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6 0

식물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바이오필릭 치유공간의 디자인 요소 연구

Title
식물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바이오필릭 치유공간의 디자인 요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Elements of Biophilic Healing Space Considering the Plant's Growing Environment
Author
김동하
Alternative Author(s)
Kim, Dongha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re are fewer and fewer daily lives for modern people to spend with nature. Public interest in eco-friendly design and campaigns is increasing due to the destruction of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covid-19 not only limited outdoor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but also increased demand for eco-friendly life trends over time. Plants ar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elements in designing spaces that introduced nature, and are the only living creatures among natural elements such as water, soil, stone, and light. The case of introducing plants into space and prior studies show the therapeutic and healing advantages of indoor plants, but they tend to tool plants as elements rather than living things, and they tend to classify plants of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into one landscape design and dismiss them as completely different fields. Therefore, this study accepted the view of biophilic design, which aims for biofilia and induces a healing environment by integrating humans and nature, and thought it could provide a direction for improvement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biophilic design implemented in the healing space and plant's growing environment.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aining the growing environment of plants in space and biophilic design was identified, and the problems of the case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Chapter 1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establishes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criteria for selecting cases, and summarizes the prior research referenc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study. Chapter 2 discusses the definition of a healing environ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plants, followed by the classification and spatial function of plants according to height and the type of interior layout. We also consider what an appropriate plant's growing environment is through example writing, explore prior researchers' opinions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and emotional aspects of biophilic design, and supplement what this study suggests. In Chapter 3, four ca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the analysis elem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analysis. We then proposed a field survey method and summarized the overview and on-site photos, including the current status of planting inside the case space and the appropriate growing environment of the plants. In Chapter 4, we distinguished areas in the stage of writing an overview of the case space, and based on the plant overview, we evaluated the suitability of the growing environment, evaluated the biophilic design application of the space, and wrote detailed analysis. Therefore,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in Chapter 5, the association between each analysis item was summarized and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in the cases where the evaluation was insufficient. Furthermore, we propose future direc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good cases, and reveal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plant healing space in the fu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lant's growing environment and the biophilic design. It is as follows. First, the area shall be opened to compensate for problems in the growing environment. And plants should be adjacent to openings and exhaust ventilation, but far from the wall. Second, more natural materials should be used to mimic the outdoor environment by facilitating interactions between plants close to each other. In particular, water spaces should be created close to plants. Third,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planting types and interior layout of plants. In particular, low-rise and high-shrub planting should be used a lot, but planter should be used 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mmariz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for plants as well as humans in space, and provides a phased study of plant healing spaces by linking physical spatial composition with the biophilic design. If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interviews and surveys is used in the future, it will be used as data on healing environments as well as space design, and the scope of use of research will be expanded.| 현대인들의 일상에서는 자연과 함께할 기회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기술 발전에 따른 크고 작은 환경 오염 및 파괴로 인하여 친환경 디자인 및 캠페인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야외활동 및 사회적 활동에 생긴 제약뿐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친화적 생활 트렌드의 수요가 증가하는 것에서 자연 요소와의 접촉을 갈망하는 사회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식물은 자연을 도입한 공간 계획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주된 요소 중 하나로, 물, 흙, 돌, 빛 등의 자연 요소 중 유일하게 살아 숨 쉬는 생명체이다. 공간에 식물을 도입한 사례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실내 식물의 치료적·치유적 접근을 아우르는 이점을 알 수 있지만, 식물을 생명체가 아닌 요소로서 도구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며, 종류와 특성이 서로 다른 식물을 모두 하나의 조경 설계로 분류하여 공간 디자인과는 동떨어진 요소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명(bio) 사랑(philia)을 지향하며 인간과 자연을 통합·연결함으로써 치유환경을 유도한다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치유공간에 구현된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식물의 생육환경과 연관성을 맺으며 이를 통해 보완 및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공간 내 식물의 생육환경 유지와 바이오필릭 디자인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례 공간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정리하고 연구 범위와 방법, 조사 대상지 선정 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연구 방향성을 구축하기 위해 참고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치유환경의 정의와 식물의 치유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높이에 따른 식물의 분류와 공간적 기능, 실내 배치 유형을 알아봄으로써 식물의 공간적 적용 가능성과 디자인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선행 예시를 작성함으로써 식물의 적정 생육환경이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과 갈래, 정서적 측면에 대한 선행 연구자들의 견해 등을 알아보며 본 연구에서 시사하고자 하는 바를 보강하였다. 제3장에서는 조사 대상지 선정 기준에 맞춰 대상지 4곳을 선정하고,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분석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다. 이어서 현장 조사의 방법에 대해 밝히고, 조사 대상지 내의 식재 현황과 식물들의 적정 생육환경을 포함한 개요 및 현장 사진을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사례 공간의 개요를 작성하기에 앞서 영역을 구분하고, 식물 개요를 바탕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생육환경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이어서 공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도를 평가, 세부 분석을 작성하였다. 따라서 5장에서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분석 항목 간의 연관성을 정리했다. 또한 종합 평가 결과가 미흡했던 사례에서 문제점을 파악, 우수했던 사례의 고찰을 통해 향후 방향성을 제언한 뒤 연구의 한계와 의의를 밝혔다. 식물의 생육을 위해 고려해야 할 환경적 특성과 공간의 물리적 구성의 분석을 통해 공간 구성은 생육환경에 영향을 주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또다시 생육환경을 유지하거나 변화시키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육환경과 바이오필릭 디자인 구성은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식물 생육환경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상호 관계성의 특징을 토대로 향후 식물치유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육환경의 문제점 보완을 위해서는 영역에 개방성을 보장하고 개구부 및 배기구와 인접하여야 하며 벽과는 일정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근거리에 식재된 식물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외부 환경의 모방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자연적 재료의 사용 빈도를 늘리고, 특히 식물과 인접한 위치에 수공간을 포함하여야 한다. 셋째, 수관층 높이에 따른 식재와 배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저층 식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자체적인 온습도 유지와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관목 식재 사용을 늘려 영역에 시각적 초점을 제공하고 경계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이 적용되었으며, 식물을 통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실질적 치유 효과를 파악하기에는 객관적 지표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공간에서 인간뿐 아니라 식물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환경적 특성을 찾고, 물리적인 공간 구성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에 연계하여 식물치유공간의 단계적 연구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의 정량적 연구를 활용한다면 공간디자인뿐 아니라 치유환경에 대한 자료로서 연구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96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