative post-Troubles playwrights, Stewart Parker, Owen McCafferty, and David Ireland. As Belfast, the ubiquitous spatial signifier of Northern Ireland, has been pulled by the contradictory forc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reconciliation and sectarian division, and peace and violence, Parker, McCafferty, and Ireland have set their plays in Belfast, yet the city of Belfast that emerges in them is a multilayered and multidirectional city unlike the Belfast of the Troubles plays in which everyday life is monotonously homogenized by the omnipresent sectarian conflict.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he heterotopic spaces imagined through Parker’s Spokesong (1975) and Pentecost (1987) and considers the possibilities of re-imagining the irreconcilable or incongruent places being co-existent, simultaneously represented, and recognized. The second chapter explores how McCafferty’s two plays, Scenes from the Big Picture (2003) and Quietly (2012), decontextualize the meta-narrative of the Troubles into a more resilient space of everyday life in a post-conflict context.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David Ireland’s Cyprus Avenue (2016) and Ulster American (2018) articulate the Northern Irish unionists’ antagonism in tandem with the displacement of Ulster in a world of changing spaces. The playwrights chosen here contribute to turning a static and inert place into a more fluid and open space by dramatizing everyday spaces such as private places (middle-class residential area, mental therapy room), public places (street, hospital, park), and workplaces (pub, shop, abattoir). In their plays, these places often coalesce with one another to create more flexible and liminal spaces that in turn open up possibilities for re-envisioning post-Troubles Northern Ireland. The fact that their plays hav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reshaping the socio-political spatial imaginary of Northern Ireland further attests to the theatre’s powerful role in the (re)shaping of cultural identities instead of the theatre being relegated to the repetitive mimetic representation of the Troubl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7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